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요인분석 결과

Dalam dokumen 비영리 - S-Space - 서울대학교 (Halaman 41-45)

본 연구는 SELS 데이터를 활용하여 학생이 목적에 따라 ICT 활용 양 상과 활용 능력이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목적 이 있다. 이에 독립변수를 분석 대상 데이터 5~9차년도에서 공통으로 제 공하는 학생의 목적별 컴퓨터 및 스마트폰 활용 빈도, 컴퓨터 및 스마트 폰 활용 능력, 목적별 스마트폰 활용 시간으로 선정하였다.

그러나, ICT 활용 빈도와 활용 능력, 스마트폰 활용 시간은 각각 그

성취 목표 성취목표 관련 6개 문항의 5점 척도 응답의 평균값 진로 성숙도 진로성숙도 관련 8개 문항의 학생 5점 척도 응답의 평균값

교우관계 교우관계 관련 4개 문항의 5점 척도 응답의 평균값

월 평균 소득 월 평균 소득 로그값

부모학력 부모 중 학력이 높은 사람의 학력 교육연한으로 환산

중졸 이하(9) 고졸 이하(12) 전문대 졸(14) ~ 박사 졸(22) 문화 자본

문화자본 관련 학생, 학부모 응답(가정의 문화생활 빈 도) 평균값 (예, 월 평균 독서량, 주당 독서시간, 고전음 악 및 오페라 관람 등)

부모의 자녀에 대한 학업적

관심도

보호자의 학습조력, 숙제 확인, 학업에 대한 격려, 학교 생활에 대한 관심 등 자녀의 학업적 관심 관련 문항 학 부모 응답 5점 척도 평균값

설립유형 공립(1) 사립(0)

학교 규모 전체 학급 수

학교 소재지 강남 3구(강남, 서초, 송파구) (1), 나머지 (0) 학교 평균 S.E.S 학교별 학생 가정의 로그 월평균 소득 평균값

학교 컴퓨터실 수

0개 = 0, 1개= 1, 2개 = 2, 3개 = 3, 4개 = 4 , 5개 이상

=5 교과교실

수업유형 테크놀로지 활용 교과교실 운영 (1) 비운영 (0) 교사 ICT 활용

연수 참여 시간

학교별 교사 ICT 활용 연수 참여 시간 평균값

참여하지 않음(0) 30시간 이하(1) 31~45시간(2) 46~60시 간(3) 61시간 이상 (4)

교사 온라인 교수학습지원체

제 활용도

월별 교사 온라인 교수학습지원체제(예:꿀맛닷컴, 에듀 넷 등) 활용 횟수에 대한 교사 응답 평균값

학교의 스마트폰 기기 활용 수업

활성화도

학교의 스마트폰 기기 활용 수업 활성화도에 대한 교사 5점 척도 응답값의 학교 평균값

교사 스마트폰 활용 능력

교사 개인의 스마트폰 활용 수업 능력에 대한 교사 5점 척도 응답값의 학교 평균값

유형이 14개, 10개, 8개 문항으로 분류되어 있어 분석 요인이 너무 많아 각각의 목적과 능력을 요인분석을 통해 유목화 할 필요가 있다. 선행연 구(김혜숙, 2012; 남창우, 신수영, 2014; 박현정 외, 2011; 허균, 2013;

Chiao&Chiu, 2018; Hatlevik et al, 2015)에 따르면, 학생의 ICT 활용 목적 에 따른 사용 빈도와 시간은 2~3개의 요인으로 분류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생이 ICT를 활용하는 목적이 유의미한 분류가 가능할 것이라는 전제 하에 요인분석을 실시한 것으로, 본 연구 또한 분석 데이 터에서 동일한 항목을 측정하는 변수들이 많고 공통적인 의미를 가진 군 집으로 분류할 필요(탁진국, 2007)가 있다고 판단하여, 이를 목적으로 공 통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추출방법은 주축요인분해이며, 요인회전 방법은 사각 회전의 한 종류인 프로맥스(promax)를 적용하였다.

ICT 활용 목적별 빈도와 스마트폰 활용 시간, 활용 능력 측정 문항의 요인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 ICT 활용 목적별 빈도 측정 문항

ICT 활용 목적별 빈도 측정 문항(‘컴퓨터 및 스마트폰을 사용할 때 다음과 같은 작업을 얼마나 자주 합니까?’문항에 대한 목적별 응답 14 개 문항)을 유의미한 군집으로 분류하기 위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14번 문항인 ‘쇼핑’ 문항을 제외하고 13개 문항이 세 개의 요인으로 분류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합도는 KMO(.771) >

.7, Bartlette의 구형성 검정치는 p.(.000)<0.001을 만족하므로 세 요인으로 구분하는 것이 타당함을 확인하였다(강현철, 2013).

세 개의 요인은 각각 선행연구(김종윤 외, 2017; 김혜숙, 2012; 박현정 외, 2011; Chiao&Chiu, 2018)을 참고하여 유희, 친교, 학습 요인으로 명명 하였다. 유희 요인의 경우, 게임, 컴퓨터 온라인 채팅, 새로운 사람과의 채팅 등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는 게임 중 제공하는 채팅방을 통해 낯선 사람과 채팅을 하거나 친구와 재미를 목적으로 대화하는 빈도가 높은 것 과 관련이 높아(중앙일보, 2016.10.04.) 하나의 요인으로 분류된 것으로 보인다.

요인 문항 번호 및 내용

요인1 요인2 요인3

유희 친교 학습

2. 게임 0.401

4. 소프트웨어(게임 제외) 다운로드 0.407

8. 컴퓨터 온라인 채팅 0.552

10. 컴퓨터의 인터넷으로 새로운 사람과 채팅하기 0.686 11. 블로그(개인 홈페이지, 동아리 카페 등) 0.488

1. 인터넷 검색 0.504

3. 음악이나 영화 감상 0.543

9. 스마트폰 메신저 서비스(예: 카카오톡)로 채팅하기 0.656

12. 소셜 네트워크(예: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등) 0.544

5. 문서(예: 한글이나 워드 등) 작성 0.650

6.온라인 강의(EBS, 에듀넷, 사이버가정학습 등) 듣기 0.468

7. 이메일 0.554

13. 숙제하기 0.428

<표 3-2> ICT 활용 목적별 빈도 측정 문항의 요인분석 결과

나. ICT 활용 능력 변수 측정 문항

ICT 활용 능력 측정 문항(‘온라인(컴퓨터 및 스마트폰)에서 다음과 같은 작업을 얼마나 잘 할 수 있습니까?’)에 대한 10개의 응답 문항의 요인분석 결과는 다음 <표 3-3>와 같이 두 개의 요인으로 나눌 수 있음 을 확인하였다. 적합도는 KMO(.891)>.8, Bartlette의 구형성 검정치는 p.(.000)<0.001을 만족하므로 두 요인으로 분류함이 타당함을 확인하였다.

요인 문항 번호 및 내용

요인1 요인2

기초 능력 심화 능력

1. 온라인 채팅하기 0.377

4. 인터넷에서 정보 검색하기 0.822

5. 파일이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기 0.599

6. 파일을 이메일에 첨부하기 0.748

7. 워드 프로세서(예: 한글) 사용하기 0.476

8. 음악 듣기 0.826

9. 이메일 쓰거나 보내기 0.808

2. 프로그램 찾거나 바이러스 제거하기 0.612

3. 디지털 사진이나 그래픽 이미지 편집하기 0.692

10. 웹페이지 또는 홈페이지 만들기 0.567

<표 3-3> ICT 활용 능력 측정 문항의 요인분석 결과

SELS 데이터의 ICT 활용 능력을 활용한 선행연구(권선아, 이수영, 2017; 심재권, 2020)들은 ICT 활용 능력 측정 문항을 활용하여 학생의 학 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지만 활용 능력을 유의미한 군집으로 분류하여 분석에 활용하지 않았기에, 분류된 문항의 성격과 초등학교 ICT 교육과정 관련 선행연구(문외식, 2002)에 근거하여 기초능력과 심화 능력으로 명명하였다.

기초능력 요인에 분류된 측정 문항은 온라인 채팅, 인터넷에서 정보 검색, 파일이나 프로그램 다운로드, 파일 이메일에 첨부하기, 워드 프로 세서 사용, 음악 듣기, 이메일 쓰거나 보내기 능력으로, 초등학교 ICT 교 육과정의 2~3단계(3~6학년)에 해당하는 능력이다. 이에 기초능력으로 명 명하였다. 심화능력은 디지털 사진이나 그래픽 이미지 편집하기, 웹페이 지 또는 홈페이지 만들기 문항인데, ICT 활용에 있어 필수적으로 알아야 하는 능력이 아니고 특수한 기술을 배워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이기에 이와 같이 명명하였다.

다. 스마트폰 활용 목적별 시간 측정 문항

학생의 목적별 스마트폰 활용 시간을 측정하는 문항(‘스마트폰을 사 용하는 시간은 “하루”에 보통 몇 시간입니까?’)에 대한 8개 응답 문 항의 요인분석 결과는 <표 3-4>와 같다. 요인분석 결과, 두 개의 요인으 로 분류되었는데, 적합도가 KMO(.784)>.7, Bartlette의 구형성 검정치는

p.(.000)<0.001을 만족하는 것을 확인하여 각각을 친교 및 유희, 학습 요 인으로 명명하였다. 이는 역시 선행연구(김종윤 외, 2017; 김혜숙, 2012;

박현정 외, 2011; Chiao&Chiu, 2018)와 요인 내 목적들의 분류를 바탕으 로 명명한 것이다. 각각의 목적에 따른 시간은 주중과 주말 활용 시간으 로 분류되어 있어, 일주일 간 활용 시간으로 변환하였다.

요인 문항 번호 및 내용

요인1 요인2

친교 및

유희 학습

1. 통화 0.572

2. 문자, 스마트폰, 메신저(카카오 톡 등) 0.882

3. 소셜 네트워크(페북, 카카오스토리 등) 0.808

8. 모바일 게임 0.371

4. 인터넷 강의 0.630

5. 학습 관련 문제해결 0.799

6. 음악 및 일반 동영상 0.496

7. 일반정보검색(뉴스 및 생활정보) 0.368

<표 3-4> 스마트폰 활용 시간 측정 문항의 요인분석 결과

Dalam dokumen 비영리 - S-Space - 서울대학교 (Halaman 41-45)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