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유도저항성 미생물 항공살포 시험구의 소나무재선충병 감염 및 고사율

가) 감염 및 고사율 (1) 시험구 1[그림 30]

· 4월 당시 초기건강목은 215본 중 5본이 감염․고사목으로 전환됨(감염․고사율 2.3%)

[그림 30] 유도저항성 미생물 시험구 1 모니터링 결과 (2) 시험구 2[그림 31]

· 4월 당시 초기건강목은 101본 중 2본이 감염․고사목으로 전환됨(감염․고사율 1.98%)

[그림 31] 유도저항성 미생물 시험구 2 모니터링 결과

Ⅲ. 소나무재선충병 매개충 유인목의 방제 효과성 분석 2. 연구 방법 및 대상지

│국립공원 생태계서비스 증진을 위한 병해충 관리방안 연구│47

(3) 시험구 3[그림 32]

· 4월 당시 초기건강목은 475본 중 39본이 감염․고사목으로 전환됨(감염․고사율 8.2%)

[그림 32] 유도저항성 물질 시험구 3 모니터링 결과

시험구 특성 면적 건강목 감염·

고사목 발병율

2022년 감염·고사

전환목

감염 및 고사율

시험구 1 재선충병 혼재 1.7ha 215본 17본 7.3% 5본 2.3%

시험구 2 상동 0.34ha 101본 6본 5.6% 2본 1.98%

시험구 3 상동 4ha 475본 166본 25.9% 39본 8.2%

시험구 4 상동 1.7ha 111본 3본 2.6% 4본 3.6%

시험구 5 상동 4.6ha 618본 320본 34.1% 57본 9.2%

계 12.34ha 1,520본 512본 25.2% 107본 7.0%

[표 13] 유도저항성 미생물 5개 시험구 모니터링 결과(2022년)

· 시험구 3 유도저항성 미생물 처리구/무처리구 감염․고사율 조사[표 14]

→ 2022년 9월 20일과 10월 28일 2회에 걸쳐 시험목에 대한 매목조사를 실시함

→ 1차 조사에서 감염율 10%~20% 증상을 보인 감염목은 2차 모니터링에서 30%이상 감염율을 보이는 증상악화 현상을 보임

→ 무처리구는 초기건강목 96본에서 최종 감염․고사목 전환은 24본임(감염․고사율 25%)

→ 처리구는 초기건강목 94본에서 최종 감염․고사목 전환은 10본임(감염․고사율 10.6%)

→ 따라서, 소나무재선충의 자연 발병률(25%)에 대해 유도저항성 물질의 병 발병 억제율은 2.35배 높았으며, 이는 유도저항성 물질 항공살포로 인해 소나무재선충 발병률을 50%이상으로 감소시킬 수 있음을 의미함

Ⅲ. 소나무재선충병 매개충 유인목의 방제 효과성 분석 1. 연구내용

48

고사정도(%) 무처리구(96본) 처리구(94본)

9월20일 10월 28일 9월20일 10월28일

10 1 0 0 0

15 2 0 0 0

20 2 1 0 0

30 3 6 0 3

40 0 0 1 0

50 0 1 0 1

70 0 0 2 2

100 12 16 1 4

감염

고사목 총수 20 24 4 10

[표 14] 거제 화도 유도저항성 미생물 처리구/대조구 감염․고사목 전환 결과(2022년)

· 시험구 3 유도저항성 미생물 처리구/무처리구 채집샘플의 소나무재선충 조사[표 15]

→ 처리구에서 70% 이상의 고사율을 보인 고사목 6본에서 시료를 채취함

구분 구역 샘플 줄기무게(g) 무처리구(96본)

선충서식목(%) 200㎕ 10㎖ 10g 평균

처리구

(6샘플) 처리구

W59 10.27 0 0 0

88 66.7

(4/6)

W18R22 9.23 2 50 54

R16(Tr) 11.16 0 0 0

W28 8.96 1 50 56

W53 9.9 6 300 303

W70 8.54 2 100 117

무 처 리 구 (16본)

1

Y4 9.95 24 600 603

201 62.5 (10/16)

Y8 9.91 0 0 0

Y20 11.76 0 0 0

Y16 11.92 7 350 294

Y18 10 1 50 50

2

Y25 9.22 0 0 0

Y35 9.16 1 25 27

R16(con) 7.21 5 125 173

Y34 9.11 7 350 384

3

Y42 8.64 41 1025 1186

Y51 8.92 11 275 308

Y53 8.67 3 75 87

Y54 10.25 0 0 0

R19(Con) 9.3 4 100 108

Y56 11.43 0 0 0

4 Y79 8.9 0 0 0

[표 15] 거제 화도 유도저항성 미생물 처리구/대조구 샘플 소나무재선충 조사결과(2022년)

→ 무처리구에서 70% 이상에 포함되는 감염목이 없어, 100% 고사율을 보인 고사목 16본에서 시료를 채취함

→ 1차 및 2차 조사 종합결과 처리구에서는 6본 중 4본(66.7%)에서 10g당 평균 88마리의

Ⅲ. 소나무재선충병 매개충 유인목의 방제 효과성 분석 2. 연구 방법 및 대상지

│국립공원 생태계서비스 증진을 위한 병해충 관리방안 연구│49

소나무재선충 밀도를 보임

→ 1차 및 2차 조사 종합결과 무처리구에서는 16본 중 10본(62.5%)에서 10g당 평균 201마리의 소나무재선충 밀도를 보임

→ 결과적으로 유도저항성 미생물 처리구보다 무처리구에서 2.3배 높은 소나무재선충 밀도를 확인하였으며, 유도저항성 미생물 처리 후 신규감염 및 고사가 되더라도 소나무재선충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있음을 보여줌

(4) 시험구 4[그림 33]

· 4월 당시 초기건강목은 111본 중 4본이 감염․고사목으로 전환됨(감염․고사율 3.6%)

· 4본의 감염․고사목에는 천적곰팡이 나무주사 중복적용 시험목 66본 중 2본(K-1, K-40)이 포함됨

· 유도저항성 미생물+천적곰팡이 중복 시험목 66본의 감염․고사율은 3.0%임

[그림 33] 유도저항성 미생물 시험구 4 모니터링 결과

(5) 시험구 5[그림 34]

· 시험구 5는 4월 당시 초기건강목 618본, 감염․고사목이 320본으로 감염감염․고사율이 34%

수준인 지역임

· 4월 당시 초기건강목 618본 중 57본이 감염․고사목으로 전환됨(감염․고사율 9.2%)

Ⅲ. 소나무재선충병 매개충 유인목의 방제 효과성 분석 1. 연구내용

50

[그림 34] 유도저항성 미생물 시험구 5 모니터링 결과

드론을 이용한

소나무재선충병 예찰

Ⅲ. 소나무재선충병 매개충 유인목의 방제 효과성 분석 2. 연구 방법 및 대상지

│국립공원 생태계서비스 증진을 위한 병해충 관리방안 연구│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