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 30

Dalam dokumen 저작자표시 (Halaman 43-48)

본 연구에서 실시한 집단미술치료가 정서적 방임을 경험한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 치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자아존중감 검사의 사전-사후 점수를 비교하여 <표 12>

에 정리하였다.

<표 12> 집단에 따른 자아존중감 사전-사후 점수 평균 비교

일반적 자아존중감 사전 50.75 (3.67) 51.92 (4.66) 사후 60.83 (2.08) 55.75 (5.56) 사회적 자아존중감

사전 16.08 (1.83) 16.00 (1.71) 사후 18.08 (1.16) 16.83 (1.99) 가정적 자아존중감

사전 15.17 (2.52) 15.67 (2.10) 사후 18.00 (1.41) 16.25 (1.76) 학업적 자아존중감

사전 16.08 (1.56) 16.42 (2.84) 사후 19.17 (1.90) 16.92 (2.91)

<그림 1> 집단에 따른 자아존중감 사전-사후 점수 평균 비교

실험집단과 대기집단의 평균값을 중심으로 자아존중감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실험 집단은 사전 98.67점에서 사후 116.08점으로 17.14점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 기집단은 사전 100.33점에서 사후 105.75점으로 5.42점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별 변화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 자아존중감은 실험집단의 경우에

사전 50점에서 사후 60점으로 10점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고, 대기집단의 경우에는 사전 51점에서 사후 55점으로 4점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자아존중감은 실 험집단의 경우에 사전 16점에서 사후 18점으로 2점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기 집단은 사전과 사후 점수 모두 16점으로 나타나 변화가 없었다. 가정적 자아존중감은 실험집단의 경우에 사전 15점에서 사후 18점으로 3점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 기집단은 15점에서 16점으로 1점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적 자아존중감은 실 험집단의 경우, 사전 16점에서 사후 19점으로 3점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대기집 단은 사전과 사후 점수 모두 16점으로 나타나 변화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반복측정 변량분석을 실시하여 집단(실험집단, 대기집단)과 검사 시기(사전검사, 사후검사)의 상호작용 효과에 대한 유의성을 검증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13>과 같다.

<표 13> 자아존중감에 대한 반복측정 변량분석 결과

SS df MS F p

일반적 자아존중감

집단 간

집단 23.010 1 23.010 1.809 .192 오차 279.896 22 12.723

집단 내

검사시기 581.021 1 581.021 59.373 .000 집단× 검사시기 117.188 1 117.188 11.975 .002

오차 215.292 22 9.786

사회적 자아존중감

집단 간

집단 2.667 1 2.667 1.323 .262

오차 44.333 22 2.015

집단 내

검사시기 24.083 1 24.083 13.644 .001 집단× 검사시기 4.083 1 4.083 2.313 .143

오차 38.833 22 1.765

가정적 자아존중감

집단 간

집단 2.344 1 2.344 .836 .370

오차 61.646 22 2.802

집단 내

검사시기 35.021 1 35.021 15.021 .001 집단× 검사시기 15.188 1 15.188 6.514 .018

오차 51.292 22 2.331

학업적 자아존중감

집단 간

집단 5.510 1 5.510 1.398 .250

오차 86.729 22 3.942

집단 내

검사시기 38.521 1 38.521 11.306 .003 집단× 검사시기 20.021 1 20.021 5.876 .024

오차 74.958 22 3.407

변량분석의 결과, 사회적 자아존중감(F=2.31, p>.05)을 제외한 일반적 자아존중감 (F=11.98, p<.01), 가정적 자아존중감(F=6.51, p<.05), 학업적 자아존중감(F=5.88, p<.05)은 집단과 검사 시기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본 연구에서 실시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정서적 방임을 경험한 아동의 일반적, 가정적, 학업적 자아존중감을 개선하는 데에 효과적이었음을 보여준다.

D.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

본 연구에서 실시한 집단미술치료가 정서적 방임을 경험한 아동의 또래관계에 미치 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또래관계 검사의 사전-사후 점수를 비교하여 <표 14>에 정 리하였다.

<표 14> 집단에 따른 또래관계 사전-사후 점수 평균 비교

구분 실헙집단(n=12) 대기집단(n=12) M (SD) M (SD)

또래관계

또래관계 총점 사전 72.17 (10.09) 72.75 (7.59) 사후 101.83 (6.31) 86.08 (7.70) 긍정적 또래관계

사전 36.58 (4.62) 36.92 (6.82) 사후 45.58 (3.40) 41.25 (3.93) 부정적 또래관계 사전 35.58 (9.49) 35.42 (5.99) 사후 53.00 (4.18) 43.33 (6.34)

<그림 2> 집단에 따른 또래관계 사전-사후 점수 평균비교

SS df MS F p

긍정적 또래관계

집단 간

집단 24.000 1 24.000 1.363 .255 오차 387.333 1 17.606

집단 내

검사시기 533.333 1 533.333 43.727 .000 집단× 검사시기 65.333 1 65.333 5.357 .030

오차 268.333 22 12.197

부정적 또래관계

집단 간

집단 130.667 1 130.667 4.837 .039 오차 594.333 22 27.015

집단 내

검사시기 1976.333 1 1976.333 94.795 .000 집단× 검사시기 300.000 1 300.000 14.390 .001

오차 458.667 22 20.848

실험집단과 대기집단의 평균값을 중심으로 또래관계의 각 하위요인별 변화를 살펴보 면 다음과 같다. 긍정적 또래관계는 실험집단의 경우에 사전 36점에서 사후 45점으로 9점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고, 대기집단의 경우에는 사전 36점에서 사후 41점으로 5 점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부정적 또래관계는 실험집단의 경우에 사전 35점 에서 사후 53점으로 18점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고, 대기집단의 경우에는 사전 35점 에서 사후 43으로 8점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반복측정 변량분석을 실시하여 집단(실험집단, 대기집단)과 검사 시기(사전검사, 사후검사)의 상호작용 효 과에 대한 유의성을 검증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15>과 같다.

<표 15> 또래관계에 대한 반복측정 변량분석 결과

변량분석의 결과, 긍정적 또래관계(F=5.36, p<.05)와 부정적 또래관계(F=14.39, p<.01) 모두에서 집단과 검사 시기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본 연구에서 실시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정서적 방임을 경험한 아동의 또래관계 를 개선하는 데에 효과적이었음을 보여준다.

사전 사후

A그림

내용 분석

인물묘사의 순서는 왼쪽상단에 모를 먼저 그리면서 주방에서의 요리하는 모습을 표현함. 왼쪽하단에 부는 다 른 방에서 컴퓨터를 하고 오른쪽 중 앙에 방으로 구분을 나눔. 자신이 노는 모습과 누나가 게임하는 모습 으로 각자 표현. 인물의 크기는 자 신이 가장 작으며 손과 발은 둥글게 생략하거나 다소 미숙한 과정을 보 임. 거리적으로는 누나와 자신이 가 까이 있음.

인물묘사의 순서는 종이의 왼쪽 하 단부터 자신, 모와 부 순으로 인물 을 그림. 일을 하고 있는 엄마를 도와주는 자신의 모습으로 모와의 심리적 거리가 가까워짐. 전체적으 로 인물의 크기가 비슷해졌으며 아 랫부분에 안정된 상태로 표현함.

연구자 소견

사전에는 치료사를 의식하듯 자주 쳐다보고 질문을 반복하며 경직된 모 습으로 그림을 그렸는데 사후의 그림에서는 스스로 모습으로 변화함. 또 한 사전의 그림에서는 가족 구성원 각자의 공간을 만들고 표현함. 자신 을 세 번째로 그리면서 혼자 노는 모습을 보임. 사후의 그림에서는 첫 번째로 그리면서 가족과의 상호작용 하는 위치에 변화가 있었을 볼 수 있음.

E.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동적 가족화 그림검사 (KFD)에 미치는 결과

Dalam dokumen 저작자표시 (Halaman 43-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