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검정한 매개효과결과를 토대로 각 변수들의 경로를 분석하였다.
경로분석 시 독립변수로부터 종속변수에 대한 효과를 매개변수를 경유하 는 간접효과와 매개변수를 경유하지 않는 직접효과로 분해할 수 있으며 직접효과와 간접효과의 합을 종합효과라 한다.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자 면, 종합효과=직접효과(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간접효과(독 립변수가 매개변수에 미치는 영향 × 매개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
향)으로 나타낼 수 있다(노형진, 2003).
성과평가의 수용성과 정서적 몰입의 관계에 있어서 외재적 동기부여에 대한 매개효과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과평가의 수용성의 직접효과 는 0488로 분석되었으며, 외재적 동기부여의 매개 간접효과는 0.131(0.534×0.246), 종합효과는 0.619(=0.488+0.131)로 분석되었다. 성과평 가의 수용성과 정서적 몰입의 관계에서 내재적 동기부여에 대한 분석 결 과는 다음과 같다. 성과평가의 수용성의 직접효과는 0.488로 분석되었으 며, 내재적 동기부여의 매개 간접효과는 0.242(0.437×0.553), 종합효과는 0.730(0.488+0.242)으로 분석되었다.
연봉결정의 절차공정성과 정서적 몰입의 관계에 있어서 외재적 동기부 여에 대한 매개효과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봉결정의 절차공정성의 직접효과는 0.399로 분석되었으며, 외재적 동기부여의 매개 간접효과는 0.154(0.473×0.325), 종합효과는 0.553(=0.399+0.154)으로 분석되었다. 연봉 결정의 절차공정성과 정서적 몰입의 관계에서 내재적 동기부여에 대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봉결정의 절차공정성의 직접효과는 0.399로 분석되었으며, 내재적 동기부여의 매개 간접효과는 0.205(0.342×0.598), 종 합효과는 0.604(0.399+0.205)로 분석되었다.
연봉결정의 분배공정성과 정서적 몰입의 관계에 있어서 외재적 동기부 여에 대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봉결정의 분배공정성의 직접효과 는 0.395로 분석되었으며, 외재적 동기부여의 매개 간접효과는 0.163(0.512×0.318), 종합효과는 0.558(=0.395+0.163)로 분석되었다. 연봉결 정의 절차공정성과 정서적 몰입의 관계에서 내재적 동기부여에 대한 분 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봉결정의 절차공정성의 직접효과는 0.395로 분 석되었으며, 내재적 동기부여의 매개 간접효과는 0.217(0.363×0.598), 종합 효과는 0.612(0.395+0.217)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성과평가의 수용성 및 연봉결정의 공정성과 정서적 몰입의 관계에서 외재적 동기부여와 내재적 동기부여의 매개효과 분석결 과는 <표 18>과 같다.
<표 18> 성과평가의 수용성 및 연봉결정의 공정성과 정서적 몰입의 관계에서 외재적·
내재적 동기부여의 매개효과 분석결과
경로 경로(회귀)계수
직접효과 간접효과 종합효과
수용성⟶외재적 동기부여⟶정서적 몰입 .488 .131 .619
수용성⟶내재적 동기부여⟶정서적 몰입 .488 .242 .730
절차공정성⟶외재적 동기부여⟶정서적 몰입 .399 .154 .553
절차공정성⟶내재적 동기부여⟶정서적 몰입 .399 .205 .604
분배공정성⟶외재적 동기부여⟶정서적 몰입 .395 .163 .558
분배공정성⟶내재적 동기부여⟶정서적 몰입 .395 .217 .612
제5장 결론
제1절 연구결과의 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석유화학업종의 생산현장을 중심으로 성과연봉제 운 영특성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성과연 봉제 운영의 합리적 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는 것이 다. 따라서, 지금까지의 이론연구와 선행연구를 기초로 성과평가의 수용 성, 연봉결정의 절차 및 분배 공정성을 독립변수로 하고, 정서적 몰입을 종속변수로 하여 그 효과를 파악해 보았으며 또한, 외재적 동기부여 및 내재적 동기부여가 매개변수로서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해 보았 다. 이러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표본대상 기업은 울산을 기반으로 하 는 국내 석유화학회사로 SK Innovation, S-Oil, LG화학 등 8개 회사였으 며, 과거 설문지를 배포하여 설문을 수거하는 방식을 지양하여, Naver On-line 여론조사 방식을 활용하여 연봉제 대상자가 직접 응답하는 방식 으로 시행되었으며, 상기한 조사기간을 통하여 총 153명이 설문에 응답 하였다. 유효한 설문응답지 153부를 대상으로 빈도분석, Cronbach's α 계수를 이용한 내적일관성 분석방법(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을 사용하여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분석하고, 측정도구의 타당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이용하여 판별 및 구성타당성을 검증 하였으며, 각 변수들의 기술적 통계 특성과 변수들 간의 상호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Pearson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본 연구에서 설정 한 가설들을 검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 매개회귀분석을 통하여 영향 력을 검증하였고,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설 1-1에서 1-6까지로 독립변수와 매개변수 간의 관계에 대한 가설이다.
(1) 성과평가의 수용성과 외재적 동기부여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성과평가의 수용성은 외재적 동기부여에 대해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 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성과평가의 수용성과 내재적 동기부여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성과평가의 수용성은 내재적 동기부여에 대해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
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연봉결정의 공정성 중 절차공정성과 외재적 동기부여에 대한 다중 회귀분석 결과, 연봉결정의 절차공정성은 외재적 동기부여에 대해 유의 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절차공정성과 내재적 동기부여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연봉결 정의 절차공정성은 내재적 동기부여에 대해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 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연봉결정의 공정성 중 분배공정성과 외재적 동기부여에 대한 다중 회귀분석 결과, 연봉결정의 분배공정성은 외재적 동기부여에 대해 유의 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 분배공정성과 내재적 동기부여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연봉결 정의 분배공정성은 내재적 동기부여에 대해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 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설 2-1에서 2-3까지로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의 관계에 대한 가설이다.
(1) 성과평가의 수용성과 정서적 몰입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성과 평가의 수용성은 정서적 몰입에 대해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연봉결정의 공정성 중 절차공정성과 정서적 몰입에 대한 다중회귀 분석 결과, 연봉결정의 절차공정성은 정서적 몰입에 대해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분배공정성과 정서적 몰입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연봉결정의 분배공정성은 정서적 몰입에 대해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째, 가설 3-1에서 3-2까지로 매개변수와 종속변수 간의 관계에 대한 가설이다.
(1) 외재적 동기부여와 정서적 몰입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외재적 동기부여는 정서적 몰입에 대해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2) 내재적 동기부여와 정서적 몰입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동기부 여는 정서적 몰입에 대해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네째, 가설 4-1에서 4-6까지로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에 있어서 매개변 수의 매개효과에 대한 가설이다.
(1) 성과평가의 수용성이 정서적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외재 적 동기부여가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밝히기 위해 3단계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부분매개 역할이 검정되었다.
(2) 성과평가의 수용성이 정서적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내재 적 동기부여가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밝히기 위해 3단계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부분매개 역할이 검정되었다.
(3) 연봉결정의 절차공정성이 정서적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외재적 동기부여가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밝히기 위해 3단계 매개회귀분 석을 실시한 결과, 부분매개 역할이 검정되었다.
(4) 연봉결정의 절차공정성이 정서적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내재적 동기부여가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밝히기 위해 3단계 매개회귀분 석을 실시한 결과, 부분매개 역할이 검정되었다.
(5) 연봉결정의 분배공정성이 정서적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외재적 동기부여가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밝히기 위해 3단계 매개회귀분 석을 실시한 결과, 부분매개 역할이 검정되었다.
(6) 연봉결정의 분배공정성이 정서적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내재적 동기부여가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밝히기 위해 3단계 매개회귀분 석을 실시한 결과, 부분매개 역할이 검정되었다.
제2절 시사점
본 연구를 통해 석유화학업종 생산현장에 있어서 성과연봉제의 핵심요 소라 할 수 있는 성과평가의 수용성, 연봉결정의 절차 및 분배 공정성이 동기부여와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효과와 아울러 외재적, 내재적 동기부 여가 어떠한 매개역할을 하는 지 파악해 보았다.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성과평가제도가 적절하게 수립되고, 이러한 제도운영에 있어 서 사전 공개적이고 투명한 안내와 아울러 평가 상의 신뢰성 및 공정성, 그리고 결과의 적절한 Feedback이 조화롭게 유지가 될수록 동기부여 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