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직관 압력배관 해석 결과

Dalam dokumen 저작자표시 (Halaman 56-81)

Fig. 4-12 Straight sense of shape analysis results

Fig. 4-13 Graph of intuitive deformation analysis result

제 3 절 직관 및 곡관 압력배관 측정 실험

Fig. 4-14 Straight sense of force analysis results

Fig. 4-15 Graph of intuitive stress analysis result

2. 직관 압력배관 내부 결함 측정

(1) 결함 길이별 측정 결과

- 결함 두께 : 3mm - 결함 폭 : 15mm

- 결함 길이 : 80mm, 60mm, 40mm, 20mm

◆Phase map 길이

압력 80mm 60mm 40mm 20mm

0.02MPa

0.03MPa

0.04MPa

0.05MPa

0.06MPa

◆Phase map unwrapping image 길이

압력 80mm 60mm 40mm 20mm

0.02MPa

0.03MPa

0.04MPa

0.05MPa

0.06MPa

◆Profile of unwrapping image 길이

압력 80mm 60mm 40mm 20mm

0.02MPa

0.03MPa

0.04MPa

0.05MPa

0.06MPa

◆길이별 압력 변화에 따른 측정 결과 비교

80mm

60mm

40mm

20mm

(2) 결함 두께별 측정 결과

- 결함 길이 : 80mm - 결함 폭 : 20mm

- 결함 두께 : 1mm, 2mm, 3mm, 4mm

◆Phase map 길이

압력 1mm 2mm 3mm 4mm

0.02MPa

0.03MPa

0.04MPa

0.05MPa

0.06MPa

◆Phase map unwrapping image 길이

압력 1mm 2mm 3mm 4mm

0.02MPa

0.03MPa

0.04MPa

0.05MPa

0.06MPa

◆Profile of unwrapping image 길이

압력 1mm 2mm 3mm 4mm

0.02MPa

0.03MPa

0.04MPa

0.05MPa

0.06MPa

◆두께별 압력 변화에 따른 측정 결과 비교

4mm

3mm

2mm

1mm

Fig. 4-16 Bent sense of shape analysis results

Fig. 4-17 Graph of bent deformation analysis result

3. 곡관 압력배관 해석 결과

Fig. 4-18 Bent sense of force analysis results

Fig. 4-19 Graph of bent stress analysis result

4. 곡관 압력배관 내부 결함 측정

(1) 결함 길이별 측정 결과

- 결함 두께 : 3mm - 결함 폭 : 15mm

- 결함 길이 : 80mm, 60mm, 40mm, 20mm

◆Phase map 길이

압력 80mm 60mm 40mm 20mm

0.015MPa

0.02MPa

0.025MPa

0.03MPa

0.035MPa

◆Phase map unwrapping image 길이

압력 80mm 60mm 40mm 20mm

0.015MPa

0.02MPa

0.025MPa

0.03MPa

0.035MPa

◆Profile of unwrapping image 길이

압력 80mm 60mm 40mm 20mm

0.015MPa

0.02MPa

0.025MPa

0.03MPa

0.035MPa

◆길이별 압력 변화에 따른 측정 결과 비교

80mm

60mm

40mm

20mm

(2) 결함 두께별 측정 결과

- 결함 길이 : 80mm - 결함 폭 : 20mm

- 결함 두께 : 1mm, 2mm, 3mm, 4mm

◆Phase map 길이

압력 1mm 2mm 3mm 4mm

0.015MPa

0.02MPa

0.025MPa

0.03MPa

0.035MPa

◆Phase map unwrapping image 길이

압력 1mm 2mm 3mm 4mm

0.015MPa

0.02MPa

0.025MPa

0.03MPa

0.035MPa

◆Profile of unwrapping image 길이

압력 1mm 2mm 3mm 4mm

0.015MPa

0.02MPa

0.025MPa

0.03MPa

0.035MPa

◆두께별 압력 변화에 따른 측정 결과 비교

1mm

2mm

3mm

4mm

제 5 장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전단간섭계의 고 정밀 정량측정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이용하여 전단간섭계의 산업현장에서의 실제 활용을 높이고자 하였다. 플랜트 현장에서의 실 제 발생 가능한 직관 및 곡관의 압력배관에 내부결함을 제작하여 전단간섭계를 이 용해 면외 변형 결합을 통한 간섭계를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측정 하였으며, 내부결 함의 길이 및 두께별로 확인하였다. 또한, 실험 중 전단간섭계의 정밀함을 분석하 기 위해 정밀 변형 발생 장치를 제작하여 대상 체의 특성 파악을 위한 0.01m급 미소 변화를 통해 정밀 제어가 가능하도록 제작하였다. 이를 통해 앞서 서두에 말 했듯이 고 정밀 정략측정을 이용하여 플랜트 압력배관의 직관 및 곡관의 내부결함 에 대한 길이 및 두께를 정략적으로 측정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 었다.

1)제안된 전단간섭계 계측방법은 고 정밀 정량변형측정과 외란에 강하다는 장점을 통해 산업현장 적용성이 매우 높은 비파괴계측 기법이다.

2)결함 길이별 결함 측정 실험에서 획득한 Phase map의 profile의 결과 중 80mm의 결함에 0.2MPa의 그래프와 0.6MPa의 그래프를 비교하였을 때 줄무늬의 변화에 따라 그래프의 양 끝단에 생기는 수직의 그래프를 확인할 수 있다.

3)이는 Phase map의 이미지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줄무늬의 경계를 나타낸 구간 이며 줄무늬가 개수가 많아질수록 수직의 그래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4)Phase map이미지와 unwrapping이미지를 비교하였을 때 unwrapping이미지에 서 기존의 줄무늬가 사라지고 명암차이가 분명해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5)결함이 있는 압력배관의 변형측정은 ESPI는 측정 시 결함부분과 배관 전체에 발생하는 실제변형을 측정하나 noise가 심하며, 전단간섭계로는 측정이 간편하나 압력배관 자체의 팽창으로 인한 변형을 확인할 수 없어 결과의 신뢰성이 낮음을

확인하였다.

6) 결함이 있는 압력배관의 전단 량 변화에 따른 변형 값의 최대치 비교를 통하여 전단 량이 증가할 때 최대 변형 량은 감소가 됨을 알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전단 량이 0일 때의 정량적인 변형 값의 최대치를 유추 할 수 있다. 전단 량이 0 일 때 의 변형 량을 결함부와 비 결함부의 변형 량의 합이라 정의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로 제안된 전단간섭계는 외부환경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결 함이 있는 대상 체에 외력이 가해지면 그 결함부위에서 응력 집중현상이 발생하면 서 변형을 일으킨다. 이러한 면 외적으로 발생하는 변형을 레이저 간섭을 통해 고 정밀 측정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를 이용해 내부결함 정량측정 및 비접촉, 비파괴 측정으로 원거리 및 정밀한 결함 측정이 가능하며, 산업현장과 실 험실 환경에서의 적용성이 좋고, 실시간으로 빠른 측정이 가능할 뿐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다방면으로 활용도가 크게 쓰이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

참 고 문 헌

[1] Hung, Y. Y.. “Speckle-shearing Interferometric technique: A full-field strain gauge.” Applied Optics Vol. 14 pp. 618-622, 1975

[2] Hung, Y. Y., "A Speckle-shearing Interferometry: A tool for Measuring Derivatives of Surface Displacement," Optics Communication, Vol. 11, pp. 132-135, 1974.

[3] Butters, J. N. and Leendertz, J. A., "Speckle Pattern and Holographic Techniques in Engineering Metrology," Optics & Laser Technology, Vol. 3, pp. 26-30, 1971.

[4] Hung, Y. Y., Digital shearography versus TV-holography for non-destructive evaluation, J. Opt. Lasers Eng., Vol. 26, pp. 421-436, 1997

[5] Hogmoen, K., Lokberg, O. J., "Detection and Measurement of Small Vibrations using Electronic Speckle Pattern Interferometry," Applied Optics, Vol. 16, pp. 1869-1875, 1977.

[6] 김경석, 『CW 레이저 스페클 사진법과 화상처리에 의한 고온하의 면내 변위 및 스트레인 측정에 관한 연구』, 서울: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8.

[7] C. J. Tay, H. M. Shang, A. L. Neo, "Measurement of slopes and profile of an optical lens by shearography," Measurement, Vol. 18, pp.

185-191, 1996.

[8] Leendertz, J. A., and Butters, J. N., "An Image Shearing Speckle Pattern Interferometer for Measuring Bending Momonts," J. Phy.

E.Sciencetific Instrument, Vol. 6, pp. 1107, 1973.

[9] Hung, Y. Y., "Shearography: a New Optical Method for Strain Measurement and Nondestructive Testing," Optical Engineering, Vol. 21, pp. 391, 1982.

[10] Steinchen, W., Yang, L.. Digital Shearography: Theory and Application of Digital Speckle Pattern Shearing Interferometry, Washington, SPIE Press, 2003.

[11] 강영준, 박낙규, 유원재, 김동우, “전자 전단 간섭법을 이용한 압력용기의 내부결함 측정에 관한 연구(Ⅱ).” 비파괴검사학회지, Vol. 22, No. 4, pp.

402-410, 2002.

[12] 문상준, 강영준, 백성훈, 김철중, “실시간 홀로그래픽 간섭법을 이용한 압력 용기의 내부결함 측정법,”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Vol. 20, No. 4, pp.

1233-1240, 1996.

[13] Valera, J. D. R., Jones, J. D. C., and Lokberg, O. J., "Exact vibration amplitude derivative measurement with TV shearography," Meas. Sci.

Technol., Vol. 7, pp. 1869-1875, 1977.

[14] Vikhagen, E., "Vibration measurement using phase shifting TV-Holography and digital image processing," Optics Communications, Vol.

69, No. 3,4, pp. 214-218, 1989.

[15] W. Steinchen, G. Kufer, P. Mackel, F. Vossing., "Determination of strain distibution by means of digital shearography," Measurement, Vol. 26, pp. 79-90, 1999.

[16] Steinchen, W., Yang, L.. Kupfer, G., Mackel, P., and Thiemich, A.,

"Vibration analysis by digital speckle pattern shearing interferometry,"

Proc. SPIE, Vol. 3098, pp. 158-165, 1997.

[17] Hogmoen, K. and Lokberg, Ole J., "Detection and measurement of small vibrations using electronic speckle pattern interferometry," Applied Optics, Vol. 16, No. 7, pp. 1869-1875, 1977.

[18] Fulton, J. P., Deaton, J. B., Rogowski, R. S., Namkung, M.,

"Capabilities and Limitations of Electronic Shearography for Detection of Cracks in Thin Plates," Review of progress in quantitative nondestructive evaluation, pp. 365-372, 1994.

[19] Y. Y. Hung, "Applications of digital shearography for testing of composite structures," Composites Part B, Vol. 30, pp. 765-773, 1999.

[20] W. steinchen, L. X. Yang, G. Kufer, P. Mackel, F. Vossing., "'Strain analysis by means of digital shearography : potential, limitations, and demonstration," Journal of strain analysis, Vol. 33, No. 2, pp. 171-182,

[21] Jones, R., and Wykes C., Holographic and Speckle Interferometry: A discussion of the theory, practice and application of the techniques, 2nd Edition,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9.

[22] Cloud, Gary L., Optical Methods of Engineering Analysis,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5, pp. 393-491.

[23] 강영준, 권용기, “진동해석을 위한 전자전단간섭계의 계발,” 대한기계학회 논문집(A), Vol. 21, No. 12, pp. 2047-2054, 1997.

[24] L. X. Yang, W. Steinchen, G. Kufer, P. Mackel, F. Vossing., "Vibration analysis by means of digital shearography," Optics and Lasers in Engineering, Vol. 30, pp. 199-212, 1998.

[25] Creath, K., Temporal Phase Measurement Methods, in Interferogram Analysis: Digital Fringe Pattern Measurement Techniques, ed. Robinson, David W. and Reid, Graeme T., London: IOP Publishing, 1993, pp. 94-140.

[26] Creath, K., "Phase-shifting speckle interferometry," Applied Optics Vol. 24, No. 18, pp. 3053-3058, 1985.

[27] Malacara, D., Servin, M., and Malacara, Z., Interferogram Analysis for Optical Testing, New York: Marcel Dekker, 1998, pp. 381-408

[28] Huntley, J. M., Automated analysis of Speckle Interferograms in Digital Speckle Pattern Interferometry and Related Techniques, ed.

Rastogi, P. K., Chichester, John Wiley & Sons, 2001, pp. 49-139.

[29] 강기수, 『레이저 스페클 간섭법을 이용한 내부결함의 정량평가』, 광주: 조 선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30] 양준호, 신주엽, 최태호, 정현철, 김경석, “전단 간섭법을 이용한 ASTM-A106Gr.b 재질의 배관 시험편 누설 측정”한국정밀공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pp.73-74, 2016

Dalam dokumen 저작자표시 (Halaman 56-81)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