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찰제리종 왕권변동

Dalam dokumen 신라 왕권과 부처님 세계 (Halaman 35-49)

진흥왕은 미륵보살의 화신인 화랑도를 정비하는 한편 미 륵신앙의 전륜성왕 이념으로 나라를 통치하였습니다 그런. 데 진흥왕 이후로 조금 이상한 점들이 발견됩니다 우선 첫. 째 아들인 태자가 금륜이 아니라 동륜으로 이름의 순서가 바뀌어 있습니다 태자가 아닌 둘째 아들이 사륜 금륜 이며. ( ) 다음의 왕으로 즉위하고 있었던 것입니다 왜 태자가 금륜. 이 아닌 동륜이었을까요 그리고 둘째 아들 이름이 금륜도? 아니고 비슷한 글자인 사륜이란 점도 이상합니다 왜 금륜. 도 아닌 사륜으로 되어 있을까요?

또한 국왕으로 즉위한 사륜 즉 진지왕은 즉위후 불과, 4 년만에 퇴위되고 있습니다 어찌 왕권국가의 왕이 쫓겨날. 수 있지요 정치가 문란하고 음란했기 때문이라는데 과연? , 그것이 왕을 쫓아낼 이유가 될까요 그리고 진지왕이 퇴위? 된 뒤에 그 아들인 용춘이 다음의 왕위를 계승받지도 못하 고 왜 동륜의 아들인 진평왕이 즉위할까요 후일 진평왕은, ? 왕위를 이를 아들이 없어 사실상 그 왕권은 끊길 수밖에, 없는데도 한편 진지왕계열 남자 후손이 있는데도 어떻게, ,

그것은 신라 왕권을 둘러싼 진지왕계 사륜계 진골귀족( ) , 진평왕계 동륜계 진골귀족간 권력투쟁의 결과였습니다 처( ) . 음에는 태자인 동륜이 우세했겠으나 이후 진지왕계가 주도, 권을 잡게 되면서 진흥왕의 둘째 아들이 금륜이 되었으며, 태자였었던 장남은 동륜이 된 듯합니다 그리고 금륜인 진지. 가 즉위한 것입니다 그러나 즉위후 세력의 판도는 변동하여. 동륜계가 사륜계를 압도하게 되었으며 결국 화백회의 결의, 로 왕을 퇴위시키고 동륜의 아들 진평왕이 즉위한 것입니다.

결국 금륜도 금‘ ( )’金 의 우리말 쇠 의 소리를 빌린 사‘ ’ ‘ ( )’舍 륜 그 의미상 철륜 으로 바뀌었을 것입니다

( ) .

진평왕(579~632)은 나라를 이끄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을 것입니다 왕권투쟁으로 골이 깊어진 적대세력 사륜. 계 진골귀족의 존재 뿐 아니라 그 왕실은 왕위를 빼앗은, 왕권으로 정통성이 없는 권력이기 때문입니다 더구나 진지. 왕은 진흥왕 이후 전륜성왕의 왕권을 계승하는 존재였습니 다 그렇다면 전륜성왕의 왕권을 무너뜨리고 등장한 진평왕. 은 어떻게 왕실의 정당성을 확보했을까요 진평왕계 왕실을? 지탱하고 전륜성왕을 극복하는 강력한 이념적 사상적인 배 경은 무엇이었을까요?

삼국사기 권 신라본기 진지왕 조에는 다음과 같은

[ ] 4 4

기사가 전하고 있습니다.

진지왕(576~579)의 이름은 사륜인데 진흥왕의 둘째 아, 들이라고 합니다 태자 동륜 가 일찍 죽었기에. ( ) (572), 왕위에 올랐다고 합니다.

한편 삼국유사 권 기이[ ] 1 2 도화녀 비형랑 조에는 다음 과 같은 기사가 있습니다.

대 사륜왕 진지왕 의 시호는 진지왕인데 태건 년

25 ( ) , 8

에 왕위에 올랐으나 나라를 다스린지 년만에 정치가

(576) , 4

문란하여 어지러워졌고 음란함에 빠졌으므로 나라사람들이 그를 폐위시켰다고 하였습니다.

그리고 이보다 앞서 사량부 서민의 딸 가운데 자색이 곱 고 용모가 아름다워 사람들이 도화랑 복사꽃낭자 으로 부르( ) 던 여자가 있었다고 합니다 진지왕이 그녀를 궁중으로 불. 러들여 취하려고 하니 여인이 말하기를, , “여자가 지킬 일 은 두 남편을 섬기지 않는 것입니다 남편이 있는데 어찌. 허락하겠습니까 비록 제왕의 위엄으로도 정조는 빼앗지 못?

베일지언정 다른 마음을 가질 수 없습니다 고 하였습니다” . 그러자 왕은 남편이 없으면 되겠느냐“ ?” 하니 여인은 됩, “ 니다 라고 하였습니다” .

이 해 왕이 폐위되고 죽었는데, 3년 뒤 그녀의 남편도 죽 었습니다 죽은지 열흘 뒤 밤중에 왕이 여인의 방에 들어와. 말하기를, “네가 옛날에 승낙했듯이 지금 네 남편이 없으, 니 되겠느냐 고 하니 여인은 가벼이 허락하지 못하고 부모” , 에게 고하였습니다 그러자 부모는 임금의 말씀인데 어찌. “ 피할 수 있겠느냐?” 하였습니다 이에 왕은 그녀의 방에서. 일 동안 머물렀는데 항상 오색 구름이 집을 덮고 향기가

7 ,

방안에 가득했습니다 그러다 왕은 자취를 감추어 사라졌습. 니다 그리고 여인이 임신을 하여 해산하니 천지가 진동하. 였습니다 한 사내아기를 낳았는데 이름이 비형이었습니다. .

진평왕이 그 특이함을 듣고 비형을 궁중에 데려다 길렀습 니다 나이. 15살 때 집사 벼슬을 주었는데 밤마다 멀리 도, 망가서 놀았습니다 용사. 50인을 시켜서 지키도록 했으나, 매번 월성을 날아 넘어가 서쪽 황천 언덕에서 귀신들을 데 리고 놀았습니다 용사들이 숲 속에서 엿보니 귀신들이 여. , 러 절의 새벽 종소리를 듣고 흩어지자 비형도 돌아오는 것 이었습니다 군사들이 사실을 아뢰었습니다 그러자 왕이 비. . 형에게, “네가 귀신들을 데리고 논다는 것이 사실인가 하니” ,

그렇습니다 라고 하였습니다 그렇다면 귀신들을 시켜

“ ” . “ 신

원사 북쪽에 다리를 놓아라 하니 비형랑은 귀신들을 시켜” , 하룻밤 사이에 큰 다리를 놓았습니다 이 다리를 귀교 귀신. ( 다리 라고 부르게 되었습니다) .

왕이 비형에게 또 묻기를 귀신무리 중에 조정일을 도울“ 만한 자가 있느냐?” 하니 비형랑은 길달이란 자가 있어, “ 정사를 도울 만합니다 라고 하였습니다 왕이 데려오라고” . 하니, 비형은 길달을 데려왔고 왕은 길달에게 집사 관직, 을 주었습니다 과연 길달은 충성스럽고 정직하기가 비할. 데가 없었습니다 이때 각간 관등 이벌찬 임종이 아들이. (1 ) 없었기에 왕은 명하여 길달을 아들로 삼게 하였습니다 임, . 종은 길달을 시켜 흥륜사 남쪽에 누각문을 세우게 했는데, 그는 밤마다 그 문 위에 올라가서 자므로 이를 길달문이라, 고 하였습니다 그런데 하루는 길달이 여우로 변해 도망가. 버리니 비형랑은 귀신을 시켜서 길달을 잡아 죽였습니다, . 이후로 귀신 무리들은 비형의 이름만 들으면 두려워 달아났 습니다 따라서 나라사람들은 비형랑의 이름을 써붙여 귀신. 들을 물리쳤다고 합니다.

진평왕계

전륜성왕의 왕권인 진지왕을 퇴위시키고 왕이 된 진평왕 은 당연히 전 시대의 통치이념을 그대로 계승할 수 없었습 니다 자기 왕실의 권위를 확보하고 전륜성왕의 이념을 극. 복하며 새 시대를 영도할 또 다른 강력한 통치이념이 필요 했습니다 그것은 현실 정치로서 왕권 중심의 권력기반 확. 보만큼 중대한 일이었고 신라사회를 이끌어갈 사상 배경이, 며 왕실 권력의 이론 기반이란 점에서 무엇보다 중요했을 것으로 보입니다.

한편 불교에서는 세상을 세 시대로 보면서 과거에는 과, 거불 현세에는 석가불 미래에는 미륵불의 세상이라고 생, , 각합니다 또 신라인들은 석가불 이전의 과거불인 가섭불은. 신라인으로 신라는 본래 불교와 인연 깊은 불국토였다고, 믿고 있었습니다. [삼국유사 는 신라에는 가섭불이 앉은 연] 화좌석이 있었다고도 하고 있습니다 어쨌든 인도에서 전파. 된 불경이 중국 땅으로 건너가 한문으로 번역되어 편찬된 불경을 보면 석가불의 가계가 기록되었는데 석가불의 아, , 버지는 백정이었고 어머니는 마야부인이었습니다 그리고. 석가의 아버지 백정의 동생은 백반과 국반이었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삼국사기 에 진평왕의 이름이 백정이었] 고 그 왕비는 김씨 마야부인이며 그리고 진평왕의 동생, , 이름도 국반이었던 것이 주목됩니다 진평왕계의 신라 왕실. 은 석가불의 가계혈통과 정확히 일치되고 있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를 따르면 진평왕의 딸인 선덕왕(632~647)은 바 로 현세불인 석가모니 부처의 몸에 해당하게 됩니다 말하. 자면 선덕왕은 여자가 아니었습니다 현세불인 석가이기에. 즉위할 수 있었고 따라서 보통 사람이 아니라는 메시지를, 여러 신이한 증표로 보여주고 있답니다.

진평왕은 현세불인 석가불 혈통과 일치한다는 찰제리종 의식 즉 왕즉불 사상을 통하여 신라사회를 영도한 것으로, 보입니다 신라의 왕실은 부처 혈통과 일치하는 성스런 혈. 통 즉 성골이었던 것입니다 흔히 성골은 부모가 왕족이고, . 진골은 한쪽만 왕족이라는 등 보통은 신라의 성골을 알지, 못하고 많이 오해하여 왔습니다 그러나 신라의 왕족은 모. 두 진골이었습니다 성골은 신라 왕실은 찰제리종이란 이념. 으로 진평왕계의 가계혈통을 일컫는 개념이었고 이후 일시, 적 관념적으로 존재했던 듯합니다.

삼국사기 권 신라본기 진평왕 조에는 다음과 같은

[ ] 4 4

기사가 전하고 있습니다.

진평왕(579~632)의 이름은 백정이고 진흥왕의 태자 동, 륜의 아들이라고 합니다 왕비는 김씨 마야부인으로 갈문왕. 복승의 딸입니다 왕은 태어날 때부터 기이한 용모였고 신. 체가 장대하고 뜻이 깊고 굳세었으며 지혜가 밝아 사리에 통달하였다고 합니다.

또한 삼국사기 권[ ] 5 신라본기 5 진덕왕 조에는 다음과 같이 전하고 있습니다.

진덕왕(647~654)의 이름은 승만이고 진평왕의 친동생, 국반갈문왕의 딸이라고 합니다 어머니는 박씨 월명부인입. 니다 승만은 생김새가 풍만하고 아름다웠으며 키가 일곱. , 자였고 손을 내리뜨리면 무릎 아래까지 닿았다고 합니다, .

삼국사기 권 신라본기 선덕왕 조에는 다음과 같은

[ ] 5 5

기사가 보이고 있습니다.

선덕왕(632~647)의 이름은 덕만이고 진평왕의 맏딸이라 고 합니다 그리고 어머니는 김씨 마야부인입니다 덕만은. . 성품이 너그럽고 어질며 총명하고 민첩했습니다 진평왕이.

Dalam dokumen 신라 왕권과 부처님 세계 (Halaman 35-49)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