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조사대상자의 센터 업무 난이도

ABSTRACT

6. 조사대상자의 센터 업무 난이도

조사대상자들의 센터업무 난이도는 총 4개 영역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센터 업무에 수행이 어려움을 느끼는 정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센터 등록시설 순회방문 영역 8문항 중 하위 영역의 ‘시설의 일정을 고려하여 계획하다보니 일정관리가 어렵다’가 3.7±0.9점, ‘시설에 센터 점검 외 타 기관의 점검이 너무 많아 방문이 부담스럽다’

3.7±.1.0점이었으며, 반면 ‘시설장 및 종사자들의 호응이 부족하여 지도 일정관리가 어렵다’ 3.0±1.0점으로 다른 문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았다. 교육 업무 난이도 영역 3문항 중 하위 영역 ‘교육에 필요한 자료 개발 및 제작에 대한 자료가 부족하여 어렵다’ 3.1±1.0점, ‘대상별 집합교육 일자와 교육내용에 대한 홍보 부족으로 참여율이 저조하다’ 3.0±1.0점 ‘교육 시 방문한 시설의 협조가 부족하여 교육하기 어렵다’

2.8±0.9점 순 이었다.

재정관리 업무 영역은 ‘센터 위탁 기관 내 규정, 지자체의 예산사용 규정, 식품의 약품안전의 규정이 달라 혼선이 온다’ 3.6±1.0점, ‘현재 예산관리와 관련된 업무량이 너무 많다’ 3.5±1.0점이었으며, 급식소 등록 업무 영역에서는 ‘회원 대상 어린이 급 식소에서 센터가 무슨 일을 하는지 이해하지 못하여 급식소 등록이 어렵다’ 2.7±1.0점,

‘지자체에서 센터 예산 확보에 적극적인 도움을 주지 않아 급식소 추가 등록이 어 렵다’ 2.6±1.1점이었다.

조사대상자의 센터업무 난이도 상의 4개 영역 중 순회방문 업무 영역 63.8±15.7점, 재정관리 업무 영역 63.1±21.3점, 교육 업무 난이도 영역 49.5±18.5점, 급식소 등록 업무 영역 41.7±22.0점으로 센터 직원들의 주 업무인 순회 방문 영역 수행에 대한 어려움이 높게 나타났다. 센터업무 난이도의 총점은 54.5±14.5로 조사되었다(표 12).

- 31 - 표 12. 조사대상자의 센터 업무 난이도

평균±표준편차

항목 전체

(n = 636) 시설에 상주하는 영양사가 아니기 때문에 개선이 필요한 부분에

대한 계속적인 피드백이 어려워 행동변화를 이끌어 내기가 어렵다1) 3.7±1.0 시설의 일정을 고려하여 계획하다 보니 일정관리가 어렵다 3.7±0.9 시설 방문 후 일지작성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 업무에 부담이 된다 3.7±0.9 필요한 인원 대비 지도에 참여할 수 있는 인원이 부족하다 3.6±1.0 현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하는 방문지도 횟수가 많다 3.6±1.0 시설에서 센터 방문에 대비하여 평소와 다르게 관리하여 평상시의

급식소 상태 및 운영 현황을 알기 어렵다 3.5±0.9

시설장 및 종사자들의 호응이 부족하여 지도 일정관리가 어렵다 3.0±1.0 시설에 센터 점검 외 타 기관의 점검이 너무 많아 방문이 부담스럽다 3.7±.1.0

순회방문 업무 영역2) 63.8±15.7

교육 시 방문한 시설의 협조가 부족하여 교육하기 어렵다 2.8±0.9 대상별 집합교육 일자와 교육내용에 대한 홍보 부족으로 참여율이 저조하다 3.0±1.0 교육에 필요한 자료 개발 및 제작에 대한 자료가 부족하여 어렵다 3.1±1.0

교육 업무 난이도 영역 49.5±18.5

센터 위탁 기관 내 규정, 지차체의 예산사용 규정, 식약처의 규정

이 달라 혼선이 온다 3.6±1.0

현재 예산관리와 관련된 업무량이 너무 많다 3.5±1.0

재정관리 업무 영역 63.1±21.3

회원 대상 어린이 급식소에서 센터가 무슨 일을 하는지 이해하지

못하여 급식소 등록이 어렵다 2.7±1.0

지자체에서 센터 예산 확보에 적극적인 도움을 주지 않아 급식소

추가 등록이 어렵다 2.6±1.1

급식소 등록 업무 영역 41.7±22.0

센터업무 난이도 총점3) 54.5±14.5

1) 전혀그렇지않다 1점, 그렇지않다 2점, 보통이다 3점, 그렇다 4점, 매우그렇다 5점 2) 각 영역별 환산점수 = (실제점수-문항수)×100/(실제 예상 가능한 최고점수-문항수)

점수범위 : 0~100점

3) 센터업무 난이도 총점 = 각 영역별 환산점수 합산/4 점수범위 : 0~100점

제2절 직급별 대상자들의 특성 비교 1. 직급별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비교

조사대상자의 직급별 일반적 특성은 비교한 결과 팀원의 평균 연령은 26.6±5.0세로 20-29세가 86.3%, 30-39세는 10.2%, 40세 이상은 3.5%였고, 팀장의 평균 연령은 35.4±7.0세였으며, 20-29세가 15.8%, 30-39세는 62.3%, 40세 이상은 21.9%로 직급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최종학력은 팀원은 대졸 73.3%, 전문대졸 17.2%, 팀장은 대졸 41.5%, 석사 35.0%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근무기간에 있어 팀원은 2년 미만이 60.7%, 2-3년 28.3%, 3-4년 9.7%, 4년 이상은 1.3%였고, 팀장은 2년 미만이 38.3%, 2-3년 33.9%, 3-4년 14.2%, 4년 이상은 13.7%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급여는 1년을 초과하여 근무 시 승급되며 팀원은 1호봉이 30.9%, 2호봉 36.0%, 3호봉 26.7%, 4호봉 6.2%, 5호봉 0.2%였으며, 팀장은 1호봉이 24.0%, 2호봉 37.7%, 3호봉 21.9%, 4호봉 13.1%, 5호봉 3.3%로 직급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직원들의 소속팀은 팀원의 경우 기획․운영 팀이 23.0%, 영양팀 38.6%, 위생팀은 38.4%였고, 팀장은 기획․운영팀 37.7%, 영양 팀 31.7%, 위생팀 30.6%가 조사에 참여하여 직급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01)(표 13).

직급에 따라 연령 및 근무 기간의 차이가 있는 것은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가 이드라인에 채용 조건이 다르기 때문일 것으로 보인다(식품의약품안처 2016b). 팀원은 경력에 대한 자격 요건이 없는 반면, 팀장은 최종 학력 또는 경력에 있어 관련 박사학위 이상 소지자로서 관련분야에서 1년 이상 경력자, 관련 석사학위 이상 소지자 로서 관련분야에서 3년 이상 경력자, 관련 학사학위 이상 소지자로서 관련분야에서 5년 이상 경력자, 관련 전문학사학위 이상 소지자로서 관련분야에서 6년 이상 경력자를 자격 요건을 요구하고 있어 특히 센터 업무 시작 전부터 연령의 차이가 날 수 밖에 없을 것이며, 팀장의 타 센터에서 근무했던 경험이 있거나, 자신이 속한 센터에서 근무한 경력으로 팀장이 된 경우도 있기 때문에 팀원보다 근무 기간이 더 많은 것 으로 결과가 나왔을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 대상자들의 팀원들의 연령은 학교에 근무하는 영양사들보다는 낮았으며, 학력수준은 높았고, 급여수준은 비슷하였다. 그러나 팀장의 연령은 학교에 근무하는

- 33 -

영양교사의 연령수준은 비슷하였고, 학력수준은 높았으나, 급여수준은 더 낮았다(진 정희 2011). 이는 학교에 근무하는 영양교사의 경우 교직으로 전환되는 당시 이미 영양사 근무경력이 최소 3년 이상이며(교육과학기술부 2006), 대부분의 영양교사들의 근무 연수가 10년 이상인 반면, 본 조사 대상자들은 센터 개소 시기가 오래되지 않 았으며, 채용 당시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근무에 대해서만 경력이 인정되어 이전에 있는 영양사의 근무 경력은 반영되지 않았던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표 13. 직급별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비교

N(%)

항목 직급 x2

(p-value*) 팀원

(n = 453) 팀장 (n = 183) 연령(세)

20-29 391(86.3) 29(15.8) 288.582

(<0.001)

30-39 46(10.2) 114(62.3)

≥40 16( 3.5) 40(21.9)

26.6±5.01) 35.4±0.7 t=17.723 (<0.001)

최종학력전문대졸 78(17.2) 10( 5.5)

169.656 (<0.001)

대졸 332(73.3) 76(41.5)

석사과정 21( 4.6) 13( 7.1)

석사 20( 4.4) 64(35.0)

박사과정 2( 0.4) 8( 4.4)

박사 0( 0.0) 12( 6.6)

근무기간(년)

〈 2 275(60.7) 70(38.3)

56.587 (<0.001)

2-3 128(28.3) 62(33.9)

3-4 44( 9.7) 26(14.2)

≥4 6( 1.3) 25( 13.7)

급여(호봉)

1 140(30.9) 44(24.0)

22.178 (<0.001)

2 163(36.0) 69(37.7)

3 121(26.7) 40(21.9)

4 28( 6.2) 24(13.1)

5 1( 0.2) 6( 3.3)

소속팀기획․운영 104(23.0) 69(37.7) 14.331 (0.001)

영양 175(38.6) 58(31.7)

위생 174(38.4) 56(30.6)

* Tested by chi-square test.

1) 평균±표준편차

- 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