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 한 - 미 FTA 원산지 규정
3.2.4 보충적 원산지결정기준
(1) 중간재 기준
한-미 FTA에 의하면 자가생산된 재료라 함은 상품의 생산자에 의하여 생산되고 그 상품의 생산에 사용된 원산지 재료를 말하며 이러한 자가(自 家)생산된 재료의 경우 ① 일반경비를 포함하여 재료의 생산에서 발생한 모든 비용, ② 통상적인 거래과정에서 부가되는 이윤에 상당하는 이윤액 을 재료의 가치로 인정하도록 하여 부가가치기준이 적용되는 품목에 대해 중간재의 원산지 인정규정을 주고 있다.
24) 대미 주요 수출품목에 대해서는 원사기준이 적용되지 않도록 예외를 확보하였으며, 이에 따라 리넨직물, 합섬 여성재킷 및 합섬 남성셔츠 등 33개 품목(HS 코드 10단위 기준)에 대해서는 원 사기준의 예외가 적용된다. 또한 부속서 4-나를 신설하여 역내 공급이 부족한 재료를 조달하는 경우 향후 원사기준의 예외를 인정받을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되어 있다.
(2) 누적기준
누적기준은 우리나라산 재료가 미국에서 어떤 상품 생산에 사용되는 경 우 그 재료를 미국산 원산지 물품으로 간주하는 것으로 한-미 FTA 협정 문에서는 각 당사국은 어느 한 쪽 당사국의 원산지 상품이나 재료가 다른 쪽 당사국 영역에서 상품에 결함된 경우 다른 쪽 당사국을 원산지로 간주 하도록 하는 규정을 두고 있다.
아울러 상품이 하나 이상의 생산자에 의하여 어느 한 쪽 또는 양 당사 국의 영역 내에서 생산된 경우에도 그 상품은 원산지 상품으로 규정하고 있는데, 이는 한-미 FTA에서는 재료누적과 공정누적이 모두 인정되는 것 을 의미한다.
(3) 최소허용기준
최소허용기준은 세번변경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비원산지재료가 있더라 도 그 가치가 일정수준 이하이면 그 해당 비원산지 재료를 포함하여 세번 변경기준을 충족하는 것으로 간주하는 기준으로 한-미 FTA 부속서 6-나 (최소허영기준의 예외)에 규정된 경우를 제외하고 각 당사국은 부속서 6- 가(품목별 원산지결정기준)에 따라 세번변경이 이루어지지 아니한 상품이 라도, 그 상품의 생산에 사용되었으며 적용 가능한 세번변경이 이루어지 지 아니한 모든 비원산지재료의 가치가 그 상품의 조정가치25)의 10%를 초과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원산지 상품으로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섬유 및 의류상품의 경우 섬유원료 또는 원사의 총 중량이 구성 요소 총 중량의 7%를 초과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원산지상품으로 간주 된다. 다만 그 상품의 구성요소에 탄성사가 들어가 있는 경우, 그러한 원 산가 일방 당사국 영역에서 완전하게 형성되고 마무리 된 경우에만 원산
25) 한-미 FTA에서 조정가치(Adjusted Value)란 FOB수준으로 조정된 가격으로 역내산재료비, 역외 산재료비, 직접노무비, 제조간접비, 판매비와 일반관리비, 목표이익, 국내운송비 및 기타 경비가 포함된 가격이다.
지상품으로 간주된다.
한-미 FTA에서 최소허용기준은 세번변경기준 적용에서 원산지요건을 완화하는 의미가 있으나 농수산물에 대해서는 인정하지 않고, 섬유 및 의 류상품에 대해서도 상대적으로 낮은 비율만 인정하여 해당 품목의 원산지 인정을 엄격하게 하고 있다.
(4) 대체가능 상품 및 재료에 대한 원산지 규정
한-미 FTA에서는 대체가능 상품 또는 대체가능 재료를 '상업적인 목적 으로 호환가능하고 그 특성이 본질적으로 동일한 상품 또는 재료'를 의미 하는 것으로 정의하면서 각 대체가능 상품 또는 재료를 물리적으로 구분 하여 관리하는 경우와 생산국에서 일반적으로 인정되는 회계원칙 또는 생 산국에서 달리 인정되는 평균법, 후입선출법, 선입선출법과 같은 재고관리 기법을 사용한 경우여야 해당 물품이 대체가능 상품 또는 대체가능 재료 가 원산지 상품이라고 신청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다만, 재고관리기 법은 회계연도 동안 지속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5) 부속품, 예비부품 및 공구에 대한 원산지 규정
한-미 FTA는 상품과 함께 인도된 표준부속품(standard accessories), 예
비부품(spare parts) 또는 공구는 그 상품이 세번변경기준 적용대상 물품
으로 원산지 상품인 경우 그 상품에 생산된 모든 비원산지 재료가 세번변 경이 이루어지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원산지상품으로 간주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단, 그 부속품과 예비부품, 공구가 그 상품과 같이 분류되고, 동일한 송품장으로 거래되며, 수량과 가치가 그 상품에 대해 통상적인 수준이어 야 한다.
(6) 세트상품에 대한 원산지 규정
세트물품이란 서로 상이한 세번에 해당되는 둘 이상의 물품이 특정 목
적을 위해 하나로 조합한 것으로 한-미 FTA에서 세트상품에 대한 원산지 규정은 일반품목과 섬유관련 품목이 다르게 규정되어 있다.
일반품목인 경우 품목분류 통칙 3에 의해 세트로 분류되면 세트 내의 각 상품이 원산지 상품인 경우에만 그 세트가 원산지 상품인 것으로 간주 하나 예외로서 세트의 모든 비원산지 상품의 가치가 그 세트의 조정가치 의 15%를 초과하지 아니할 때는 상품의 세트를 원산지 상품으로 인정하 도록 하고 있다.
또한 섬유품목인 경우에는 그 세트 내의 각 상품이 원산지상품이거나 세트 내 비원산지 상품의 총 가치가 세트 과세가격의 10%를 초과하지 아 니하는 경우 원산지 상품으로 인정하고 있다.
(7) 소매용 수송을 위한 포장재료 및 용기에 대한 원산지 규정
물품의 소매판매를 위한 포장에 사용되는 포장재료 및 용기가 품목분류 상 해당제품과 함께 분류될 때 해당 제품이 세번변경기준을 적용할 경우 에는 포장재료 및 용기의 원산지는 고려되지 않는다. 반면 해당제품이 부 가가치기준이 적용되는 경우에는 각 포장재료 및 용기의 원산지에 따라 재료비를 산정하여 반영한다. 그러나 수송용 포장재료 및 용기인 경우 원 산지 상품을 경정하는데 있어 전혀 고려되지 않는다.
< 표 3-12 > 한-미 FTA 보충적 원산지 규정
관련기준 주 요 내 용
중간재 기준 (제6.3조)
자가생산된 재료의 경우 일반경비를 포함하여 재료의 생산에서 발생한 모든 비용, 그리고 통상적인 거래과정에서 부가되는 이 윤에 상당하는 이윤액은 원산지 재료의 가치에 포함
누적기준 (제6.5조)
어느 한 당사자의 원산지 상품이나 재료가 다른 쪽 당사국의 영역에서 상품에 결합된 경우 다른 쪽 당사국을 원산지로 인정
최소허용기준 (제6.6조)
수출물품이 적용가능한 세번변경이 이루어지지 아니한 경우 모 든 비원산지 재료의 가치가 해당 상품의 조정가치의 10%를 초 과하지 않는 경우에 원산지 상품으로 인정 (단, 부속서 6-나를 먼저 적용)
* 섬유 또는 의류 상품은 제4.2조 제7항 참고
대체가능 상품 및 재료 (제6.7조)
대체가능 상품 또는 재료를 물리적으로 분리한 경우나 생산이 이루어지는 당사국에서 일반적으로 인정되는 회계기준에 따라 인정되는 재고관리기법으로 관리되는 경우 대체가능한 상품이 나 재로로 원산지 인정
* 단, 재고관리기법은 회계연도 동안 지속적으로 사용
부속품·예비품 및 공구 (제6.8조)
당사국의 물품과 같이 인도되는 상품의 표준 부속품, 예비부속 품, 공구는 해당 상품이 원산지결정기준을 충족하는 경우 원산 지 상품으로 간주 (상품과 같이 분류되고 수량과 가치가 통상 적인 수준)
* 해당물품이 세번변경 기준을 충족할 경우 고려하지 않음
* 부가가치기준일 경우에는 원산지 또는 비원산지 재료 고려
상품의 세트 (제6.9조)
① HS분류 통칙 3을 적용한 결과 셋트 상품으로 분류되는 경 우 세트내의 각 상품이 원산지 상품인 경우 그 세트를 원산지 상품으로 인정
② 세트의 모든 비원산지 상품의 가치가 해당상품의 조정가치의 15%를 초과하지 아니한 경우 원산지로 인정
* 섬유 또는 의류상품은 제4.2조제8항 적용 소매판매를
위한 포장재료 및 용기 (제6.10조)
소매판매를 위한 포장에 사용되는 포장재료가 해당 상품과 같 이 분류되는 경우는
* 세번변경 기준일 경우 적용하지 아니하고,
* 부가가치 기준일 경우에는 각 경우에 맞게 적용 수송을 위한
포장재료 및 용기 (제6.11조)
수송을 위한 포장재료 및 용기는 원산지 상품을 결정하는데 고 려하지 않음
* 수송을 위한 포장재료 및 용기 : 운송기간동안 상품을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상품으로 소매용 포장재료 제외(6.22조 정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