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IV. 연구 결과

3. 종합결과

자전거 통학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개인 심층 면접조사 중 면담 자료를 통해 통학의 의미와 그 맥락에서의 자전거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였 다. 또한 결과로 도출된 대상지 청소년이 인식하는 자전거 통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속성은 편의성, 안전성, 활동성, 주체성, 일상성이었다. 이는 청소년 개인이 인식하는 속성이었으나 사회·물리적 환경, 제도적 차원까 지 모두 연계가 되어 상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조사를 통해 통학 시 지속적인 청소년들의 자전거 이용은 스스로 필요성을 느끼고 의지 나 흥미를 바탕으로 효율적이고 편의성이 높은 이동수단이며, 안전이 확보 된 상황에서 신체활동량의 부족으로 체력이 저하되는 청소년들의 일상 속 신체활동 및 체력 증진 방안의 일환으로써 활용 가능 여부 및 적합함에 대 해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자전거를 이용하여 통학하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면담조사에서 자 전거 통학에 대한 견해가 성별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 다. 학년이 올라가면서 자전거 통학 비율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던 남자 학생들의 면담 내용에 비해 오히려 여자 학생들의 경우 주변의 시선이나 제도적 제재로 인해 자전거를 이용한 통학율이 ‘매일 이용’에서 평균 월 2회로 급감한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통학 시 동행하는 사람의 비 중이 낮은 남자 학생에 비해 통학 및 그 외 대부분의 장소를 누군가와 동 행하는 여자 학생에게 통학 시 자전거는 동행자와 친밀감을 가지지 못하게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하였다.

조사 대상지 ‘ㅁ’동과 ‘ㅅ’동 두 지역 거주지별 참여 청소년 간, 자전거 통학의 의미 및 영향요인에 대한 인식에서의 차이는 크지 않았지만

‘ㅁ’동의 중심부를 기점으로 자전거전용도로 존재여부, 평지 등 물리적 건조 환경 측면에서 자전거를 타기 좋은 곳이라는 견해가 있음을 확인하였 다.

청소년들의 자전거 이용 통학에 대한 개인 면담 참여 '관련자' 집단의 다양한 견해를 접할 수 있었다. 특히 자전거 통학 청소년에 대한 책임과

관리에 대한 견해는 교육기관과 나머지 입장이 상반되는 측면도 있었으나 청소년의 안전한 통학길에 대해서는 기관 및 단체들의 상호 협력을 통해 청소년들이 안전하게 자전거를 타고 통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자는 방안 모색에는 모두 공통된 의견을 확인할 수 있었다.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