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서이리안 사태와 적대적 정체성의 형성

III. 미국과 인도네시아: 협력과 갈등의 딜레마

2. 서이리안 사태와 적대적 정체성의 형성

1) 1949~1950년 미국과의 우호적 관계형성

(1) 공산주의 반란과 진압

1950년대 초반까지 미국과 인도네시아는 공산주의 세력을 위협 으로 규정하는데 있어서 일정한 인식을 공유하고 있었다. 특히 공산주의 반란으 발생과 이에 대한 진압은 미국이 인도네시아를 ‘반공국가’로 나 아가게 하는데 있어서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1948년, 1920년대의 공 산당의 지도자였던 무소(Musso)는 소련에서의 오랜 망명생활 끝에 인도 네시아의 요카르타(Yogyakarta)지역으로 돌아와 급진적인 공산혁명을 계획한다. 그는 기존에 존재하던 인도네시아 공산당(PKI)이 인도네시아 독립혁명 초기부터 주도권을 잡는데 실패했다고 봤다. 그의 계획은 공산 당이 주축이 되어 네덜란드로부터의 독립은 물론 네덜란드와 미국의 ‘앞 잡이’노릇을 했던 수카르노-하타 등의 민족주의 세력을 전복시켜야 한다 는 것이었다.96) 무소의 반란은 동부 자바지역과 마디운(Madiun)지역에 걸쳐서 일어났으며 격렬한 전투가 벌어지긴 했지만 1달 만에 인도네시 아 정부군에 의해 진압되고 무소를 비롯한 공산주의자들은 처형되거나 국외로 도피하게 된다.97)

무소는 당시 일정하게 소련의 영향력 하에 있었던 것으로 보인 다. 그는 1926년 한 차례의 반란 실패 이후 오랫동안 소련에서 활동해 왔으며 소련과의 긴밀한 연계를 통해 혁명 상황을 지속적으로 보고해왔 었다. 이에 대해 스탈린 또한 인도네시아에서 네덜란드 제국주의 세력에 대한 투쟁은 물론 궁극적인 공산혁명을 위한 단계적 투쟁이 필요하다고 지적하는 등, 이를 승인하는 모습을 보인다. 물론 스탈린은 1948년 당시

96) Cyril E. Black and Thomas P. Thornton, Communism and Revolution: The Strategic Uses of Political Violence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4), p. 177.

97) Feith, 1962, p. 11.

만 해도 직접적인 무장봉기를 통한 혁명은 다소 성급하다는 입장을 견지 하고 있었다. 인도네시아 공산주의 운동은 성급한 무장투쟁의 노선을 취 하기보다는 네덜란드로부터의 독립투쟁에 전념할 필요가 있으며 궁극적 인 혁명 투쟁은 이후의 토지 분배와 노동자 세력의 조직화를 통한 혁명 역량을 기르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98)

소련의 직접적인 지시 여부의 불명확성에도 불구하고 공산주의 세력에 의한 직접적인 무장투쟁의 발발은 인도네시아 정부에게 있어서 소련과 공산주의 세력의 연계를 의심하게 하기에 충분했다. 당시 인도네 시아 정보부 장관은 공산반란의 배경을 분석하면서 당시 새롭게 도착한 무소는 소련의 영향력아래 있었으며 반란의 배후에는 소련이 있음을 지 적했다.99) 하타 역시 공산 반란 세력의 배후에는 소련이 있으며 인도네 시아가 우려하는 것은 반란 세력이 말라야 반도에 있는 다른 공산주의 세력과 연계해 무기를 공급받는 것이라고 말했다.100) 인도네시아의 독립 과 내적 통일성을 최우선으로 삼고 있던 인도네시아 정부에게 있어 공산 주의 반란은 국가의 안보와 독립을 위협으로 인식되었다. 수카르노는 라 디오 연설에서 다음과 같은 발언을 통해 공산주의 반란에 대해서 강경한 입장을 취한다.

“...무소가 이끌고 있는 인도네시아 공산당이 권력을 장악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습니다. 존경하는 국민여러분, 인도네시아의 독립투쟁의 이름을 걸고 전 다음과 같이 여러분이 선택을 해줄 것을 요구합니다. 독립의 꿈 을 파괴하는 무소와 인도네시아 공산당을 따를 것인지, 아니면 신의 가 호아래 여러분을 모든 압제에서 해방하고 독립의 길로 이끌게 할 수카르 노와 하타를 따를 것인지 말입니다...”101)

98) Goscha and Ostermann (eds.), 1990, pp. 128~129.

99) The Consul General at Batavia(Livengood) to the Secratary of State , September 20, 1948, FRUS 1948, Vol. 6, pp. 354~355.

100) The Consul General at Batavia(Livengood) to the Secratary of State , September 20, 1948, FRUS 1948, Vol. 6, p. 358.

101) Legge, 1972, pp. 230~231.

이러한 강경한 입장에 따라 인도네시아 정부군은 각 지역에서 공산당 지도자들을 체포하고 정부군을 소집해 강경한 진압작전을 펼치게 된다. 한 달 여 간의 격렬한 전투이후 무소를 비롯한 공산주의 지도자들 은 전투 중에 사망하거나 체포되어 처형당하게 된다.102)

(2) 미국의 인도네시아 독립 지원

인도네시아 정부가 공산주의 반란 세력에 강경한 입장을 보인 것은 미국에게도 인도네시아가 반공주의 입장을 취하고 있다는 점을 확 신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미국은 당시 인도네시아 정책 결정자들에게 공 산주의 반란의 진압이 인도네시아가 반공주의 입장을 명확히 하고 있다 는 점을 보여줄 절호의 기회라는 점을 지속적으로 강조한다. 네덜란드 가 식민지배의 지속 근거로 인도네시아를 비롯해 동남아 지역에서 공산 주의 세력의 격퇴를 들고 있는 만큼, 인도네시아가 공산주의 세력의 진 압에 최선을 다할 경우 이는 네덜란드와의 협상에서는 물론 전 세계에 인도네시아의 반공주의 입장을 명확히 보여주는 사례가 될 수 있다는 것 이었다. 따라서 인도네시아 정부가 공산주의 세력에 대항하는데 적극적 인 노력을 경주할 경우 경제적 지원의 제공은 물론 네덜란드와 인도네시 아의 독립협상에 있어서도 미국 중재가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음을 강조한 다.103) 미국은 인도네시아에게 있어 가장 중대한 문제라고 할 수 있는 독립과 미국의 목표인 공산주의 세력의 억제를 연계시키는 전략을 취한 것이다. 그러면서도 인도네시아의 반공주의 노선을 확고히 하기위해서 인도네시아의 독립과정에 적극적으로 개입하고 중재하려는 모습을 보인 다.

102) Legge, 1972, p. 231.

103) The Consul General at Batavia(Livengood) to the Secratary of State , September 20, 1948, FRUS 1948, Vol. 6, p. 357.

미국에게 있어서 인도네시아와 네덜란드 간의 독립협상이 늦어 지는 것은 지역의 안정을 위협하고 궁극적으로 인도네시아는 물론 동남 아시아 지역에서의 공산주의 세력이 장악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된다는 점에서 우려스러운 점이었다. 1948년 9월 3일, 정무국(National Political Affairs)의 바코는(Mr. James W. Barco) 러스크(Dean Rusk)에게 보낸 전문에서 당시 인도네시아의 상황을 다음과 같이 분석한다.

“...네덜란드가 독립협상에 있어서 양보하지 않고 있는 가운데 인도네시 아인들의 불만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인도네시아인들의 불만은 제3자의 입장에서 충분히 이해가능한 상황이다. 네덜란드의 무역 제재가 지속됨으로서 인도네시아 인들의 생활을 피폐해지고 있으며 최근 의 계속되는 협상실패는 그들의 인내심을 갉아먹고 있다. 그 결과 하타 행정부는 점증하는 좌익과 공산주의 세력의 도전에 점점 더 취약한 상황 으로 몰리고 있다. 비록 인도네시아의 공산주의 세력이 미미한 편이기는 하나 앞으로 상황이 악화되어 하타 정부가 무너질 경우 인도네시아는 혼 란에 빠져들고 좌파정부가 들어서게 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상황은 인도네시아를 넘어서 동남아시아 전역에 걸쳐서 공산주의가 발호하게 될 상황을 야기할 수 있다...”104)

이러한 정세 인식 속에서 인도네시아와 네덜란드 간의 독립협상 과정에서 네덜란드가 계속해서 강경한 입장을 취할 경우 인도네시아 민

104) Memorandum by Mr. James W. Barco, of the Divison of United Nations Political Affairs, to the Director of the Office of United Nations Affairs(Rusk), September 3, 1948, FRUS 1948, Vol. 6, pp. 318~322.

족주의자들의 실망이 증폭되고 결국 좌파 세력에게 공격의 빌미를 제공 할 수 있다는 인식이 점차 확산되기 시작한다. 더군다나 공산주의 반란 에 강경하게 대응하는 인도네시아의 모습은 미국 정책결정자들에게 인도 네시아가 서방진영으로 편입되기에 충분한 조건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확신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공산주의 반란 진압 이후 미국은 네덜란 드에게 더욱 강경한 입장을 보인다. 1948년 9월의 내부논의에서는 인도 네시아 공화국이 충분히 독립할 수 있는 요건을 갖추고 있으며 공산주의 에 대한 강경한 입장도 무소 반란의 진압과정에서 명백히 보여줬다고 지 적한다. 따라서 인도네시아에게 직물과 운송장비, 약품 등의 지원을 서 둘러야 하며, 네덜란드에게는 인도네시아와의 독립협상을 서두르지 않을 경우 이를 (a) UN 안전보장이사회에 회부하거나, (b) 미국 단독으로 인 도네시아의 독립을 승인할 수 있다고 압력을 행사해야 한다는 입장이 피 력된다.105)

미국의 네덜란드에 대한 입장이 결정적으로 바뀌기 시작한 시점 은 네덜란드가 두 번째로 인도네시아 사태에 무력 개입(Police action)을 실행하면서이다. 인도네시아 정부의 공산주의 반군에 대한 진압이 완료된 6주 후인 1948년 12월, 네덜란드 정부는 군과 경찰병력을 전격적으로 투입해 당시 인도네시아 독립 정부의 수도였던 요기아카르타(Yogyakarta) 를 점령하고 수카르노와 하타 그리고 다른 인도네시아 정부 각료들을 체 포하게 된다. 네덜란드는 이전에도 1차 무력진압을 통해 인도네시아 독 립 세력을 일소하려고 했으나 독립세력의 강력한 무장투쟁으로 실패하고 1948년 초 렌빌협정(Renville Agreement)을 통해 인도네시아와 휴전을 맺고 있는 상태였다. 그러나 지지부진한 협상과 네덜란드 국내에서의 유 화정책에 대한 불만의 목소리가 터져 나오기 시작하자 무력사용을 통해 협상을 자신들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돌리기 위한 시도를 한 것이다.106)

그러나 미국의 지지와 승인을 기대했던 네덜란드의 생각과는 달 리 미국은 강경한 입장을 취하게 된다. 무력개입에 대응해 당시 UN 안

105) Memorandum Prepared for the Acting Secretary of State , September 20, 1948, FRUS 1948, Vol. 6, p. 364.

106) Goscha and Ostermann (eds.), 1990, pp. 76~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