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중소음에 대한 국제 해양환경보호 단체의 문제제기로 인하여 국제 해사기구
(IMO)의 해양환경보호위원회(MEPC)는 선박 수중소음 규제에 대한 논의를 2008년
부터 시작하여 현재까지 논의를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현재까지 논의된 결과로 는 선박 수중소음이 해양생태계를 교란시키는 원인 가운데 하나임을 인식하고 있 으나 규제 채택을 위해서는 과학적인 조사 및 근거에 대한 수집이 좀 더 필요하므 로 계속적인 논의가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리고 있다.
최근, IMO 워크숍(2019년 1월) 에서는 선박에 의한 수중소음 감소를 10년에 3dB씩 감소시키는 목표를 설정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한 바 있다. IMO의 선박 수 중소음에 대한 정책동향에 근거해서 국제표준화기구(ISO) 소위원회 수중음향학 분 과에서는 선박수중소음을 측정하기 위한 국제표준 제정작업에 착수하여 2건의 표 준규격을 제정하고 추가로 2건의 표준규격 제정 작업을 논의 중에 있다.
미국, 유럽의 국가의 선급기관에서는 ISO 국제규격을 기반으로 하여 자국 환경 에 맞는 선박 수중소음 등급 표기 인증 절차서를 제작하고 있다. 또한, 현재, 캐나 다 및 미국의 일부 대형항구에서는 IMO 규제 발효와 상관없이 자체적으로 대형고 래 서식지 보호를 위하여 항로를 운항하는 선박에 대한 속도를 규제를 정책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11년 “제4차 해양환경종합계획”의 “선박기인 해양오염 규제에 대 한 능동적 대응” 추진사업에 IMO 선박소음 규제협약 대응방안을 포함시켰으나 정 책적으로 추진된 바는 없다. 현재, 우리나라 해수부에서는 IMO 선박 수중소음 규 제 정책 동향 보다는 “선박평형수 관리협약”, “대기오염 및 에너지 효율”, “선박
2. 기술적 타당성
제 3차 국가과학기술기본계획에 7대 핵심기술 가운데 “현존선 운항 최적화 기 술”의 세부중점기술로서 “현존선 수중 소음 계측 및 제어 기술”이 포함 되었다.
현 ISO 국제규격(17208-1, 17208-2)은 심해에서 선박 수중소음을 측정하기 위한 규 격이며 선급기관에서 사용하는 측정 규격은 이 ISO 규격들을 천해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참고하여 만들어 졌으나 과학적인 근거가 부족하고 국제표준화 기구(ISO) 에서 인정하고 있지 않다. 우리나라는 동해를 제외하고 서해 및 남해는 수심이 낮 은 천해에 해당하며 대형 선박의 시운전이 대부분 천해에서 수행되고 있고, 대형 조선소가 남해 거제도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학적인 측정방법 및 해석에 근거 한 천해용 선박 수중소음 측정 기술 및 측정 규격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KIOST에서는 2014~2018년(5년간)까지 ‘선박추진기 소음 기반기술 및 소음저감
설계 핵심기술 개발’ 사업 중 실선계측 부분에 참여하여 총 6척의 선박 수중방사 소음을 측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선박 수중방사소음 계측 시스템 개발(특허 제 10-1357763호)을 특허 등록하여 자체적인 측정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3. 경제적 타당성
선박 수중소음 공인 측정센터 구축 경제성 분석은 총 3단계로 구성된다(Fig.
4-1). 1단계는 분석방법 및 기본전제·가정 등을 설정하는 단계이며, 2단계는 경제성 분석을 위한 수입 및 비용을 추정하는 단계이다. 마지막 3단계는 수입 및 비용추 정 결과를 바탕으로 선박 수중소음 공인 측정센터 구축에 따른 경제성을 비용편익 비율(B/C ratio), 순현재가치(NPV : Net Present Value), 내부수익률(IRR : Internal Rate of Return) 관점에 분석하였다.
Fig. 4-1 경제성 분석 Framework
선박 수중소음 공인 측정센터 구축 경제성 분석을 위하여 다음의 기본전제 및 가정을 하였다(Table 4-1).
구분 내용
Table 4-1 경제성 분석을 위한 기본전제 및 가정
구분 내용
수입추정
•선박 수중소음 공인 측정센터 구축에 따른 수입은 선박 수중소음 측정 관련 용역 에 따른 수입으로 측정함.
•과거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이 수행한 관련 용역을 바탕으로 건당 2억원의 수입 정하였으며, 1년에 12건을 가정함.
비용추정
•선박 수중소음 공인 측정센터 구축에 따른 비용은 초기투자비, 인건비, 경비 등으로 구분하여 추정함.
•경비는 다시 인건비성 경비, 사업운영 경비, 일반 경비 등으로 세분함
운영인력
•10명
•선박 수중소음 공인 측정센터 운영에 필요한 인력은 책임급 2명, 선임급 2명, 원급 6명 등 총 10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남.
인건비
•인건비는 기준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의 책임급, 선임급, 원급 연봉에 인건비 상승률을 감안하여 도출함.
책임급 선임급 원급
9,000만원 7,500만원 6,000만원
자료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내부자료
물가 상승률
•1.28% 적용
•물가상승률은 국가통계포털(KOSIS)의 5년 평균(2014년~2018년) 비자물가상승률의 평균치인 1.28%를 적용함.
•적용 물가상승률 1.28%는 연도별 수입과 비용 중 초기투자비, 사업운영 경비, 일반 경비에 반영함.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평균
1.3% 0.7% 1.0% 1.9% 1.5% 1.28%
자료 : 국가통계포털(KOSIS)
임금 상승률
•2.94% 적용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의 임금상승률은 공무원 임금상승률과 연동되는 것으로 나타남.
•임금상승률은 국가통계포털(KOSIS)의 5년 평균(2015년~2019년) 공무원 금상승률의 평균치인 2.94%를 적용함.
•적용 임금상승률 2.94%는 연도별 인건비와 인건비성 경비에 반영함.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평균
3.8% 3.0% 3.5% 2.6% 1.8% 2.94%
자료 : 국가통계포털(KOSIS)
선박 수중소음 공인 측정센터 구축·운영에 따른 2020년~2049년(30년)의 수입과 비용을 추정한 경비를 추정한 결과 2020년(1차년) 수입은 2,400.0백만원, 비용은 1,270.2백만원으로 이때 수지는 1,129.8백만원으로 나타났으며, 2020년~2049년(30년) 의 총수입은 87,107.3백만원, 비용은 57,032.0백만원으로 이때 수지는 30,075.3백만 원으로 나타났다(Table 4-2).
구분
수입(A)
비용
수지(A-B)
년도 사업년수 비용 계(B) 초기 투자비 인건비 경비
2019 0 0.0 407.2 407.2 0.0 0.0 -407.2 2020 1 2,400.0 1,270.2 - 690.0 580.2 1,129.8
․․․ ․․ ․․ ․․ ․․ ․․ ․․ ․․
2029 10 2,691.1 2,042.3 462.4 895.6 684.3 648.7 2030 11 2,725.5 1,619.1 - 921.9 697.2 1,106.4
․․ ․․ ․․ ․․ ․․ ․․ ․․ ․․
2039 20 3,056.1 2,548.7 525.1 1,196.6 826.9 507.4 2040 21 3,095.2 2,074.8 - 1,231.8 843.0 1,020.4
․․ ․․ ․․ ․․ ․․ ․․ ․․ ․․
2049 30 3,470.6 2,604.4 - 1,598.8 1,005.6 866.1 계 87,107.3 57,032.0 1,394.8 32,509.8 23,127.4 30,075.3
Table 4-2 수입 및 비용추정 결과(백만원)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선박 수중소음 공인 측정센터 구축·운영은 경제적으로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Table 4-3).
구분 값 판단기준 경제성 분석 결과
비용편익비율
(B/C ratio) 1.576 1 이상 경제적 타당성 있음
순현재가치
(NPV : Net Present Value) 28,792.7백만원 0원 이상 경제적 타당성 있음 내부수익률
(IRR : Internal Rate of
Return) 277.437% 4.5% 이상 경제적 타당성 있음
종합 경제적 타당성 있음
Table 4-3 경제성 타당성 분석 종합
추가적 선박 수중소음 측정에 따른 용역 수탁 건(척) 수의 변화에 따른 비용편 익비율 변화를 분석한 결과 1년에 6.77건(척) 이상의 선박 수중소음 측정에 따른 용역을 수탁 할 경우 선박 수중소음 공인 측정센터 구축은 비용편익비율 관점에서 경제성 분석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Fig. 4-2). 자세한 경제성 분석 결과는 부록에 첨부하였다.
Fig. 4-2 용역 수탁 건(척) 수 변화에 따른 비용편익비율 변화
4. 기대효과
가. 연구결과의 활용성
○ 사업성격의 적합성: 기획연구의 목적이 선박 수중소음 공인측정센터 구축이 므로 국가 R&D 사업 보다는 원내 인프라 연구사업으로 추진하여 선박 수중 소음 측정 관련 공인기관으로서 KIOST를 대내외적으로 홍보하고 국내에서 의 시장주도를 선점할 필요가 있음.
○ 연구비 규모: 직접비 기준 총 7억원의 연구비 소요 예상
- 선박 수중소음 측정 및 분석 시스템 구축 비용: 4억원
- 연구선을 이용한 해상시험 비용: 2억원
- KOLAS 공인 인정 기관 컨설팅 추진 비용: 0.5억원 - 기타 비용: 0.5억원
1차년(직접비) 2차년(직접비) 3차년(직접비) 합계
250백만원 300백만원 200백만원 700백만원
○ 연구목표: IMO 선박 수중소음 규제 대응을 위한 선박 수중소음 측정 및 분 석 인프라 구축
○ 성과목표 및 연구내용
성과목표 연구 내용 성과물
부이형 선박 수중소음 측정 및 분석 시스템 구축
- 부이형 선박 수중소음 측정 시스템 시제품 설계 및 제작 - 부이형 선박 수중소음 측정 시스템 시제품 해상시험
- 선박 수중소음 측정용 ISO 국제 규격 및 국제 선급규격 안에 따 른 선박 수중소음 측정 및 분석
부이형 선박 수중소음 측정 시스템 시제품
KOLAS 인정기관
등록 추진 - KOLAS 평가사의 컨설팅을 통한 KIOST의 KOLAS공인 인정기관 등록 KOLAS 공인 인정기관 등록증
- 이론 및 실험적 사실에 근거한 우리나라 천해역 및 심해역 선박
나. 연구결과의 기대효과
○ 선박 수중소음 공인인증센터 구축을 통한 IMO 선박 수중소음 규제에 선제 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체계 마련
○ KOLAS 인증기관으로 선박 수중소음 공인인증센터를 등록함으로써 선박 수
중소음 측정에 대한 대내외 공신력 확보
○ 선박 수중소음 공인인증센터 구축을 통해 한국선급 인정 한국형 선박 수중 소음 측정 표준안 및 KS 규격 제시
○ 선박 수중소음 공인인증센터 운영을 통한 수중음향 계측 장비 성능 인증관 련 새로운 아이템 발굴
- 수중청음기, 음파송신기, 소나 장비 등의 송신감도 및 수신감도 시험 인
증
○ 국내 조선소의 대형 선박 건조 시 수행되는 선박 수중소음 측정 및 성능평 가 관련하여 기관차원의 이익실현
다. 연구결과의 공공적 파급효과
○ 조선산업과 관련하여 우리나라 대형 조선소에서 건조되는 선박의 수중소음 측정 및 인증 업무와 기술이전을 통한 조선소의 국제경쟁력 향상에 기여
○ 해양생태계에 영향을 미치는 항행선박 수중소음 통제 및 관리를 위한 국가 R&D 과제개발 활용.
○ 우리나라 해역에서 항행 선박의 수중소음 모니터링 및 통제를 통한 해산 포 유류 서식지의 조용한 바다 조성.
라. 관련분야 기여도
○ 조선산업과 관련하여 우리나라 대형 조선소에서 건조되는 선박의 수중소음 측정 및 분석 시스템 구성 및 개발안 제시
○ 선박 수중소음 등급 인정 절차서가 개발되지 않은 한국선급에 절차서 개발 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