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 앱 UI 디자인 중신으로, 한국과학예술포럼, 8, 89-102.
양연경, 이부연 (2014). 스토리텔링 기반의 과학융합 에듀테인먼트 스마트 콘 텐츠 개발 연구, 한국과학예술포럼, 15, 319-331.
유구종 (2012). 유아교육기관 스마트폰, 태블릿 PC 활용 프로그램 개발 및 유 아의 과학적 사고에 미치는 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17(3), 85-110.
유미현, 박현주 (2011). 멀티미디어 자료를 활용한 과학수업이 고등학생의 과 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과학교육연구, 35(2), 1-12.
이성근, 류희수 (2013). 스마트교육의 핵심요소에 대한 제안, 정보교육학회, 17(2), 101-113.
이지선, 최재혁 (2012). 학습자 요구 분석에 따른 스마트폰 어휘 학습용 어플 리케이션의 구현, 컴퓨터교육학회, 15(1), 43-53.
임걸 (2010). 스마트폰 기반 사회네트워크 서비스 활용수업 사례연구: 의사소 통 내용 및 도구적 특성 분석을 중심으로, 교육방법연구, 22(4), 91-114.
임병노, 임정훈, 성은모 (2013). 스마트 교육 핵심 속성 및 스마트 교육 콘텐츠 유형 탐색, 교육공학연구, 29(3), 459-489.
임정훈, 안순선 (2014). 초등학교 스마트패드 활용수업의 교육적 유용성과 문 제점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정보교육학회, 18(1), 75-87.
임혜영, 안희수 (1999). 멀티미디어 과학 학습 프로그램의 개발과 과학 학업 성취, 학슴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 19(4), 595-603.
임희정 (2014). 초등 교과교육: 다중 문해력 교육을 위한 초등영어 디지털 교 과서 기반 교수, 학습모형 연구, 한국초등교육, 25(1), 261-275.
조재춘, 임희석 (2012). 교수-학습 활동과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한 스마트교육 개념모델,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5(4), 41-49.
정민수, 이동성 (2014). 스마트교육 선도 교사들의 교수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교육종합연구소, 12(3), 85-104.
주영주, 임유진 (2015).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한 과학수업에서 디지털교과서 자 기효능감, 디지털교과서 품질,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학습만족도간의
구조적 관계규명. 교과교육학연구, 19(2), 239-257.
주종우, 이용환 (2012).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사진교육의 가능성에 대한 연구 -수업시간 이외에 SNS를 통한 교수자와 학생의 소통을 위한 연구, 한국사진학회, 26, 47-60.
천세영, 전미애, 방인자 (2014). 스마트교육기반 디지털교과서 활용수업 효과 분석. 초등교육연구, 27(3), 137-161.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3),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모형 연구–중등편-, 한국 교육학술정보원
한해숙, 임희석 (2013). 초·중·고에서의 스마트교육 교수·학습 유형 분석, 디지 털융복합연구, 11(2), 51-58.
Bogdan, R. C., & Biklen, S. (2006). Qualitative research for education: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methods. Needham Heights, MA: Allyn &
Bacon.
Charitonos, K., Blake, C., Scanlon, E., & Jones, A. (2012). Museum learning via social and mobile technologies: How can online interactions enhance the visitor experience?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43(5), 802-819.
Huang, Y. M., Lin, Y. T., & Cheng, S. C. (2010). Effectiveness of a mobile plant learning system in a science curriculum in Taiwanese elementary education. Computers & Education, 54(1), 47-58.
Johnson, L., Adams, B. S., Cummins, M., Estrada, V., Freeman, A., &
Ludgate, H. (2013). NMC horizon report: 2013 higher education edition. The New Media Consortium.
Liu, T.-C., Peng, H., Wu, W.-H., & Lin, M.-S. (2009). The effects of mobile natural-science learning based on the 5E learning cycle: A case study. Educational Technology & Society, 12(4), 344-358.
Shih, J.-L., Chuang, C.-W., & Hwang, G.-J. (2010). An inquiry-based mobile learning approach to enhancing social science learning
effectiveness. Educational Technology & Society, 13(4), 50-62.
ABSTRACT
An Investigation of Teaching Practices with Smart Technologies of Science Teachers and Their Opinions
of How to Apply Smart Technologies in Science Education
Jo, Minjin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Major in Chemistry Th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this study, we analyzed teaching practices with smart technologies of science teachers, and investigated their difficulties in implementing smart education and their educational needs. We also studied their opinions of how to apply smart technologies in science education. The participants were 7 science teachers, who participated at the smart education study group of a science teacher association in Seoul. We elaborated the characteristics of smart education in science education during comprehensive analyses of instructional materials used in science classes and the first interviews. Then, we analyzed the second interviews by categorizing their responses inductively. All the science teachers used the
‘instant access as needed’, but their interactions, simply answering students’ questions, were found to be at low level. They did not effectively use the ‘collaborative interaction with SNS or wiki-based service’ for th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