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서동물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특히 해삼류는 대양의 해구에서 현존하는 생물 중량의 90%를 차지하는 우점생물
ㅇ 바다나리류는 전 세계적으로 570종의 천해종과 80종의 심해종이 알려졌고, 일본 해역에는 약 150종이 분포, 국내에서는 총 16종 분포
- 제주도는 13종이 분포하며 제주도에만 서식하는 것으로는 6종
ㅇ 불가사리류는 세계적으로 약 1,600종, 일본 약 300종, 중국 150종이 서식함 - 국내에서는 49종, 제주도에는 20종이 분포하고 제주도에만 서식하는 것은 8종 ㅇ 거미불가사리류는 전 세계적으로 2,000여종, 일본은 300여종, 중국은 140종,
국내 57종 분포
- 제주도는 29종이 분포하고 제주도에만 서식하는 것으로 13종
ㅇ 성게류는 전 세계적으로 900종, 일본은 180종, 중국은 110종, 국내 29종 분포 - 제주도에는 16종이 분포하고 제주도에서만 서식하는 것으로 10종
ㅇ 해삼류는 전 세계적으로 1,100종, 국내에는 35종이 분포
- 제주도에는 14종이 분포하고 제주도에서만 서식하는 것으로 7종
ㅇ 제주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빨강불가사리(
Centonardoa Semiregularis
)와 일본 거미불가사리(Ophioplocus Japonicus
)에서는 Tumor cell cytotoxicity와 antibacterial activity를 갖는 생리활성물질이 밝혀짐□ 해면동물
ㅇ 세계적으로 7,000여종이 기록되어 있으며 약 15,000종으로 추정 ㅇ 특히 해면동물은 생화학적 성분은 제약 산업에 주요 관심대상임
ㅇ 우리나라는 257종(보통해면강 244종, 석회해면강 10종, 육방해면강에 3종) 중 56종이 신종으로 포함
ㅇ 제주도는 모두 196종이 보고되었고 이는 국내 해면동물의 80%를 차지함 ㅇ 특히 신종 56종 가운데 46%인 22종이 제주도에 서식하며 20종이 제주 고유종
□ 산호류
ㅇ 전 세계적으로 약 6,500여종이 알려져 있고 주로 조조산호(열대, 아열대 산호초를 형성하는데 주역)이며, 1/3정도가 부채뿔산호류와 팔방산호충류임 ㅇ 전 세계적으로 15목이 알려져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11목이 분포
ㅇ 팔방산호충류는 5목 18과 33속 81종, 육방산호충류 2목 17과 39속 49종, 꽃말미잘류는 2목 2과 3속 4종으로 팔방산호충류가 많이 분포
ㅇ 제주도 해역에는 해양목이 50종 45종(90%), 헤계두목이 16종 중 12종(75%), 해세목 11종중 4종(34%), 해변말지잘목 24종 중 9종(38%), 돌산호목 25종 중 17종(68%), 각산호목 3종 중 3종(100%)이 분포
ㅇ 한국산 산호충 134종 중 94종(70%)이 제주도 해역에서 서식하고 있으며, 이중 68종(51%)은 제주도에서만 볼 수 있음
ㅇ 1990년대 이래로 제주도 해역에 개발이 급속히 진행되어 귀중한 산호자원이 급감함
ㅇ 제주도 남부 연안에 분포하는 무인 또는 유인도 연안은 수심이 깊고 경사가 급하고 조류의 흐름이 강하여 견고하게 부착하는 각종의 산호들이 분포하고 있어 학술적으로 중요함
ㅇ 현재 열대지역에서 서식하는 경산호 군락들이 제주도 남부 및 서부 해안을 따라 서식하는 것으로 관찰되고 있음
그림 12. 제주도 연해의 해양생물
제 2 절. 제주의 산업환경 특성 및 입지 적합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