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태풍 통과전후의 수층 반응을 보기 위한 해류계 계류시기에 CTD 조사를 모두 8월 말 에 하였기 때문에 8월 말의 해황 판단은 가능한 자료를 획득할 수 있었다. 본 절에서는 기상악화로 단속적인 고조사가 이루어진 경우와 종관적 해황 판단에 어려움이 있는 경우 (2010년)는 해황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가. 년도별 해황

1) 2009년 (그림 3.1.2.1 - 3.1.2.4)

2009년 조사 결과 표층은 하계의 일반적인 특징인 관측해역의 남단에 고온고염수가, 북 서쪽은 염분 30 psu 이하의 양자강희석수(CDW)에 의한 영향이 나타났으며, 50 m 층은

남하하는 저층냉수의 영향과 저염수가 서편에 분포하였다. 조사 해역의 동쪽인 100 m 층은 고온고염의 쿠로시오 기원수가 제주도 남쪽 해역을 중심으로 분포하였다. 해수 물 성의 수직 분포를 보면 제주도와 이어도를 연결하는 관측 라인의 관측 정점 I03-I05의 수심 15 - 20 m 사이에 강한 성층을 형성하고 있으며, 30 m 이하 수심에서 14 °C 이 하의 저층냉수의 영향이 나타나고, I05 (제주도-이어도 관측 라인)부터 동편은 수온의 역전구조가 형성되어 있어 혼합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음을 암시하고 있다.

125 126 127 128 129 130

30 31 32 33 34

35 KOREA

Chejudo

Aug. 27 - Sep. 6 temperature Surface

125 126 127 128 129 130

30 31 32 33 34

35 KOREA

Chejudo

Aug. 27 - Sep. 6 salinity Surface

그림3.1.2.1 2009년 8월 표층에서 수온과 염분의 수평분포.

125 126 127 128 129 130

30 31 32 33 34

35 KOREA

Chejudo

Aug. 27 - Sep. 6 temperature 50 m

125 126 127 128 129 130

30 31 32 33 34

35 KOREA

Chejudo

Aug. 27 - Sep. 6 salinity 50 m

그림3.1.2.2 2009년 8월 50 m 층에서 수온과 염분의 수평분포.

125 126 127 128 129 130 30

31 32 33 34

35 KOREA

Chejudo

Aug. 27 - Sep. 6 temperature 100 m

125 126 127 128 129 130

30 31 32 33 34

35 KOREA

Chejudo

Aug. 27 - Sep. 6 salinity 100 m

그림3.1.2.3 2009년 8월 100 m 층에서 수온과 염분의 수평분포.

그림3.1.2.4 2009년 8월 이어도-제주도 관측 라인에서의 수온과 염분의 수직분포.

2) 2011년 (그림 3.1.2.5 - 3.1.2.8)

1차 조사 시기에는 관측 해역의 남동쪽에 분포하는 고염의 대마난류수가 제주도 동쪽 해역까지 연결되어 있으며, 북서쪽 (제주도 남서쪽) 표층에는 저염의 양자강 희석수와 50 m 층에는 저온의 황해저층냉수 영향으로 남서-북동 방향의 전선이 형성되어 있다.

표층 수온은 2010년보다 약 0.5~3 ℃ 낮고, 염분은 약 1 psu 정도 높은 값을 보여주었 다. 또한, 수심 50 m 에서는 2010년보다 수온과 염분이 모두 높아 해수 물성의 년변화 가 큼을 보여주었다. 표층 혼합층은 대륙붕 해역에서는 약 20 m (정점 K09)로 나타나고

대륙사면 방향 (동쪽)으로 갈수록 깊어져서 정점 J05에서는 50 m였다. 수온약층의 두께 는 대륙붕 해역에서 약 20 m 인 반면 대륙사면 역에서는 두꺼워져 약 40 - 50 m로 나 타났다.

2차 조사에서는 혼합층이 수심 40~50 m 까지 깊어지고, 수온약층의 두께도 얇아지며, 서쪽은 얕고 동쪽은 깊은 성층이 완만한 경사를 이루는 구조로 바꾸었다. 혼합층의 수온이 낮아지고 수심도 깊어지며, 성층도 약화되는 현상은 계절적인 요인과 더불어 1차 조사 후 동중국해를 관통한 태풍 꿀랍에 의하여 수직 혼합이 강화된 결과일 것으로 판단된다.

그림3.1.2.5 2011년 8월 표층 수온과 염분의 수평분포.

그림3.1.2.6 2011년 8월 수심 50m에서 수온과 염분의 수평분포.

그림3.1.2.7 2011년 8월 해류계(ADCP) 계류지점이 포함된 동-서 라인에서의 수온과 염분 수직구조.

그림3.1.2.8 2011년 10월 해류계(ADCP) 계류지점이 포함된 동-서 라인에서의 수온과 염분 수직구조.

제2절 표층부이 관측 및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