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2. 지능적 맞춤화를 통한 학습 효과의 극대화
교사 F: 핑퐁의 장점이 그거잖아요. 학생 대부분이 수업에 참여를 하고, 우 리 조와 다른 조의 형성평가 결과가 바로 보인다는 거. 틀리면 바로 알 수 있 으니까 저도 알려주기 편하고, 어디가 틀렸는지 서로 찾으려고 하고 거기서도 서로 재미와 경쟁을 느끼는 것이 꽤 좋은 것 같기는 해요.
(2차면담 내용 중에서)
교사 B: 학생들이 답을 쓰면 바로 구글 드라이브에 모이고, 이것이 전체적 으로 공개되어 있어서 교실에 있는 모든 학생이 볼 수 있어요. 가장 먼저 한 팀은 순위에 대한 기대감이 있고, 또 자기가 쓴 답이 정답인지 궁금해 하고.
저도 학생의 답이 올라오는 대로 ‘어 답을 적은 조가 있네.’ 라고 유도하기도 하고, 그러면 아직 답을 못 적은 조들이 힌트를 통해서 답을 완성했어요.
(1차면담 내용 중에서)
위와 같이 학습자 수준에 따른 개별화 요소를 수업에서 활용한 교사들은 카카오톡, 핑퐁, 구글 드라이브 등의 앱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학습 결과를 수 집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피드백을 시도하였다. 물론, 모든 학생이 스마트기 기를 소지하지 못한 현실적인 제약으로 인해 개별 학생의 학습 결과를 모두 수집하지 못하고 대부분 소집단 활동의 결과를 수집하였으나 교사가 수업 중 에 학생들의 수준을 파악하는 데에는 큰 도움이 되었다. 이에 따라 교사들은 주로 수업 시간에 학생 전체를 대상으로 피드백을 하였는데, 교사가 학생들의 학습 결과를 바탕으로 정리할 뿐 학습자 수준에 맞는 적응적인 자료를 제공하 지는 못하였다. 특히, 피드백을 하는 과정에서 스마트기기를 통해 학습자 수준 에 적절한 개별화된 자료를 제공하는 경우는 없었다. 이는 다음의 응답에서 볼 수 있듯이 교사가 직접 학생의 응답에 따른 적응적인 자료를 스마트기기로 제공하기 어렵고, 모든 학생이 스마트기기를 갖고 있지 않은 경우가 많으며, 개별화된 수업을 하기에는 스마트교육을 위한 인프라가 구축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었다.
교사 E: 한 수업에 대해서 상중하 수준별로 애들이 풀 수 있는 형성평가를 교사가 다 만들어야 하잖아요. 누가 만들어 주면 모를까, 그거를 다 만들어야 한다면 어려울 것 같은데 누가 선뜻 시도를 할 수 있을까요? 모든 교사에게 그렇게 하라고 하기는 어려울 것 같아요.
(2차면담 내용 중에서)
교사 G: 학생들이 스마트폰을 많이 갖고 있는 것도 아니었고 데이터도 부 족하다고 하니까, 그게 좀 문제였죠. 스마트폰 보급률에 따라서 스마트폰 앱을 모든 아이들이 사용할 수 없으니까 조별로 진행을 하거나 그러려고 할 때는 좀 어려움이 많았어요.
(2차면담 내용 중에서)
따라서 이 요소를 실제 과학 수업에서 활용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제공할 수 있는 개별화된 학습 자료와 함께 수집한 학습 결과를 바탕으 로 학습자 수준에 적절한 적응적인 자료를 쉽고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앱을 개발하여 교사들에게 제공하는 것이 매우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4.1.2.2 학습자의 맥락, 상황 및 위치 인식
스마트기기를 사용하면 학습 상황이나 공간, 위치를 인식하여 적절한 학습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학습의 편이성과 효과를 높일 수 있다. GPS를 이용하여 학습자가 위치한 장소와 관련된 학습 문제를 제공하거나 그 장소에서 발생 가 능한 상황을 제시해 줄 수 있는데, 특정 위치에서 일정 거리 내에 있는 사용 자에게 관련 정보를 제공해 주는 비콘(beacon)을 사용하는 것이 대표적인 예 이다. 면담 결과, 수업에서 이 요소를 활용한 경험이 있는 교사는 없었고, A가 스마트교육 연수에서 GPS를 이용해 위도와 경도를 측정하는 앱을 사용해 본 경험이 있는 정도였다. 교사들은 GPS나 비콘을 활용한 학습자의 맥락, 상황 및 위치 인식 기술을 학습에 활용하는 것에 대해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 았으므로, 인프라가 어느 정도 구축될 때에 연수를 통해 관련 앱이나 구체적 인 활용 방안을 소개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현장 학습에서 학생이 수업 시간에 배운 암석이나 광물이 있는 장소에 도착했을 때 GPS를 이용하여 스마트기기에 이와 관련된 과제나 활동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김민성과 최 재영, 2012).
4.1.3. 학습 자원 확장을 통한 학습 공간 및 기회의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