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연구기간내 연차별 목표 대비 달성율(%)
구분
연차별 달성내용 연차별
계획대비연구실적 달성율(B)
(%)
성과목표 연구내용 가중
(A)치 달성실적
1차 년도
1. 북서태 평양 심해 저서동물 실 물표본 확보
1-1. 실해역 탐사
0.7
- 이사부호 활용 실해역 탐사 - 북서태평양 25°~37°N, 150°~159°E 탐사
- 6개 정점 조사 수행
- TV-Grab, MC, CTD 활용 1-2. 심해 저서동물 100
각 분류군별 일차 분 류
- 선상에서 실체현미경을 사용 하여 심해 저서동물 선별 및 사 진 촬영 함
1-3. 실물표본 100 점 확보
- 실물표본 221점 확보
2. 심해 저 서동물 다양 성 분석
2-1. 심해 저서동물 형태분류를 통한 분 류군별 출현특성 및 다양성 분석
0.3
- 실물표본, 영상자료, 형태분 류 분석
- 분류군별 출현 특성 및 다양 성 분석
2-2. 심해 서식처제 95 공 생물체내의 공생 분석(대형 저서동물 확보시)
- 심해 서식처 제공 생물체내의 공생 분석용 대형 저서동물 미 확보로 수행하지 못함
계 1.0 98.5
- 54 - 2차
년도
1. 북서태 평양 심해 저서동물 실 물표본 확보
1-1. 실해역 탐사
0.7
- 이사부호 활용
- 북서태평양 13°∼21°N, 127°∼136°E 사이 탐사 - 6개 정점 조사 수행 - MC, BC, CTD 활용
1-2. 심해 저서동물 95 각 분류군별 일차 분 류
- 선상에서 실체현미경을 사용 하여 심해 저서동물을 선별, 사 진 촬영하고, 분류군별로 일차 분류함
1-3. 실물표본 150 점(누적250점) 확보
- 실물표본 90점 확보(누적 311점)
2. 심해 저 서동물 다양 성 분석
2-1. 심해 저서동물 형태분류를 통한 분 류군별 출현특성 및 다양성 분석
0.3
- 실물표본, 영상자료, 형태분 류 분석
- 분류군별 출현 특성 및 다양 성 분석
95 2-2. 신종 및 미기록
종 등 신 분류군 발 굴
- 선형동물 1신종, 저서성 요 각류 4신종 및 1미기록종, 주 걱벌레붙이 1신속 및 신종 등 의 신 분류군 발굴
2-3. 심해 서식처제 공 생물체내의 공생 분석(대형 저서동물 확보시)
- 심해 서식처 제공 생물체내의 공생 분석용 대형 저서동물 미 확보로 수행하지 못함
계 1.0 95
3차 년도
1. 북서태 평양 심해 저서동물 실 물표본 확보
1-1. 실해역 탐사
0.7
- 온누리호호 활용
- 북서태평양 15°∼20°N, 149°∼156°E 사이 탐사 - 10개 정점 조사 수행
- MC, BC, CTD 활용 100
1-2. 심해 저서동물 - 선상에서 실체현미경을 사용
- 55 - 각 분류군별 일차 분
류
하여 심해 저서동물을 선별, 사 진 촬영하고, 분류군별로 일차 분류함
1-3. 실물표본 150 점(누적 400점) 확 보
- 실물표본 160점 확보(누적 471점)
2. 심해 저 서동물 다양 성 분석
2-1. 심해 저서동물 의 형태분류를 통한 분류군별 출현 특성 및 다양성 분석
0.3
- 실물표본, 영상자료, 형태분 류 분석
- 분류군별 출현 특성 및 다양 성 분석
95 2-2. 심해 저서동물
신 분류군 발굴
- 저서성 요각류 1신속 3신종 발굴, 이중 2 신종 발표
2-3. 심해 서식처제 공 생물체내의 공생 분석(대형 저서동물 확보시)
- 심해 서식처 제공 생물체내의 공생 분석용 대형 저서동물 미 확보로 수행하지 못함
계 1.0 98.5
- 5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