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에게 있어 자기 자신에 관해 물음과 그 탐구는 끊임없는 역사 속 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그와 관련하여 자아에 관해 심리학적 관 점에서 이해하기 위한 노력 중 프로이트와 아들러의 이론을 살펴볼 수 있다. 아들러의 자아개념을 이해하기 위해 먼저 프로이트의 자아개념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정신분석학의 토대와 그 비판을 통해 등장하 게 된 개인심리학은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과 그 연결고리를 가지고 있 으며, 그 차이에 대한 이해가 분명 필요하기 때문이다.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에서의 자아 개념은 이드와의 연결을 통해 확 립된다. 프로이트에 의하면 자아는 자신의 의지로 무엇인가 행동하지만, 그 아래에선 이드의 힘에 의한 통제가 작용한다. 자아와 이드와의 관계 는 절대적인 분리가 아닌 지속적인 연결 속에서 그 힘을 주고받는 것이 며, 자아는 이드를 억누르면서 동시에 그 힘을 활용한다. 이런 모순적인 상황 속에서 프로이트는 자아에 대하여 수정된 부분의 이드로 해석한다.
자아는 또한 두 영역으로 나뉘어 살펴볼 수 있으며, 그것은 의식적 자 아의 영역과 무의식적 자아의 영역이다. 프로이트는 정신분석의 과정에 서 억압과 저항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무의식적 자아의 존재를 확인하였 다. 프로이트가 설명하고자 하는 자아는 무의식, 그리고 이드와의 구조 적 연결 관계에 대해 보다 분명하게 제시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자아의 기능과 관련하여서는 어디까지나 수동적 존재로 여긴다. 프로이 트의 자아 이론에서는 자아는 언제나 이드의 영향 아래에서 영향을 받 으며 자아 스스로가 가지는 힘에 관해 설명할 수 없다는 한계를 가진 다.
아들러는 목표를 향해 움직이는 정신의 동적인 측면을 강조한다. 그 와 관련하여 정신세계를 프로이트와 같이 분석적으로 바라보기보다는 정신이 추구하는 목표와 그 목표를 향한 움직임을 중요하게 여기며 정
신의 기능적 측면에 관심을 두었다. 아들러는 자아를 총체적으로 이해하 며, 인간이 삶의 목표를 중심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하는 정신적인 활 동이라고 파악한다. 아들러는 자아를 정신을 이끄는 개념으로 파악했다.
자아에 관한 두 학자의 개념 차이는 곧 정신세계의 바탕이 되는 근본적 인 철학에 관한 차이를 드러낸다. 프로이트가 인과론적으로 정신세계를 이해한다면, 아들러는 목적론으로 인간의 정신세계를 이해한다. 아들러 의 목적론 중심에는 삶의 목표를 향한 움직임의 원동력이 되는 열등감 이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열등감은 주관적 감정으로서 자기 인식과 타인 인식을 그 바탕에 둔 다. 아들러는 모든 개인은 열등감을 가지고 있으며, 정신생활을 구성하 는 요소로 파악한다. 그는 열등감을 극복하기 위한 우월의 추구를 통한 삶의 이상이라는 목표에 다가가는 과정을 통해 인간은 스스로에 대해 재평가할 수 있다고 본다. 하지만 이러한 열등감이 병적으로 작용하게 되면 이것이 곧 열등감 콤플렉스로 작용하게 된다. 열등감과 열등감 콤 플렉스는 같은 내용의 다른 두 질적 차이를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 다. 이 열등감 콤플렉스는 과도한 보상 추구를 통한 우월감 콤플렉스로 나타나기도 한다. 열등감 콤플렉스와 우월감 콤플렉스는 열등과 우월의 병적인 측면을 드러내는 동시에 서로 연결되어 작용한다. 그렇기에 열등 감 콤플렉스의 이면에는 우월감 콤플렉스가 존재하고 있으며, 우월감 콤 플렉스에서는 열등감 콤플렉스의 단면을 살펴볼 수 있다. 이런 두 콤플 렉스의 관계적 측면을 통해 열등감 콤플렉스는 타인보다 높은 목표 추 구를 통한 우월의 획득에 더욱 관심을 가지게 된다. 타인이라는 삶의 목표는 결코 채워질 수 없는 욕망으로서, 타인이라는 목표 추구의 과정 은 자신의 삶에서 점차 멀어지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열등감은 자아 상실로서의 열등감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열등감을 통한 목표 추 구의 과정은 모든 삶의 에너지가 외부로 향하게 된다. 그리하여 자신의 진정한 성장과는 점점 멀어지게 된다.
열등감을 제거하거나 해소하는 관점에서 바라보는 것이 아닌 자신의
삶의 일부분이자 삶의 성장을 위한 역설적 힘을 내포하고 있는 것으로 바라보는 것은 인간의 자기 자신에 대한 이해의 과정에서 매우 중요하 다. 고통을 통해 인간이 보다 자신에 대해 뚜렷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되 는 것처럼 열등감을 통해 인간은 더욱 완전한 자기 자신이 될 기회를 얻을 수 있다. 열등감이 그 생성과 제거라는 변증법적 과정을 통하여 인간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인간의 정신은 평형과 불평형의 움직임 속에서 자아를 보다 완전하게 인식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인간 은 도달할 수 없는 삶의 이상―신―에 대한 목표 중의 목표를 향한 근 원적 추구를 하게 된다. 근원적인 신에게 다가가기 위한 노력, 즉 진리 추구가 모든 인간의 욕구이자 영원히 도달할 수 없는 이상향으로 교육 의 진정한 목적이라 한다면, 교육이라는 과정을 통한 진리 추구는 이상 적 삶에 다가가기 위한 노력이다. 이러한 노력은 곧 자신의 열등감에 대한 수용 및 총체적 삶에 대한 긍정이라 할 수 있다. 이때의 열등감은 자아 긍정으로서의 열등감이라 할 수 있다.
삶의 희극적 요소와 비극적 요소가 모두 녹아나야 삶 그 자체의 매력 이 발산되는 것처럼, 인간이 자신의 긍정적인 면뿐만 아니라 부정적인 면까지 받아들이는 것이 곧 자아 긍정이요, 삶의 총체적 긍정이다. 총체 적 긍정의 반대편에 있는 부분적 긍정은 우리의 일반적 통념을 이루고 있는 긍정으로서, 인간이 자신의 삶을 유리한 측면, 발전적 측면으로 분 할하여 선택적으로 받아들이게 한다. 이와는 달리 총체적 긍정은 긍정, 그리고 부정과는 상관없이 삶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인정하는 것이 라 할 수 있다. 보기에 따라서는 이러한 긍정은 신적 관점에서의 긍정 이라 볼 수 있다. 신은 삶을 구분 없이 한꺼번에 받아들이는 존재이다.
그러기에 총체적 긍정은 또한 인간 삶의 이상적 표준임이 틀림없다. 자 아 긍정으로서의 열등감을 통한 총체적 긍정은 이상적 표준으로서의 삶 으로 다가가는 과정이며, 그것은 곧 이상적 삶을 위한 진리 추구의 교 육적 힘을 발동하는 것이다.
<참고 문헌>
박수빈(2015). 심리적 애착의 원형으로서의 태교. 울산대학교 교육대학 원 석사학위 논문.
박종덕(2010). 중용의 교육이론. 교육과학사.
박종덕(2017). 본능은 종교와 양립 가능한가. 도덕교육연구 29(4). 한국 도덕교육학회. 21-46.
유정화(2017). 학교 청소년과 학교 밖 청소년의 아들러 생활양식 비교.
목포대학교 교육학과 박사학위논문.
이홍우(2016). 교육의 목적과 난점. 교육과학사.
임선미(2018). 정신의 성숙과정에서 본 프로이트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의 의미. 한신대학교 정신분석대학원 심리학과 석사학위 논문.
정신실(2016). 에릭슨의 자아정체성 개념의 재조명. 울산대학교 교육대 학원 석사학위 논문.
정영도(2013). 오르테가의 철학사상. 서문당.
최은주(2020). 융의 분석심리학의 교육학적 해석. 울산대학교 교육학과 박사학위 논문.
Adler, A.(1928).
Menschenkenntnis.
Anaconda Verlag. 홍혜경 (역)(2016). 「인간이해」. 을유문화사.Adler, A.(1929).
Kindererziehung
, Fischer. 김세영(역)(2015). 「알프 레드 아들러, 교육을 말하다」. 부글북스.Adler, A.(1930). The science of living. Martino Fine Books. 정명 진(역)(2014). 「삶의 과학」. 부글북스.
Adler, A.(1931). What life should mean to you. Little Brown and Company. 설영환(역)(1987). 「아들러 심리학 해설」. 선영사.
Adler, A.(1933).
Der Sinn des Lebens
. Fischer. 최호영(역)(2019).「아들러 삶의 의미」. 을유문화사.
Bettelheim, B.(1982), Freud and Man’s Soul. Vintage books. 김종
주, 김아영(역)(2001). 프로이트와 인간의 영혼. 하나의학사.
Dewey, J.(1916). Democracy and Education. Macmillan. 이홍우 (역)(2007). 「민주주의와 교육」. 교육과학사.
Freud, S.(1961b). The Ego and The Id.
Complete Works 19
. trans. by James Strachey. London: The Hogarth Press.orig. 1923. 박찬부(역)(2003). 「정신분석학의 근본개념-자아와 이드」. 열린책들.
Freud, S.(1964). Beyond the Pleasure priciple, Complete Works 18. trans. by James Strachey. London: The Hogarth Press. orig. 1920. 박찬부(역)(2003). 「정신분석학의 근본개념- 쾌락원칙을 넘어서」. 열린책들.
Fromm, E.(1914). Escape from Freedom. Henry holt and Company. 김석희(역)(2012). 「자유로부터의 도피」. Humanist.
Hall, C.(1979). A primer of Freudian Psychology. 백상창 (역)(2000). 「프로이트 심리학」. 문예출판사.
May, R.(1953). Man’s search for himself. Dell. 백상창(역)(1997).
「자아를 잃어버린 현대인」. 문예출판사.
Nicholi, A.(2002). The Question of God. Free Press. 홍승기 (역)(2004). 「루이스 vs. 프로이트」. 홍성사.
Peursen, C.(1978).
Lichaam-Ziel-Geest: Inleiding tot een Wijsgerige Antropologie. Bijleveld Utrecht.
손봉호 외 (역)(1985). 「몸·영혼·정신: 철학적 인간학 입문」. 서광사.Purkey, W.(1970). Self Concept and School Achievement. 안범희 (역)(1985). 「자아개념과 교육」. 문음사.
Robert L.(1989). Alfred Adler’s Basic Concepts and Implications.
Mark Paterson and Associates. 노안영 외(역)(2001). 애들러 상담이론 기본개념 및 시사점. 학지사.
Sweeney, T.(1998). Adlerian counseling : A Practitioner’s
Approach. Routledge. 노안영 외(역)(2013). 「아들러 상담이론 과 실제」. 학지사.
Unamuno, M.(1913). Del sentimiento trágico de la vida en los hombres y en los pueblos. 장선영(역)(2010). 「삶의 비극적 감정」. 누미노스.
Wollheim, R.(1991). Sigmund Freud. Harper Collins Publishers Ltd. 이종인(역)(1999). 프로이트. 시공사.
ABSTRACT
A Study of the Concept of Inferiority in Adler’s Individual Psychology
Seo, Su-Jeong
Major in Counselling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University of Ulsan
Major Advisor : Park, Jong-Du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relation of the inferiority to the education, the process of self-affirmation by examining the relation between inferiority and self in Adler’s individual psychology. Adler defines inferiority as subjective feelings that compare one’s worth with the external worth, and thus minimizes one’s self-worth. In this view inferiority cannot exist without a comparison. Therefore, recognition of self and others are prerequisites for this inferiority. Through social contact, one develops a subjective perception of self.
Inferiority, and is influenced by what arises from the comparison between oneself and the external world – inferiority. In that sense, inferiority is intimately related with the sel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