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분 성과목표 성과지표 목표치 가중치
(%) 설정근거 평가기준 달성치
최종목표
원료생산성
Liter당 건조중량
생산성
2.0 g/L 20
건조중량 1.5 g/L (미국/Cyanotec)
생산자료 75%
(1.505 g/L)
개별인정형 취득 개별인정
형 취득 1건 80 - 개별인정
허가 문서 90%
1차년도
(2016년)
원료생산성 생산성 1.4 g/L 30 1.5 g/L
(미국/Cyanotec) 생산자료 100%
해양 미세조류의 친환경 가공 공정
개발
지표물질 함량
지표물질 함량 10% 이상 증가 40
Control 대비 10% 이상 지표물질 함량
증진 (캐나다/pos biosciences)
지표물질
함량 평가 100%
in vitro, in vivo Cholinergic system서 인지능력
연구
인지능결 과
in vivo
Cholinergic결과 30 /일본 in vitro, in
vivo 결과 100%
2차년도 (2017년)
원료생산성
Liter당 건조중량
생산성
1.6 g/L 30 1.5 g/L
(미국/Cyanotec) 생산자료 100%
인체적용시험 인지능력
임상시험 60명 - - 수행자료 100%
표준화 소재의 안정성 평가
안정성 확인
최대 안정화 기간 제시 40
최대 유통기한 설정을 위한 안정성 평가
지표성분
함량 측정 100%
in vitro, in vivo Aβ-induced neurotoxicity보호효
과
보호효과
증진 in vivo보호결과 30 /미국 in vitro, in
vivo 결과 100%
3차년도
(2018년) 원료생산성
Liter당 건조중량
생산성
1.8 g/L 20
1.5 g/L(미국/Cyanot
ec)
생산자료
93%
PBR: 1.68 g/L 74%
ORP: 1.33 g/L
구분 성과목표 성과지표 목표치 가중치
(%) 설정근거 평가기준 달성치
원료기준 규격
지표물질 함량 및
안정성 시험
지표물질 함량 및 안정성 시험
결과 (장기 및 가속조건)
5 추출물 소재
추출물 소재의 지표물질 안정성 시험
결과(장기 및 가속조건
시험 결과 - 4차년도
계속)
100%
인체적용시험 인지능력 임상시험
80명
(조정가능) 10 - 수행자료 100%
개별인정형 소재 생산을 위한 산업화
공정 최적화
지표성분 분석
총엽록소 함량
± 20% 30
50 kg biomass/day
(500 L 이상규모)
자체 분석
결과 100%
소재 제형 연구 제형
시제품 1건 이상 10 - 제형결과 100%
In vitro, 표준화 추출물들의Aβ-induc
ed neurotoxicity 대한 보호효과 확증과 인지능 개선
기작에 대한 보완 연구로 식약처 대응 자료를 위한 연구를
수행
neurotoxicit y 대한 보호효과
인지능 개선 기작에
대한 BDNF의 역할 제시
BDNF의 역할 구명을 통한 neurotoxicity 대한 보호효과 확증과 인지능 개선 기작에 대한 추가 구명
25 /한국과 미국의 논문들
BDNF관련
논문게재 100%
4차년도
(2019년)
원료생산성
Liter당 건조중량
생산성
2.0 g/L 15 1.5 g/L
(미국/Cyanotec) 생산자료
84%
PBR: 1.68 g/L 67%
ORP: 1.33 g/L 2차 인체적용시험 인지개선
임상시험 1건 25 확증자료 도출 완료보고서 100%
개별인정형 취득 개별인정
형 취득 1건 25 - 개별인정
허가 문서 90%
개별인정형 추출물의 대량생산
(제조 생산업체)
평균처리
량 1ton/회 20
100kg (캐나다/pos biosciences)
GMP생산
원료 규격서 및 기술이전
100%
동물시험과 인체적용시험의 상관성분석/Scientifi
c marketing용 보완시험 및 자료
확보
자료 확보
보완시험 및
자료 확보 15 /한국 논문 또는
자체보고서 100%
국내외 기술 개발 현황
제2장 국내외 기술 개발 현황
제1절 국외 기술, 산업동향 1.1. 미국 시장 현황
○ 미국의 건강기능식품 시장은 2008년 기준 전 세계 건강식품산업의 약 32%를 차지하였으며, 매 출이 지속적으로 성장하여 2008년에는 전년대비 9% 성장한 1,040억 달러에 달함. 그 중
Natural & Organic Personal care 군이 2007년 대비 12.9%로 가장 크게 성장함 이에 비해 식이
보충제군은 전년도 대비 6.2% 성장하여 타 제품군에 비해 가장 성장률이 낮았음
○ 2008년 식이보충제 판매액은 총 251억불로 이를 제품군 별로 보면 비타민군이 33.9%, 허브식
물군이 19.1%, 특수보충제군이 17.9%를 차지함 2007년 대비 전체적으로 6.2% 성장 하였으며 제품군별로는 비타민군(9.6%)이 가장 높고 다음으로 스포츠영양(6.9%), 특수보충 제군(6.5%), 무기질군(5.9%)의 순임
○ 미국 국민건강영양조사(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가 1999~2000년을 분석 한 자료에 따르면 미국인은 52%가 식이보충제를 사용하고 35%가 종합비타민 무기질 제품을 사용하고 있다고 발표함
○ 앞으로도 비타민, 미네랄 및 각종 영양보충제를 포함한 기능성 식품시장은 온라인 판매 형태 의 효율적인 판매방식에 힘입어 시장규모가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며, 에너지 음료 와 프로바이오틱 요구르트와 같은 강화 유제품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또한 유기농 기능성 식품 원료시장도 아직 개발의 초기단계이나 향후 10년 동안 발굴되지 않은 성분의 발견과 개 발이 활발히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