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학교 교육의 평균적 조절효과 분석

Dalam dokumen 비영리 - S-Space - 서울대학교 (Halaman 61-67)

먼저, 학생의 ICT 활용 양상 및 능력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학교의 평균적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전체 분석 대상에 대해 상 호작용항을 투입한 이원고정효과모형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가. 학교의 스마트폰 활용 수업 활성화도의 조절효과

먼저, 학교 내에 스마트폰 활용 수업의 활성화도가 학생의 학업성취도 에 미치는 ICT 활용 양상 및 능력의 영향을 조절할 수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확인하기 위해 본 분석을 실시하였다. ‘학교의 스마트폰 활용 수업 활성화도’는 교사가 ‘주변 교사가 얼마나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수업을 하는지’를 묻는 문항에 응답한 값을 학교 수준으로 변환한 변수

이다. 이에 소득분위가 다르더라도 같은 학교에 재학하는 학생은 동일한 교육 처치를 받게 된다. 본 분석의 결과는 다음 <표 4-5>와 같다.

구분 국어

성취도

수학 성취도

영어 성취도

I C T 활용 빈도

유희

-0.209 -2.992 0.234 (2.425) (4.091) (4.104)

친교 2.237 2.943 4.633

(2.538) (4.059) (4.110) 학습

-0.323 0.0330 0.684 (2.317) (3.821) (4.015) I C T

활용 능력

기초 17.42** 16.85 -5.449

(8.345) (16.87) (16.55) 심화

-9.060** -11.69* -10.61*

(4.050) (6.754) (6.269) 스마

트폰 활용 시간

친교 및 유희 -1.422 -3.592** -4.322***

(0.938) (1.676) (1.617) 학습

-0.233 2.608 0.501 (1.095) (1.853) (1.839)

I C T 활용 빈도

유희

× 학교의 스마트폰 활용 수업 활성화도

-0.724 -0.0840 -1.028 (0.752) (1.235) (1.244) 친교

× 학교의 스마트폰 활용 수업 활성화도

-0.693 -0.723 -1.358 (0.781) (1.246) (1.293) 학습

× 학교의 스마트폰 활용 수업 활성화도

0.211 -0.112 0.0184 (0.710) (1.154) (1.231) I C T

활용 능력

기초

× 학교의 스마트폰 활용 수업 활성화도

-2.607 -2.651 5.409 (2.681) (5.494) (5.331) 심화

× 학교의 스마트폰 활용 수업 활성화도

1.634 2.509 2.729 (1.249) (2.121) (1.929) 스마

트폰 활용 시간

친교 및 유희

× 학교의 스마트폰 활용 수업 활성화도

0.148 0.648 1.111**

(0.296) (0.538) (0.515) 학습

× 학교의 스마트폰 활용 수업 활성화도

0.264 -0.372 0.166 (0.337) (0.577) (0.573)

과목별 수업태도 -0.693 0.498 2.935***

<표 4-5> 학생의 ICT 활용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학교의 스마트폰 활용 수업 활성화 정도의 조절효과

(0.722) (1.015) (0.988) 과목별 교사와의

관계

0.568 1.265 1.171 (0.725) (1.138) (1.084)

과목별 학습시간 0.118 0.932*** 1.182***

(0.249) (0.351) (0.347) 과목별

사교육 시간

0.440** 0.920*** 1.231***

(0.208) (0.262) (0.299)

자기통제력 0.899 4.878*** 1.518

(0.763) (1.326) (1.296)

성취목표 0.596 0.567 -1.363

(0.762) (1.196) (1.275)

진로성숙도 2.563*** 0.208 2.961*

(0.930) (1.495) (1.614)

교우관계 -0.980 -2.836** -3.559**

(0.915) (1.364) (1.506)

로그 월평균 소득 0.899 -1.246 -1.941

(1.419) (2.202) (1.999)

문화자본 1.620* 5.205*** 0.612

(0.865) (1.474) (1.359) 부모의 자녀

학업적 관심

-1.077 -0.0366 -1.629 (0.700) (1.117) (1.077)

설립 유형 -0.333 -0.275 -0.678

(0.663) (0.709) (0.730)

학교 규모 -0.0918 -0.174 -0.0574

(0.0820) (0.138) (0.130)

학교 소재지 2.286 -3.478 7.213

(4.039) (4.992) (5.325)

학교 평균 SES -1.061 1.810 4.080

(2.802) (4.445) (4.548)

학교 컴퓨터실 수 -0.733 -1.299 -1.973*

(0.701) (1.082) (1.062)

테크놀로지 교과교실 운영 0.475 1.719 -1.633

(1.242) (1.751) (2.063)

스마트폰기기 활용 수업 활성도 8.486 3.758 -16.12

(7.007) (14.80) (13.85)

교사의 스마트폰 활용 수업 능력 -0.903 0.632 -1.633

(0.941) (1.452) (1.506)

교사 ICT 활용 연수 참여 시간 2.765*** 3.950*** 1.415

(0.807) (1.244) (1.185)

온라인 교수학습체제 활용도 -0.0596 -0.112 0.626

(0.260) (0.411) (0.406)

절편 369.1*** 362.6*** 440.0***

(29.52) (53.38) (55.24)

개체 고정 O O O

연도 고정 O O O

*** p<0.01, ** p<0.05, * p<0.1

분석 결과, 친교 및 유희 목적의 스마트폰 활용 시간과 ‘학교의 스마 트폰 활용 수업의 활성화도’ 상호작용항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어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앞 서 [표 4-2]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친교 및 유희 목적의 스마트폰 활용 시간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학교 교육의 효과로 인해 긍 정적인 방향으로 작용한 것을 의미한다. 즉, 평균적으로 학교의 다수의 선생님들이 스마트폰 활용 수업을 적극적으로 활용할수록 학생들이 친교 및 유희 목적의 스마트폰 활용 시간이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준 것이다. 이는 교사가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수업하는 것을 본 학생들 에게 모델링 및 학습 방법 학습의 효과가 나타났거나, 친교 및 유희 목 적으로 소비하던 동영상 등을 학습에 유리한 것으로 바꾸는 등의 디지털 리터러시의 교육 효과가 발생한 것으로 추측된다.

나. 교사의 스마트기기 활용 수업 능력의 조절효과

이어, 또 다른 조절변수인 교사의 평균적 스마트기기 활용 수업 능숙 도가 학생의 ICT 활용 양상 및 능력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어 떠한 상호작용 효과를 갖는지 확인하였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 <표 4-6>

과 같다.

0.337 0.067 0.289

N 7,907 6,269 6,232

구분 국어

성취도

수학 성취도

영어 성취도

I C T 활용 빈도

유희 -0.284 0.173 -3.118

(2.742) (4.357) (4.259)

친교 4.778 5.290 3.486

(2.926) (4.448) (4.079)

학습 -1.605 0.619 -0.364

(2.658) (4.177) (3.951)

<표 4-6> 학생의 ICT 활용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교사의 스마트기기 활용 수업 능력의 조절효과

I C T 활용 능력

기초 8.491 10.88 31.62*

(9.500) (17.85) (17.57)

심화 -7.752* -12.64* -6.381

(4.310) (7.132) (6.921) 스마

트폰 활용 시간

친교 및 유희 -2.213** -5.078*** -2.482

(1.074) (1.758) (1.662)

학습 0.253 1.053 2.490

(1.233) (1.794) (1.677)

I C T 활용 빈도

유희

× 교사 스마트기기 활용 수업 능력

-0.760 -1.124 -0.0551 (0.938) (1.475) (1.452) 친교

× 교사 스마트기기 활용 수업 능력

-1.680* -1.734 -0.990 (0.991) (1.533) (1.422) 학습

× 교사 스마트기기 활용 수업 능력

0.682 0.0350 0.0121 (0.908) (1.446) (1.357) I C T

활용 능력

기초

× 교사 스마트기기 활용 수업 능력

0.384 0.0531 -8.302 (3.381) (6.482) (6.466) 심화

× 교사 스마트기기 활용 수업 능력

1.344 3.778 0.898 (1.464) (2.409) (2.379) 스마

트폰 활용 시간

친교 및 유희

× 교사 스마트기기 활용 수업 능력

0.437 1.464** 0.320 (0.367) (0.593) (0.581) 학습

× 교사 스마트기기 활용 수업 능력

0.126 0.0147 -0.382 (0.430) (0.636) (0.597)

과목별 수업태도 -0.693 2.968*** 0.489

(0.722) (0.989) (1.009) 과목별 교사와의

관계

0.603 1.288 1.305 (0.725) (1.089) (1.137)

과목별 학습시간 0.124 1.138*** 0.915***

(0.249) (0.347) (0.350) 과목별

사교육 시간

0.443** 1.242*** 0.915***

(0.208) (0.298) (0.262)

자기통제력 0.896 1.463 4.769***

(0.766) (1.312) (1.334)

성취목표 0.597 -1.301 0.587

(0.762) (1.278) (1.196)

진로성숙도 2.553*** 2.958* 0.240

(0.927) (1.613) (1.487)

교우관계 -0.964 -3.665** -2.825**

(0.910) (1.501) (1.361)

로그 월평균 소득 0.882 -1.957 -1.232

(1.415) (2.012) (2.201)

문화자본 1.569* 0.562 5.231***

(0.863) (1.365) (1.468) 부모의 자녀

학업적 관심

-1.063 -1.625 -0.00458 (0.702) (1.076) (1.117)

설립 유형 -0.299 -0.576 -0.292

*** p<0.01, ** p<0.05, * p<0.1

분석 결과, 학교의 평균적인 교사의 스마트기기 활용 수업 능력이 향 상될수록 친목 및 유희 목적으로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시간이 학업성취 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교의 스마트기기 활용 수업의 활성화 정도의 상호작용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보여주는 것 이다. 즉, 학교의 교사들이 개인의 스마트기기 활용 수업의 전문성을 갖 고, 단위 학교 내에서 이를 적극 활용하는 풍토를 조성한다면 학생들이 학업을 위해 ICT 기기를 긍정적으로 활용하는 학습의 기회가 될 것이다.

한편, 본 상호작용항은 ICT기기를 친교 목적의 빈도 변수에는 부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ICT 활용 빈도 항목이 휴대폰, 컴퓨터 등 의 사용 빈도를 종합적으로 측정하는 것이라 스마트기기 활용 관련 상호 작용과 부적인 하강효과를 내는 것인지 추가적인 확인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0.667) (0.732) (0.714)

학교 규모 -0.0932 -0.0673 -0.181

(0.0817) (0.130) (0.138)

학교 소재지 -0.971 4.538 2.171

(2.800) (4.538) (4.448)

학교 평균 SES 2.417 7.044 -3.470

(4.019) (5.288) (4.950)

학교 컴퓨터실 수 -0.715 -1.921* -1.297

(0.703) (1.062) (1.079)

테크놀로지 교과교실 운영 0.517 -1.648 1.732

(1.244) (2.065) (1.753)

스마트폰기기 활용 수업 활성도 2.045** 2.319* -0.0966

(0.827) (1.284) (1.316)

교사의 스마트폰 활용 수업 능력 -0.0203 -5.911 26.77

(8.722) (16.43) (16.84)

교사 ICT 활용 연수 참여 시간 2.791*** 1.515 3.936***

(0.804) (1.183) (1.236)

온라인 교수학습체제 활용도 -0.0465 0.622 -0.0956

(0.261) (0.408) (0.413)

절편 384.6*** 315.2*** 376.8***

(32.40) (55.07) (56.63)

개체 고정 O O O

연도 고정 O O O

0.337 0.066 0.289

N 7,907 6,269 6,232

Dalam dokumen 비영리 - S-Space - 서울대학교 (Halaman 61-67)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