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신체조성

Dalam dokumen 비영리 - S-Space - 서울대학교 (Halaman 57-62)

2017년 국민체력실태조사에서 대한민국 35~39세 남성의 신장, 체중, BMI의 평균은 173.6 cm, 74.8 kg, 24.8 kg/m2으로, 본 연구의 남성소방공무원과 비교하였을 때, 신장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며, 체중에서 -0.3 kg, BMI에서 -0.1 kg/m2 의 차이를 보였다. 30~34세 여성은 161.4 cm, 58.4 kg, 22.4 kg/m2으로, 여성소방소무원과 신장, 체중, BMI에서 각각 -0.9 cm, +1.7 kg, +0.8 kg/m2 의 차이를 보였다.

(

The Survey of National Physical Fitness

, 2017). 이러한 비교 결과를 보았을 때, 남성소방공무원은 대한민국 평균 남성의 신체조건을 갖고 있으며, 여성소방공무원의 경우 일반여성보다 신장은 크지만, 체중은 덜 나가는 것으로 보인다. 직무 별 남성소방공무원과 여성소방공무원 모두, 신장, 체중, BMI에서 진압 직무가 높은 경향을 보였고, 구급 직무가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경향을 보였다.

표 26. 해외 소방공무원과 한국 소방공부원의 신체조성 비교

국가 대상자

수(명)

나이 (세)

신장 (cm)

체중 (kg)

체지방 률(%)

BMI

(kg/m2) 참고문헌 남성소방공무원

한국 84 39.7

(4.4)

173.9 (4.4)

74.4 (8.3)

25.1 (4.0)

25.1

(2.4) 본 연구

스웨덴 10 34

(9.8)

177 (1)

78

(11.1) - 25

(2.6)

A. S. Lindberg et al. (2015)

노르

웨이 14 38

(9)

179 (7)

83

(11) - 26

(2)

E. D. Von Heimburg et al.

(2006)

캐나다 33 41.5

(6.5)

179.2 (5.9)

89.0 (11.4)

18.8 (3.7)

27.7 (3.4)

F. Michael Williams-Bell, Geoff Boisseau, John McGill,

Andrew Kostiuk, and Hughsona (2010)

독일 41 39

(9)

179.6 (2.3)

84.4

(9.2) - 26.1 (2.8)

Windisch et al. (2017)

이탈

리아 31 36-40 177 (0.06)

78.8

(9.4) - 25.3 (2.5)

F. Perroni et al. (2014)

영국 50 40

(10)

178 (6)

84.1 (10.1)

20.6 (3.0)

26.7 (3.0)

A G Siddall et al. (2016)

핀란드 21 38

(7)

178 (7)

79

(10) - 25

(2)

Kaikkonen et al. (2017)

미국 48 43

(8)

181 (7)

91 (13)

20 (5)

28

(3) T. W Storer et al. (2014)

일본 9 28.6

(2.4)

172.4 (5.9)

69.4

(5.1) - 23.4 (1.4)

Son, Bakri, Muraki, and Tochihara (2014)

미국의 경우 여성소방공무원이 1명 포함된 대상자 수

여성소방공무원

한국 18 32.7

(5.7)

162.9 (7.8)

57.0 (5.8)

33.4 (4.64)

22.3

(2.5) 본 연구

캐나다 3 31.7

(1.5)

168.7 (6.4)

71.3 (9.8)

18.7 (2.6)

25.0 (2.4).

F. Michael Williams-Bell et al. (2010)

영국 12 37

(7)

169 (0.1)

67.0 (8.0)

26.9 (6.4)

23.6 (2.7)

A G Siddall et al. (2016)

미국 76 38.0

(10.1) - - 21.2

(6.4) - Li et al. (2017)

mean(SD)

50

해외소방공무원들과 비교하였을 때 (표 20), 남성소방공무원의 신장, 체중, BMI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에 속하였다. 일본 남성소방공무원 만이 신장, 체중, BMI에서 모두 한국 남성소방공무원보다 낮은 수치를 보였다 (Son et al., 2014). 하지만, 캐나다 남성소방공무원 체지방률 18.8%, 영국 남성소방공무원 체지방률 20.6%, 미국 남성소방공무원 체지방률 20%와 비교하였을 때, 한국 남성소방공무원의 체지방률은 다소 높은 수치를 보였다 (F. Michael Williams-Bell et al., 2010; A G Siddall et al., 2016; Thomas W. Storer et al., 2014). 세 국가의 남성소방공무원의 BMI 수치는 높더라도, 체지방률이 낮기 때문에 근육량이 많다는 것을 추측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유추해 보았을 때, 한국 남성소방공무원은 외국 소방공무원은 상대적인 근육량이 다소 부족하여, 근육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운동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더불어, 미국 소방공무원들이 공무 중에 사망하는 원인 49%를 차지하여 가장 첫번째 원인이 심혈관계 질환이고, 이러한 심혈관계 질환과 가장 강력한 연관성을 갖는 것이 체지방량, BMI라고 언급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이러한 맥락에서 체지방량의 감소도 다소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Elpidoforos S. Soteriades et al., 2005; Li et al., 2017; Stefanos N. Kales et al., 2009; Thomas W. Storer et al., 2014). 여성소방공무원들은 해외 여성소방공무원보다 신장, 체중, BMI에서 낮은 수치를 보였다. 특히, 체지방률은 캐나다 18.7%, 영국 26.9%, 미국 21.2%의 수치와 큰 차이를 보였다 (F. Michael Williams-Bell et al., 2010; Li et al., 2017; A G Siddall et al., 2016).

많은 연구에서, 높은 체지방률을 보이는 소방공무원들은 응급상황에서 정상적인 임무수행을 하는데 있어서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소방공무원에게 큰 문제가 될 수 있다고 말한다 (Michaelides et al., 2011; Phillips et al., 2017). Michaelides et al. (2011)의 연구에서는 6가지의 항목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주어진 임무를 늦게 종료한 소방공무원이, 조기에 종료한 소방공무원보다 체지방량이 10% 더 많았다고 보고했다. 무엇보다도, 체지방률은 소방공무원의 중요한 심폐지구력 요인인 VO2max에 음의 상관관계를 갖고 있기 때문에 (T.

W Storer et al., 2014), 한국 여성소방관에게 체지방 감소는 매우 필수적이라고 볼 수 있다.

체지방과 관련하여, 여성소방공무원의 신체는 TOFI (thin-outside- fat-inside)의 형태를 보였다 (E. Louise Thomas, Gary Frost, Simon D. Taylor-Robinson, & Bell, 2012). TOFI는 겉으로는 정상인 체형으로 보이지만 내장지방이 많은 것을 말한다. 이러한 TOFI의 또 다른 표현형 (phenotype)으로는 MONW (metabolically obese normal-weight) 라고도 정의하였다 (Conus, Rabasa-Lhoret, &

Peronnet, 2007; Lorenzo, Martinoli, Vaia, & Di Renzo, 2006). 이와 관련된 Conus et al. (2007); Lorenzo et al. (2006)의 연구에서, MONW 형태를 보이는 대상자들은 인슐린 민감도 감소로 인해 제 2형 당뇨병에 걸릴 위험이 증가한다고 주장하였다. 표 8과 표 11를 비교 하였을 때, 남성소방공무원 BMI ‘비만’의 분포와 체지방률 ‘높음’ 항목의 분포가 비슷한 반면, 여성소방공무원 BMI의 분포는 ‘정상’에서

52

‘과체중’에 집중된 분포를 보이지만, 체지방률의 분포는 ‘높음’ 항목에

그 분포가 치우쳐져 있다. 이를 해석하면, BMI는 정상 혹은 그보다 약간 높은 수준이지만, 이러한 몸을 구성하는 체지방률은 많다고 해석 할 수 있다. 이것은 전형적으로 겉은 정상인 체형, 속은 비만인 TOFI의 형태임을 알 수 있다. 특히나 여성소방공무원 직무 중, BMI ‘정상’이 6명이지만 (표. 10), 체지방률이 ‘높음’이 5명인 진압 직무에서 많이 볼 수 있다 (표. 13). 이러한 관점에서, 한국 여성소방공무원은 그들의 건강뿐만 아니라 국민의 생명과 재산과 직결되는 소방공무원의 임무 완수를 위하여 체지방을 낮추고,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또한 체지방, 근육량은 소방공무원의 임무수행에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Michaelides et al., 2011; Phillips et al., 2017) Michaelides et al. (2011), 소방당국에서는 운동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현재 체력 측정에 신체조성측정을 포함하여 지속적으로 관리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Dalam dokumen 비영리 - S-Space - 서울대학교 (Halaman 57-62)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