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온난화 환경에서 태풍수 변동 분야
- 장기적인 지구 온난화 환경에서 태풍수는 어떻게 변할 것인가? 혹은 태풍강도는 어떻 게 변할 것인가? 에 대한 많은 연구가 있어 왔다. IPCC (Internal Pannel for the Climate Change) 4차보고서에서는, 일본기상연구소의 수치모델링 결과에 따르면, 태 풍강도는 온난화가 진행됨에 따라 강도강화가 나타나나 태풍빈도수는 뚜렷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북서태평양에서 장기적으로 태풍수의 변화가 어떤 변화 를 보이는가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왔다.
-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성과는 일차적으로 목표로 하는 저널에 제출되어 상세한 Review를 받은 바 있다. 일차적으로 목표로 하는 저널에 게재되지는 못하였으나 지적 된 검토의견과 추가적인 내용 보완을 통해 보다 개선된 논문이 작성되는 단계에 있으 며, 향후 검토, 보완 단계를 지나면 다시 제출할 예정으로 있다.
나. 온난화 환경에서 엘니뇨 분야
- 연구를 통해 기후변화에 따라 엘니뇨가 특징적으로 변화하는 특성을 발견하였다. 엘니 뇨의 특성은 수십년 시간규모에서도 변하는데, 엘니뇨의 주기와 강도는 1970년대 후 반을 전후로 크게 바뀌었다. 특히, 1990년대 후반과 2000년대에 엘니뇨는 통상적인 엘니뇨와 비교하여 해수면 온도편차의 최대 위치가 서쪽으로 이동했다. 이런 새로운 종류의 엘니뇨는 날짜 변경선 엘니뇨, 엘니뇨 모도키, 중태평양 엘니뇨, 그리고 온수역 엘니뇨라고 불린다. 그런 엘니뇨 특성의 변화는 태평양을 비롯한 많은 지역의 원격상 관에도 변화를 야기한다. 최근 들어 빈번하게 발생하는 온수역 엘니뇨는 인간이 만들 어낸 지구온난화에 기인할 수도 있다.
- 엘니뇨 연구결과는 “변화하는 기후에서 엘니뇨” (El Nino in a changing climate, Yeh et al., 2009)라는 제목으로 최고수준의 저널인 Nature지에 2009년에 게재되었다.
제2절 관련분야 기여도
전체적인 연구결과를 크게 3개 분야로 구분하여 관련 분야 기여도를 기술한다.
1. 태풍시 내부파 조사 및 단주기 운동 LES 수치모델링 분야
가. 태풍시 내부파 관측분야
- 2차년도 태풍 Kompasu 내습시 5 beam ADCP 관측을 통해 세계최초로 내부파 (internal wave)를 3차원 입체적인 관측을 성공적으로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 분석 결과 매우 양호한 상태의 자료로 판단되고 있다. 이를 통해 해양물리 현상의 대표적인 내부파에 대한 세계수준의 관측기술을 확보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 관측기술은 향 후 관련 연구 수준의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내부파의 생성, 감쇄, 전파 특성에 대한 다양한 관측결과를 성공적으로 수집한 의미가 있다.
- 5 beam ADCP 관측분야 통해 준관성류(Near inertial current)에 대한 보다 심화된 연구가 가능할 것으로 평가된다. 준관성류가 상층의 에너지를 잃는 과정에서 상부 난 류혼합층에서의 에너지 손실이 내부파로의 에너지 전이가 매우 중요한 요소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결과를 얻었다. 향후 본 관측자료는 대륙붕 등 천해에서 태풍시 준관 성류 이해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 추가적으로 ADOS, CTD 관측을 통하여 태풍이 전파해 감에 따라 해양에 영향을 미치 는 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다수의 자료가 확보되었으며, 향후 수년간 국제학술지에 성 과가 발표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나. 온난화 환경에서 태풍수 변동 분야
- 지구온난화 기후에서 태풍발생수의 변동과 그 원인분석을 통하여 북서태평양 및 중태 평양에서 발생하는 태풍 중 강한 태풍의 발생수는 증가하는 특징을 발견하는 등 기후 변화에 따른 태풍발생수의 변동양상을 이해하게 되었으며, 대만, 일본은 물론 유럽, 미 국과의 공동연구 체계 및 관련 분야 연구에 대한 국내연구진의 입지를 다지게 되었다.
- 고해상도 기후모형을 이용하면서 보다 현실적인 태풍모의가 가능해졌으며, 태풍연구에 대한 과기원 연구 역량의 국제적인 위상을 제고하게 되었다. 특히, 사업에서 도출된 것으로서 온난화환경에서 강한 태풍이 증가할 수 있다는 내용은 현재 NSC급 논문의 게재가 예상되고 있다.
- 고해상도 기후모형에서 태풍소용돌이를 추출하는 기술을 이용함으로써, 현재 이용되고 있는 다양한 기후모형에서 태풍모의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게 되었으며, 나아 가 기후모형을 개선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기상청에서 이용되고 있는 UM(Unified Model)의 태풍모의 문제를 발견하고 수정할 수 있는 정보를 기상청에 제공해 주었다.
다. 온난화 환경에서 엘니뇨 분야
- 지구온난화 기후에서 새로운 형태 즉, 온수역 엘니뇨(warmpool El Nino)의 발생빈도 가 높아질 수 있다는 내용이 이미 2009년 Nature지에 게재되었으며, 수많은 연구진에 의해 인용되었다. 또한, 엘니뇨 연구 분야에 자연변동성과 엘니뇨 발생 형태, 기후모 형에서의 엘니뇨 형태 등, 수없이 많은 파생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 본 사업을 통하여 엘니뇨/라니냐 관련 연구의 국제적 주도권을 획득함은 물론 관련 분 야의 국제적 협력 연구에 주도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온수역 엘니뇨에 관하여 국내 새로운 사업이 발굴되고 수행되고 있다.
라. 북서태평양 해양-태풍상호작용 국제워크샵 주관/창설 산파역할
- 2006-2011년간 기초기술연구회 지원 협동 연구 사업으로 수행한 “지구온난화 환경에 서 강화되는 태풍해일 예측기술 개선연구”와 공동으로 성과를 창출함.
- 2009년 국제 워크샵 공동 창설. 제주 KAL호텔에서 2회 개최.
- 2009년 5개국, 2011년 4개국 각 40여 학술 발표, 3차(대만)워크샵 지속 유지
명칭 기술분야 규모
개최장소 지원금액
(백만원)
참가국 인원 기간(일)
International workshop on
Tropical Cyclone-Ocea
n Interaction in the Northwest
Pacific
-해양-태풍상 호작용관측/분 석분야
-해양-태풍결 합모델링 분야
미국,일본, 중국,대만,
호주
참석 86명, 40여 구두,포스터
발표
2009년 4월27일-
29일
제주 KAL 호텔
본사업 예산 부분 지원
(기타추가 경비 미 국,해양연(추가),기 상연,태풍센터 공동 개최 및 경비부담)
좌: Proceeding 첫페이지
우 : website (http://www.tcoi.kr) 첫면 (Website에서 Proceeding 확인가능. 학회중 발표 ppt자료는 현재 pdf파일로 수집중임) 아래: 참석자 촬영
-본 워크샾은 본연구계획서 제 출시 3차년도에 국제워크샾 개최 계획에 따라서 개최하였으며 아 시아 최초 해양-태풍상호작용 워크샾 의미.
-2회 워크샾은 2년 후 제주 혹 은 코엑스에서 실시키로 결정하 였으며, 이후 대만이나 중국에서 개최 예상됨.
명칭 기술분야 규모
개최장소
참가국 인원 기간(일)
TCOI2011 -해양-태풍상호작용관측/분석분야
-해양-태풍결합모델링 분야
미국,일본, 대만,인도
참석 68명, 35 구두, 포스터 발표
2011년 5월11일-
13일
제주 KAL 호텔
좌: Proceeding 첫페이지
우 : website (http://www.tcoi.kr) 첫면 (Website에서 Proceeding 확인가능. 학회중 발표 ppt자료는 현재 pdf파일로 수집중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