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중점과제 10: 빅데이터 생산을 위한 무인체계 활용 기술 개발

Dalam dokumen 한국해양과학기술원 (Halaman 71-74)

중점과제명 빅데이터 생산을 위한 무인체계 활용 기술 개발

기술정의

- 해양빅테이타 생산을 위한 해양관측용 해양드론 소요 핵심기술 개발을 위한 해양관 측장치 탑재체, 소형·경량의 관측장비, 관측장비 투하기술, 관측자료 송신 모듈의 기 술체계 수립

요소기술

- 무인체계 개발 및 활용 기술 - 해양관측 센서 기술

- 자료 실시간 전송을 위한 무선 통신 기술 - 원격 장비 무선 제어 기술

단계별 연구개발 목표(2021년까지)

단계(연도) 1단계 (2017~2018) 2단계 (2019~2021)

연구개발 목표 - 빅테이터 생산을 위한 무인 해양관측 체계 소요 해양관측 기술 수립

- 무인체계를 활용한 해양관측 기술 검증 및 빅테이터 생산

단계별 산출물

- 일회성 해양관측센서(XBT, XCP 등)를 투하 하는 장치

- 획득된 자료를 무선으로 실시간 송수신하는 모듈

- 무인체계 시범 운용 결과

- 무인체계 활용 해양관측 기술 검증 - 무인체계 해양관측 센서 투하 장비

고도화

- 무인체계 제어 및 자료송수신 모듈 고도화

- 무인체계 활용 빅데이터 생산

기대효과

- 해양드론을 이용한 해양관측 활용분야 발굴 및 관련 핵심기술 개발안 마련

- 장기간·장거리 체공, 탑재중량 증가 및 최소 형화 드론 개발안 마련

- 장거리 실시간 무선통신 시스템 구축안 마 련

- 무인체계의 탑재공간에 적합한 관측 장비 및 센서의 최소형화 기술개발 안 마련

- 해양관측선과 해양드론의 통합 활용 으로 해양관측 범위 확대 및 연구 예산절감

- 해양관측에 적합한 해양드론 활용 관측기술 개발로 긴급해양 재난(적 조, 해난사고, 유류오염 등) 대응·감 시을 위한 실시간 해양환경 관측에 활용

소요예산 10억 20억

제 5 장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방안 및 기대효과

제 1 절 활용방안

빅데이터 플랫폼

◦ 빅데이터 공통 플랫폼 구축을 통한 다양한 주제의 대용량 데이터 처리, 분석 기술 지원

◦ 부산 신청사 해양정보 종합상황실의 융·복합 연구시스템 구축 지원

빅데이터 활용체계

◦ 해색 중 · 저해상도 위성영상과 고해상도 위성영상과의 연계 기술 제시

◦ 지상, 위성 AIS자료와 SAR 위성자료의 융합을 통한 통합 불법조업 선박 모니터링 기술지원

◦ 빅데이터 기계학습 분석기반 해무 발생 메커니즘 구현 및 예측 활용

◦ 부유체 입자추적 수치모델의 정확도 향상을 통한 수색구조, 유류확산 예측 지원

◦ 빅데이터 기반 연안지형 변동 요인 분석 및 예측도 향상 연구 활용

◦ 기후변화기인 해수면 상승 및 폭풍해일 위험에 따른 연안역 침수범람 위험도 평가 및 예측

빅데이터 생산체계

◦ 드론 및 수중글라이더를 이용한 KIOST 해양빅데이터 자체 생산 체계 구축, 운영

◦ 해양무인 관측체계를 통한 긴급해양 재난 대응/감시 지원 및 군 작전(해군) 실시간 지원

◦ 해양연구선과 드론의 통합 활용으로 해양관측 공간범위 확대 지원

◦ 수중드론 공간정보 분석 원천기술을 활용한 해양 물리 및 기후변화 연구에 활용 지원

제 2 절 기대효과

◦ KIOST 빅데이터 공통 플랫폼 구축을 통한 빅데이터 및 기술 공유 체계 활성화 기여

◦ 빅데이터 처리, 분석기반 융합형 원천기술 내재화를 해양예측 모델개발의 활성화 기여

◦ 빅데이터 플랫폼 기반 해양정보 종합상황실의 융·복합 연구 기능 및 활용 방안 고도화

◦ AIS 정보분석을 통한 VTS 미관측 해역의 선박 모니터링 지원 기대

◦ 통합 선반운항정보 기반 중소형선박 탐지 기술의 고도화

◦ 해양순환모델, 운용해양시스템의 해양예측모델 정확도 향상에 기여

◦ 해무예측을 통한 안전한 해양레저, 효과적인 어업 활동, 여객선/항공기 연비 절감에 기여

◦ 입자추적 모델의 정확도 향상을 통한 수색구조, 유류확산 예측의 정확도 향상 기여

◦ 해수면 상승기인 연안역 침수범람 예측을 통한 시설물, 인명의 안전확보 및 피해 최소화 기여

◦ 무인탐사 관측기술체계 수립 및 데이터 활용기술 개발을 통한 신속한 해양안전 및 재난 지원

◦ IoT 기반 해양정보 서비스의 실용화로 보다 현실적이고, 안전한 해양산업 활동 지원

◦ 저가형 드론 확보 및 운영기술 체계 확립을 통한 해양관측 비용의 효율성 제고

◦ 해양관측용 해양드론 활용분야 발굴 및 핵심기술 설계 기대

◦ 장기간·장거리 체공, 탑재중량 증가 및 최소형화 드론 기술 개발을 통한 해양산업계 발전기여

Dalam dokumen 한국해양과학기술원 (Halaman 71-74)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