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가. 현황 소개

앞장의 분석을 토대로 중국의 대외정책 결정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한반도 관련 주요 정책연구기관은 다음과 같다. 중국의 10대 싱크탱크 중 대외정책 결정과정에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정책연구기관은 중국사회과학원, 중국현대국제관계연구원, 중국 국제문제연구소, 중국 인민해방군 군사과학원, 중국국제전략학회, 상해국제문제연구원 등이며, 10대 싱크탱크는 아니지만 최근 역할 이 증대되고 있는 반관반민의 싱크탱크 중 한반도와 관련된 정책 연구기관은 개혁개방논단, 북경대학, 청화대학, 상해사회과학원을 들 수 있다. 여기에다 지방정부 차원이지만 지리적 특성상 중국의 한반도 정책에 일정한 영향을 끼치는 동북3성의 사회과학원과 길 림대 동북아연구원을 추가하면 중국의 한반도 관련 주요 싱크탱크 는 <표 Ⅲ-1>과 같다. 이하에서는 상기 14개 정책연구기관의 기본 현황을 소개한다.44

44_각 기관의 홈페이지 및 김흥규, 뺷중국 국제정치 분야 싱크탱크 연구: 후진타오 시기를 중심으로뺸 (서울: 외교안보연구원, 2010)를 참고하여 작성.

표 Ⅲ-1 중국의 한반도 관련 주요 싱크탱크 현황

(20128월 현재)

지역 소속기관 기관명 기관장 참고

북경

중앙당교 개혁개방논단:

한반도평화연구센터

리징텐 (李景田)

당교 부교장, 미중정상회담 수행 국무원

중국사회과학원:

아태연구소 세계경제정치연구소

천쿠이위앤

(陳奎元) 공산당 중앙위원 외교부 중국국제문제연구소:

아태안전협력연구실

취싱 (曲星)

외교관,

외교부 정책 자문 국가안전부 중국현대국제관계연구원:

조선반도연구실

추이리루

(崔立如) 후진타오 자문위원 인민해방군 중국 인민해방군

군사과학원

류청쥔

(刘成军) 당 중앙위원

북경대 국제전략연구센터 왕지스

(王緝思) 후진타오 자문위원 청화대 당대국제관계연구원 옌쉬에통

(閻學通)

전 국무위원 탕자쉬앤 명예원장

반관반민 중국국제전략학회 슝광카이 (熊光楷)

예비역 장성,

미중국방대화 대표(전)

상해 상해시 정부

상해사회과학원 왕롱화

(王榮華) 상해정부 자문 상해국제문제연구원 양제멘

(楊潔勉)

양제츠 외교부장의 친동생,

후진타오 자문위원

동북

길림성정부 길림성 사회과학원 마커

(馬克) 성 정부 정책자문

길림대 동북아연구원 주시엔핑

(朱显平) 창지투 프로젝트 입안 요녕성

정부 요녕성 사회과학원 바오전둥

(鮑振東) 성 정부 정책자문 흑룡강성

정부 흑룡강성 사회과학원 취웨이

(曲偉) 성 정부 정책자문

(1) 개혁개방논단 한반도평화연구센터

개혁개방논단은 중국공산당 중앙당교(中央黨校)의 핵심 연구기 관이다. 개혁개방논단은 1994년 중국의 개혁개방 과정 중 발생하 는 과제들에 대한 종합적·학제적 연구를 통해 당 지도부에 정책건 의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이의 일환으로 동 기관 은 국가전략 차원에서 국내외 정책, 경제, 외교 등의 발전 동향을 분석·보고하는 정책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한편, 국내외 학자들의 견해를 수렴하고 당의 정책을 확산하는 창구역할도 수행하고 있는 바, 중국의 전문가와 미국의 RAND, CSIS 포함 세계 20여 개 국가 의 연구기관과 활발한 학술교류를 추진하고 있다.

현 기관장은 중앙당교 상무 부교장인 리징텐(李景田) 이사장이 맡고 있으며, 학자와 고급관리로 구성된 8명의 부이사장과 14명의 자문위원을 두고 있다. 구체적으로 부이사장은 리쥔루(李君如, 중 앙당교 부교장), 천바오성(陳寶生, 중앙당교 부교장), 순즈하이(孫 志海, 국제문화교류센터 부이사장), 루종웨이(陸忠偉, 중일우호21 세기위원회 위원), 타이장(陶一江, 중국국제문화교류센터부이사

장), 딩구이송(丁奎松, 개혁개방논단 고급연구원), 저우홍(周弘, 중

국사회과학원유럽연구소 소장), 쉬에푸캉(薛福康, 광명일보 前국 제부주임) 등이며, 고급자문위원은 웨이리췬(魏禮群, 국가행정학 원 상무부원장), 렁롱(冷溶, 중앙문헌연구실 주임), 니젠민(倪建民, 전국총노조 부주석), 리지에(李捷, 중앙문헌연구실 부주임), 저우

원종(周文重, 중국주미대사), 우젠민(吳建民, 외교학원 원장), 마전

강(马振岗, 전주영대사), 린디(林地, 개혁개방논단 前 부이사장), 판

전창(潘振强, 국방대학전략연구소 前소장), 루오위앤(羅援, 군사과

학연구원 전략연구부 부부장), 딩위앤홍(丁原洪, 前주EU대사), 왕

지스(王缉思, 북경대학 국제관계학원 원장), 왕시엔장(王憲章, 중 국보험업협회 회장), 웨이젠롱(魏建荣, 교육부 대학법학과 교학지 도위원회 위원), 황판장(黃范章, 국가발전개혁위원회 거시경제연 구원 前부원장) 등이다.

개혁개방논단은 산하에 중미전략센터, 한반도평화연구센터, 경 제·사회연구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특히, 2006년 1월 설립한 한반 도평화연구센터는 안보문제를 핵심으로 한반도 관련 문제 전반을 연구하는 부설 연구기구로서 당 고위층에게 정책제언의 기능을 수 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동 연구센터가 추가로 설립된 이유는 한반도가 동북아의 평화와 안정에 핵심 지역이자 중국의 국익에 밀접한 영향을 준다는 중국의 인식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 된다. 한반도 평화연구센터의 주임은 위메이화(于美华)이며 판전

창(潘振强) 전 장군이 고문으로 있다. 전임 연구원을 두고 있지 않

지만 중량급의 객원 연구진과 당의 지위를 통해 필요에 따라 연구 진을 구성할 수 있는 허브역할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기 도 하다. 객원 연구진으로는 왕바오푸(王宝付, 국방대 국제전략연 구소 부소장), 왕이성(王宜胜, 중국 인민해방군 군사과학원 연구

원), 류쟝용(刘江永, 청화대학 국제전략연구소 부소장), 류젠페이

(刘建飞, 중앙당교 국제전략연구소 교수), 리쥐첸(李居迁, 중국정

법대 국제공법연구소 소장), 팡중잉(庞中英, 인민대학 국제관계학

원 교수), 위샤오화(虞少华, 국제문제연구소 연구원), 쉬웨이디(徐

纬地, 국방대 국제전략연구소 연구원) 등이 있다. 주요 간행물로는 2001년 3월 창간한 월간지 뺷중국전략관찰(中國戰略觀察)뺸이 있다.

(2) 중국사회과학원(CASS: Chinese Academy of Social Sciences), 산하 아태‧글로벌전략연구원 및 세계경제정치 연구소

중국사회과학원은 1977년 5월 중국의 개혁개방과 현대화를 추진 하는데 창의적인 이론 틀을 제시하고 효율적인 정책연구를 지원하 고자 설립된 기관이다. 동 기관은 중국 내에서 철학‧사회과학 연구 를 담당하는 최고의 학술기관이자 종합 연구기관으로서 국가 경제 와 사회발전에 필요한 이론과 실제 연구 및 국가중점 연구프로젝 트 등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뺷中国社会科学뺸, 뺷历史研究뺸, 뺷考古뺸, 뺷哲学研究뺸, 뺷经济研究뺸, 뺷法学研究뺸, 뺷文学评论뺸 등 82종의 학술 잡지를 발간하며 중국인문·사회과학연구의 최신 성과와 학술 정보 를 주도하고 있는 기관이기도 하다.

현 기관장은 천쿠이위앤(陳奎元) 원장이며 왕웨이(王伟), 리선밍

(李慎明), 주자무(朱佳木), 가오취앤리(高全立), 리지에(李捷), 우인

(武寅), 리양(李扬), 리치우팡(李秋芳) 등 8명의 부원장을 두고 있다. 또한 산하의 31개 연구소와 45개 연구센터에서 총 3,200여 명의 연구 진이 활동 중이며 고급전문연구자(高級專業人員)의 수만 1,700여 명 이나 되는 방대한 연구기구이다. 한반도 관련 연구는 주로 산하의 아태·글로벌전략연구원(NIIS: National Institute of International Strategy, CASS)과 시아태평양연구소와 세계경제정치연구소에서 수행하고 있다.

(가) 아시아태평양연구소(IAPS: Institute of Asia Pacific Studies, CASS) 사회과학원 아태·글로벌전략연구원은 학술 관련 기초연구와 정 책대안 제시를 위해 1988년 설립된 아태연구소를 2012년 확대개편

했다. 주요 연구분야는 동북아, 동남아, 남아시아, 남태평양 지역 국가들의 정치, 경제, 외교, 안보, 국제관계, 사회문화 등이며, 한반 도 관련 주요 간행물로는 월간 뺷당대아태(當代亞太)뺸가 있다.

현 소장은 리샹양(李向陽)이며, 한펑(韓鋒), 리원(李文), 순스하

이(孙士海) 등 3인의 부소장이 활동하고 있다. 산하에 경제연구실,

지역협력연구실, 안보·외교연구실, 사회문화연구실, 중국주변전략 연구실 등 6개의 부설 연구실과 동북아연구센터와 동남아연구센 터 등 2개의 연구센터에서 총 60여 명의 연구진이 활동하고 있다.

퍄오젠이(朴键一)가 주임인 동북아연구센터에서 한반도 연구를 집

중적으로 수행하나 각 부설 연구실에서도 한반도 관련 연구를 진

행한다. 장인링(张蕴岭), 동샹롱(董向荣), 진잉지(金英姬), 퍄오광

지(朴光姬), 왕샤오링(王曉玲) 등이 대표적 전문가들이다.

(나) 세계경제정치연구소(IWEP: Institute of World Economics and Politics, CASS)

세계경제정치연구소는 1964년 중국과학원 경제연구소 세계경제 연구실을 모태로 설립되었으며, 1980년 세계정치연구소와 세계경 제연구소가 통합되어 현재의 기구로 공식 설립되었다. 동 기관은 세계의 경제제도, 경제개혁 및 정책, 발전전략 등 세계경제와 관련 된 연구보고서와 정책 참고자료를 통해 중국 정부에 경제건설 관 련 정책건의와 자문을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주요 연구 분 야로는 WTO와 세계무역자유화, 다국적 기업 세계전략과 FDI, 금 융 세계화와 금융위기, 국제 금융체제 개혁, 역내 통화 협력, 중국 거시경제문제, 중국의 무역정책 등을 들 수 있다. 주요 간행물로는 연간인 뺷세계경제정세분석과예측(世界經濟形勢分析與預測)뺸과 뺷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