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독재정권은 대중의 지지를 받아야 권력을 안정시킬 수 있다.
독재정권은 인민들이 정권을 열렬히 지지하든지, 단순히 억압에 반 응하든지 간에 인민들을 동원할 수 있는 한
생존할 수 있다. 정권에
대한 인민의 지지가 부족하면, 반대운동이 활발해진다.262)독재정
권에서
독재자 사망 이후에 민주화 시위가 발생할 경우, 정권 교체
가능성이
압도적으로 높기 때문이다.
안드레아
켄달-테일러(Andrea Kendall-Taylor)와 에리카 프란
츠
(Erica Frantz)는 독재자 사망으로 5년 내에 민주정권으로 이어
질
가능성은 24%에 불과하다고 주장한다 .
263)그러나 민주화 시위
가
발생한 후 정권 교체 가능성은 90%가 넘었고, 대규모 민주화 시
위가
발생한 국가의 50%는 독재정권을 무너뜨리고 민주화를 실현했
다
.
264)독재정권의 생존에는 대중의 지지와 분열되거나 약한 반대
운동이
결정적 영향을 미친다 .
265)독재정권은 생존을 위해서 대중
의
지지를 확보하고 반대운동을 막기 위한 전략과 정책을 실행한다 .
독재정권의 인민 정책은 이중적이다. 독재정권은 모든 인민을
동
등하게 대우하지 않는다. 지지자들에게는 제도적으로 인센티브를제공한다
. 인민들이 독재정권을 지지하는 동인은 독재정권이 제공
하는 인센티브이기 때문이다.266)
지지자들에 대한 인센티브는 독재
262) Natasha M. Ezrow and Erica Frantz, Dictators and Dictatorships:
Understanding Authoritarian Regimes and Their Leaders, (New York:
Bloomsbury, 2011), p. 55.
263) Andrea Kendall-Taylor, Erica Frantz, “When Dictators Die,”, p. 165.
264) Ibid., p. 165.
265) Natasha M. Ezrow and Erica Frantz, Dictators and Dictatorships:
Understanding Authoritarian Regimes and Their Leaders, pp. 55~58.
266) Ronald Wintrobe, The Political Economy of Dictatorship; 1st edition,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p. 4; Natasha M. Ezrow and Erica
정권에서 통치의 핵심이다. 독재정권은 지지자들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하기
위해서 세금을 걷어 자원을 확보한다.
267)독재정권을 유
지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수단을 동원해서 충분한 자원을 확보해야
한다.
그러나
반대자들은 철저하게 억압하거나 세금을 부과한다.
268)독
재정권이
정치적 반대에 관용을 베풀 경우, 정권의 불안정이 심화하
기
때문이다 . 강압적인 독재정권은 시민단체를 허용하지 않고 , 인민
들의 정치
‧
사상의 자유와 집회‧
결사의 자유를 불허한다. 독재정권
을
반대하는 시위가 발생하면 , 무자비하게 진압하고 시위대를 향해
발포한다
. 인민들이 독재정권을 반대하더라도, 반대 의사를 시위의
형태로 표출하지 못하도록
철저하게 봉쇄한다.
권력승계
직후에 김정은에 대한 인민들의 지지는 취약했다 . 북한
인민들은
2009년부터 후계자로 등장한 김정은에 대해서 잘 알지 못
했다. 권력세습 이후 김정은
정권의 가장 큰 도전과제 중 하나는 김
정은에
대한 인민들의 반대를 막고, 인민들의 지지를 얻는 것이었
다
. 김정은 정권이 인민들의 지지를 받지 못하면 정권의 불안정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 김정은 정권은 권력승계 직후부터 인민들의 지
지를 얻기 위한 정책을 실행했다
.
김정은
정권의 인민정책은 이중적이었다. 지지자들에게는 관대하
고
, 반대자들은 강력하게 억압 ‧
통제한다. 김정은 정권이 제시한인
민사랑과 인민대중제일주의는 지지자들을 향한 정책이다. 반면에
Frantz, Dictators and Dictatorships: Understanding Authoritarian Regimes and Their Leaders, pp. 55~56.
267) Bruce Bueno De Mesquita, et al., The Logic of Political Survival, (Massachusetts: The MIT Press, 2005), p. 26; 브루스 부에노 데 메스키타, 알라 스케어 스미스 지음, 이미숙 옮김, 독재자의 핸드북, p. 70, p. 144.
268) Ronald Wintrobe, The Political Economy of Dictatorship; 1st edition, p. 4:
Natasha M. Ezrow, Erica Frantz, Dictators and Dictatorships: Understanding Authoritarian Regimes and Their Leaders, pp. 55~56.
적대 계층이거나 정권 위협 세력으로 분류된
사람들은 감시 ‧
억압한다
. 김정은 정권의 인민정책은 3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김정
은
정권은 김일성 정권 이후 발전한 이중적 인민정책을 실행하는 기
존의 제도와
시스템을 활용했다 . 북한 정권이 인민정책을 실행하는
제도와
시스템은 인민들을 지지자와 반대자로 구분해서 이중적으로
대응하는
것이었다 . 김정은 정권은 기존 제도와 시스템을 이용해서
인민들의
반대를
억압하고, 지지를
얻기 위한 정책을 실행했다.둘째, 김정은 정권은 인민들에게서
김정은의 권위와 정통성을 인
정받기
위한 정책을 실행했다 . 최고지도자인 김정은의 권위와 정통
성의 확립은
중요한 과제였다 . 김정은의 권위는 인민들이 김정은의
권위가
존재한다고 믿고, 그 권위가 적절하게 활용될 때 확립된다 .
김정은의
정통성은 인민들이 김정은이 권위를 보유하고, 그 권위를
적절히
활용한다고 생각할 때 만들어진다.
269)김정은 정권은 권력
세습 초기에
김정은의 권위와 정통성을 확립하기 위해서 다양한 정
책을 실행했다.셋째, 김정은 정권은 인민중시정책을 표방했다
. 인민중시는 권력
세습 초기부터시종일관 강조됐다. 김정은 정권은 집권 10년 동안
인민들의
지지를 받기 위해 노력했다 . 김정은 정권의 인민중시정책
은
인민대중제일주의로 발전했다. 김정은 정권은 2013년 2월 제4차
당세포비서 대회에서
인민대중제일주의를 제시했고 , 2016년 제8차
당대회에서 인민대중제일주의를 사회주의 기본 정치방식으로 규정 했다.김정은
정권의 이중적 인민정책은 김정은 정권에서 독자적으로 개
발한
것이 아니다. 조선노동당이 80년 이상 통치하면서 제도화한 것
269)필립스 쉬블리 지음, 김계동 외 옮김, 정치학 개론: 권력과 선택, (서울: 명인문화사, 2017), p. 17.
이다
. 김정은 정권은 조선노동당이 구축한 이중적 인민정책의 제도
와
시스템을 활용하면서 김정은의 권위와 정통성을 확립하고 , 인민
중시정책을
실행했다. 김정은 정권은 지지자들의 지지를 결집하고 ,
반대자들을억압하면서 정권을 안정시켰다 . 이하에서는 김정은 집권
10년 동안 실시한 이중적 인민정책을 기존 제도와 시스템 활용, 김정
은의 권위와
정통성 확립, 인민중시정책으로 구분해서 분석한다.
가. 기존의 인민 통제 시스템 활용
독재정권이 인민들의 지지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가장 기본
적인 전략은 지지자들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반대자들을 억압하거나
불이익을 주는 것이다 . 지지자들이 받는 인센티브는 정부의
성과에
대한 배분과 같은 재정적인 것부터 신변의 안전보장까지 포
괄한다
. 지지자들이 얻는 이익은 보조금, 현금 지원, 공공재, 주택,
의료서비스, 직업 등이다. 반면에 반대자들에게는
이익을 배분하지
않거나
강력하게 처벌한다. 많은 독재정권은 정권에 반대하려는 의
욕을 꺾기 위해서 억압을 사용한다.270)
강력한 억압은 인민들의 정
치적 반대를 막는 확실한 방법이다.북한은
80여 년에 걸친 조선노동당의 통치를 통해서 지지자들에
대한 인센티브와 반대자들에 대한 억압시스템을 제도화했다. 북한
정권은
인민들을 지지자들과 반대자들로 분류했다. 김일성 정권은
1956년 반종파 투쟁이 끝난 후 당 ‧
정‧
군의 주요 기관과지방 등 사
회
곳곳에 남아있는 잠재적 위험 세력을 색출하기 위해 주민성분조
사사업을
실시했다.
271)주민성분조사사업은 인민들을 김일성 정권
270) Milan W. Svolik, The Politics of Authoritarian Rule, p. 124; Natasha M.
Ezrow and Erica Frantz, Dictators and Dictatorships: Understanding Authoritarian Regimes and Their Leaders, p. 56.
271) 오경섭, “북한 전체주의 사회통제와 체제 내구성” 세종정책연구5권 2호, (성남:
에
대한 지지자와 반대자로
구분했다.
주민성분조사사업은
1956년 반종파 투쟁이 끝난 후인 1958년 중
앙당집중지도사업으로 시작됐다. 중앙당집중지도사업은 김일성과 조선노동당에반대할 것으로 예상된 남로당파 ‧
소련파‧
연안파와 관련이
있는 주민들과 그 가족들을 적발해서 숙청했다. 1958년 12월부
터
1960년 12월 사이에는 월남자 가족, 치안대원 출신과 가족, 지주
등
자산계급, 일제 부역자 , 종파분자 가족 등을 색출해서 숙청했다.
주민재등록사업은 1966년
4월부터 1967년 3월까지 진행했다 . 북한
정권은직계 3대와 처가 ‧
외가6촌까지 내사해서 주민들의 성분을 분
류했다
. 주민성분분류사업은 1967년 4월부터 1970년 6월까지 가족
의
계급적 배경과 사회적 활동을 기준으로 전 주민을 핵심 계층(약
28%), 적대 계층(약 45%),
동요 계층(약27%)의 3계층 51개 부류로
구분했다
. 북한 주민들은 출신성분에 따라 차별대우를 받았다.
272)김일성
정권에 대한 반대 세력인 적대 계층은 약 320만 명이었다 .
적대 계층에서 인민재판으로
6천
명이 처형됐다. 또한‘내각결정
149호 ’는 적대분자와 반혁명분자로 규정된 1만5,000세대 약 7만여
명을 산간벽지의 149호 대상 지역에 강제 이주시켜 격리했다.273)
김일성
정권에서 도입한 출신성분은 김정은 정권까지 유지되면서
인민들의
사회생활에 영향을 미친다. 출신성분은 당원 선발, 입대,
당과 내각의 신입 간부 채용, 승진 등에 적용되는 가장 기본적인 기
준이다
. 지지자 집단인 핵심 계층은 출신성분에 따른 이익을 공유하
세종연구소, 2019), p. 237.
272)이금순 외, 북한인권백서 2009(서울: 통일연구원, 2009), pp. 138~140; 내외통 신사, 북한실상 종합자료집: 탈북자들의 증언을 통해 본 북한사회, (서울: 내외통 신사 부설 북한문제연구소, 1995), p. 141., 재인용: 오경섭, “북한 전체주의 사회통 제와 체제 내구성,” p. 237.
273)박완신, “북한의 인권과 정치범수용소 실상,” 통일로, 56호, (안보문제연구원, 1993), p. 87., 재인용: 오경섭, “북한 전체주의 사회통제와 체제 내구성,” p. 237.
고
, 반대자 집단인 적대 계층은 차별과 불이익을 받는다 . 핵심 계층
에
속하는 북한 주민들은 당원 선발, 입대, 당과 내각의 신입 간부
채용, 승진 등 사회생활
전반에서 우대를
받았다.
당과
내각의 신입 간부들은 출신성분 , 김정은과 당에 대한 충실성
을
기준으로 선발한다. 조선노동당은 대학 졸업생 중에서 당원을 선
발하는데
, 사회 성분(군 복무자나 노동자 출신 우대), 학업성적 , 사
상
동향, 대학 생활 등이 우수한 학생을 선발하고, 이들의 신원확인
절차를
거쳐 문제가 없는 학생들을 최종 인사 대상자로 결정한다 .
사상 동향에
문제가 있는 학생들은 대학 학생 간부와의 신원확인에
서
탈락한다. 신입 간부 선발 과정에서 우대받는 학생들은 당원과
사회 성분(군 복무자나 노동자 출신)이 우수한 학생들이다.274)
북한의
기관, 공장 ‧
기업소, 협동농장에서 승진은 출신성분에 따
라
달라진다. 조선노동당은 「당 방침에 맞게 기층간부 선발사업을
집행할 대 대하여」라는
지시문을 통해서 성분별 승진 상한선을 정한
다
. 적대 계층 중에서 6 ‧ 25 당시 포로 귀환자는 협동농장, 기관 ‧
기업소의 작업반장까지, 신민당 가입자는 4급 기업소 행정일꾼까지
가능하다
. 이들은 성분 기준으로 볼 때, 입당이 어렵다. 그러나 현장
에서
공로를 인정받으면 화선입당을 할 수 있고, 당세포비서를 맡을
수
있다. 승진 제한 기준은 본인의 직계 존비속까지 해당하고, 2대
를
넘어가면 승진한계선도 상향조정된다 . 예컨대 신민당 가입자의
경우 본인의 손자 대에 이르면
2급 기업소 부지배인까지 승진할 수
있다.275)북한 주민들이
가장 선망하는 직업인 외교관은 선발 과정에서 핵
심
계층 자녀들에게 더 많은 혜택을 제공한다 . 외교관 양성 중등교
274) 최진욱, 현대북한행정론(서울: 인간사랑, 2002), pp. 212~215.
275) 내외통신사, 북한실상 종합자료집: 탈북자들의 증언을 통해 본 북한사회, p. 1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