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 56 -

- 57 - 다. 3차년도(2019)

구분 가중치* 달성 목표() 세부

가중치 달성

() 달성도 (%)

과학적성과

논문 30

mrnIF 81점 이상 mrnIF 61~80

mrnIF 41~60 1

mrnIF 40점 이하 1 100 100

소계 1 100 1 100

저서

국제저서 국내저서 국제편저 역서 등

표본확보 60

실물표본 확보 150

(누적 400) 100 160

(누적 471) 100

소계 150

(누적 400) 100 160

(누적 471) 100 기술적 성과 특허

국제특허 출원 국제특허 등록 국제특허 추가등록

국내특허 출원 국내특허 등록 경제적 성과 기술료 기술이전 성과

사회적, 인프라

홍보활동 대외활동

- 100 1, 150 100 1, 160

(누적 471) 100

- 58 -

대형 연구조사선을 활용하여 북서태평양을 비롯한 대양 심해 해양 탐사를 위한 인프 라 검정 및 장비 운영의 기술적 방법을 정립함으로써 해양과학기술의 역량 강화

심해 해양 탐사 기술의 고도화를 통한 심해 해양생물자원 발굴 및 다양성을 확보함 으로써 미래 해양생물자원의 산업 활용을 위한 원천소재 확보 및 제공에 기여

글로벌 대양 해양 탐사 인프라를 활용하여 심해 환경영향평가 기술 및 환경보존 기 술 등 해양환경 및 생태계 정보 분석에 활용하여 심해 자원의 상업적 개발 시 평가 근거를 마련할 수 있음

글로벌 대양 탐사 능력은 한국의 제한된 자연자원 활용의 어려움을 광대한 대양 해 양자원 개발을 가능케 함으로써 해외 경제영토 확장에 기여

전 지구적 급속한 환경변화 및 오염이 해양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할 수 있는 해양물리-화학-생물-지구과학 결합 모텔 작성을 위한 기초자료 구축에 기여

- 59 -

제 5 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 글로벌 대양 심해 해양탐사를 수행하기 위한 기초 인프라 및 전문 기술 노하우 구축 을 통한 미개척 대양 탐사 수행

- 대형 조사선을 이용한 심해 해양생물 채집 장비, 기술의 표준화 정립 및 전문화에 활용

○ 대양 심해 저서생물자원 전문적 확보와 활용 기술 개발

- 미개척 심해 해양생물자원 분석 및 기술 전문화를 위한 인적 연구 인프라인 차세대 전문인력 양성에 활용

- 심해 연구 인프라 구축을 통한 심해 해양생물자원 검색, 발굴 및 유용자원 탐색 - 미개척 심해 해양자원 채집의 선진화를 통해 확보된 생물자원과 이를 활용하는 기

술 개발을 통한 해양바이오 산업 창출 및 미래 해양자원 원천소재 제공에 활용 - 심해 해양생물자원 확보 및 다양성 분석은 미래 심해 상업적 광물자원개발에 필요

한 해양환경 및 해양생태계 영향평가기술 및 환경보존 기술개발 평가에 근거 마련

○ 미래 해양환경변화 예측 및 평가기술 개발에 활용

- 한국의 기후와 직접적인 영향이 있는 태평양 대양의 변화 관측 및 지속적인 모니터 링은 급속히 변화하는 해양환경 및 생태계 미래 전망 정보분석 자료로 활용

- 심해 해양생물의 질병탐색 및 진단기술 개발 및 전문화를 통한 환경변화 또는 환경 오염에 따른 해양생태계의 위해성 확인 및 생물종에 미치는 위험성을 예측함으로 서 자연환경 보전에 기여

- 심해 해양생물생태계 자료의 확보를 통한 해양물리-화학-지구과학 결합모델 제작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여 기후변화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여 경제적/

산업적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장기적 국가차원의 대응정책 수립에 기여

○ 심해 해양생물 연구자 협력 네트워크 기반마련으로 인한 국제 전문가들과의 교류 및 자료공유는 선진국의 대형 프로젝트에 공동연구 참여 기회 마련

- 60 -

제 6 장 참고문헌

Smith CR, FC De Leo, AF Bernardino, AK. Sweetman & PM Arbizu, 2008.

Abyssal food limitation, ecosystem structure and climate change. Trends in Ecology and Evolution, 23(9):518-528.

- 61 - 주 의

1. 이 보고서는 한국해양연구원에서 수행한 기본사업의 연구결과보고 서 입니다.

2. 이 보고서 내용을 발표할 때에는 반드시 한국해양연구원에서 수행한 기본사업의 연구결과임을 밝혀야 합니다.

3. 국가과학기술 기밀유지에 필요한 내용은 대외적으로 발표 또는 공개하여서는 안됩니다.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