•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영양 섭취량

Dalam dokumen 비영리 - S-Space - 서울대학교 (Halaman 31-35)

II. 이론적 배경

3. 영양 섭취량

3.1 영양 섭취량의 정의

채범석 등(1998)에 따르면 영양 섭취량이란 개인이나 집단, 지역 등에서 음식물의 섭취 조사를 함으로써 개체의 생명 유지, 정상적 기능·형태의 항상성 유지 및 성장에 필요한 섭취 물질, 즉 영양소를 어느 정도 식품에서 취할 수 있는가를 보여주는 수치이다. 평균 영양 권장량과 비교함으로써 그 적부가 평가된다.

홍순명 등(1996)에 의하면 영양 섭취량은 노인이 될수록 줄어들게 되는데 이는 단순 입맛의 변화부터 가정환경의 변화, 경로 사상의 저하와 핵가족화, 맞벌이 부부의 증가 등과 같은 사회적 요인의 변화 때문이다. 이러한 변화들로 인해 영양적인 위험에 노출되는 노인들이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보면 대체적으로 영양소의 결핍을 볼 수 있으며, 계층 간에 차이를 보이고 있다.

Schlenker(1984)와 Splett(1994)에 따르면 특히 영양적 위험상태에 있는 노인들은 신체를 움직이는데 문제가 있는 노인들, 자주 결식하는 노인들, 식비 지출에 경제적 여유가 없는 노인들, 혼자서 식사를 해야하는 노인들, 무료급식소에서 급식을 받는 노인들, 하루에 한번 정도 밖에는 뜨거운 식사를 안하는 노인들이다. 그리고 Davies(1992)에 의하면 집에 먹을만한 식품이 없다든지, 외로움, 식욕의 감퇴를 불러오는 우울증 등의 환경 요인들이 있을 경우 영양 부족이 되기 쉽다고 한다. 홍순명 (1996)에 따르면 노인은 신체적

- 22 -

변화와 심리적, 사회적 그리고 경제적 요인에 의해 영양적으로 매우 취약하며 만성 질병을 동반하고 있다. 또한 노인들은 식품을 구입한다거나 조리나 씹는데 어려움이 있다. Splett(1994)에 의하면 미국의 노인들 중 약 반 정도가 영양불량으로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3.2 영양 섭취량과 운동

영양 섭취량에 운동을 단독 처치하여 변화를 본 연구를 보면, 조강옥 등(2007)은 26 세에서 59 세까지의 남자 407 명을 대상으로 조사 1 달 전부터 1 주일 3 회 이상, 1 회 30 분 이상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는 그룹으로 가벼운 정도의 운동군, 중간 정도의 운동군, 심한 정도의 운동군과 비 운동군으로 분류를 한 결과, 운동군이 감자 및 전분류, 씨앗 및 땅콩류, 육류 및 육가공품류, 난류, 생선 및 조개류, 우유 및 유제품, 유지류, 음료, 기타 가공 및 인스턴트 식품 섭취량이 비 운동군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동물성 식품의 섭취량도 운동군이 비 운동군에 비해 적게 섭취하였다.

운동을 영양 중재나 교육과 병행해 처치한 연구들을 보면 김동제 등(2009)은 보건소 비만 관리 프로그램 참여자 중년여성 35 명에게 12 주간, 주 1 회 개인별 맞춤 상담 교육과 주 3 회 걷기 운동을 실시한 결과, 체중, 체지방율, 체질량 지수, 허리둘레, 총 콜레스테롤, 동맥경화 지수가 감소하였다. 또한 심폐 체력은 증가하였다. 그리고 영양 섭취량은 프로그램 시행 후 감소하였다.

또, 최미숙(2009)이 중년여성 209 명에게 12 주간 주 1 회, 1.5 시간씩 영양 교육과 주 2 회 1.5 시간씩 댄스 스포츠를 실시한 결과, 교육 실시 후 평균필요량에 대한 평균 섭취 비율이 칼슘을 제외한 모든 영양소에서 평균필요량을 충족시켰다. 그리고 단백질의 경우 교육 전 평균 필요량 미만 섭취한 대상자의 비율이 8.2%에서 교육 후 2.9%로 감소하였다. 권장 섭취량에 대한 평균 섭취 비율은 비타민 B2 와 칼슘을 제외한 모든 영양소에서 교육 후 권장 섭취량 이상 섭취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김명숙(2007)이 30 세 이상 비만 여성 24 명에게 12 주간 주 1 회, 1 시간씩 영양 교육과 주 3 회, 1 시간씩 수영을 실시한 결과, 칼슘 섭취량과 철분 섭취량이 교육 전보다 교육 후 증가하였다.

또, 이희승 등(2010)이 44 명의 비만 여성들을 상대로 12 주간 주 1 회, 1 시간씩 영양 교육과 주 3 회, 1 시간씩 운동 교육을 실시한 결과, 프로그램을 많이 참여한 고참여군의 경우 탄수화물과 지질의 섭취량은 감소한 반면, 단백질, 식이섬유, 칼슘, 칼륨, 아연, 비타민 B2, 비타민 B6, 나이아신, 비타민 C, 엽산 등의 미량영야소의 섭취량은 증가하였다.

- 24 -

3.3 영양 섭취량과 영양 교육

영양 섭취량이 영양 교육으로 인해 변화한 연구들을 보면 먼저, 최윤정 등(2007)이 78 명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5 주간 1 시간씩 영양 교육을 실시한 결과, 프로그램 완수군과 비완수군 모두에서 프로그램 실시 전후로 에너지의 섭취가 권장량의 75%에도 미치지 못하는 부족한 섭취를 보였다. 비타민과 무기질의 경우에도 프로그램 실시 전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못하였다. 하지만 프로그램 완수군에서 나트륨의 섭취는 많이 감소했다.

또, 이지영 등(2004)이 초등학교 재학생 220 명을 대상으로 1 주일에 1 시간씩 2 년동안 영양 교육을 실시한 결과, 영양교육을 실시한 학생들의 경우 미 실시 학생들에 비해 비타민 B2 를 제외한 모든 영양소 섭취량이 높았다. 그러나 교육을 실시한 학생들에게서 단백질과 비타민 B1 만 충분한 섭취를 보였으며 에너지, 칼슘, 철, 비타민 A, 비타민 B2 의 섭취량은 권장량에 훨씬 못 미치는 수준으로 나타났다. 특히 낮은 섭취를 보인 영양소는 칼슘, 철, 비타민 A 였다.

그리고 강현주 등(2009)이 당뇨병 노인 38 명을 대상으로 4 주간 주 1 회, 40 분씩 영양 교육을 실시한 결과, 교육 전에 비해 교육 후에 영양소 섭취량, 영양섭취기준 대비 섭취율을 보면 단백질, 칼슘, 리보플라빈, 나이아신, 나트륨의 섭취는 증가하였으나, 철분, 비타민 A, 티아민, 비타민 C 의 섭취량은 감소하였다.

Dalam dokumen 비영리 - S-Space - 서울대학교 (Halaman 31-35)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