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토우잉보트 진행 안전매뉴얼

Dalam dokumen Untitled (Halaman 61-68)

① 탑승 장비의 유형에 따라 조 편성 : 조 편성의 편리를 위해 폰툰에 번호 표기 - 가장 먼저 조별 대형을 갖추어 폰툰에 착석시킴

- 조 편성을 고려한 횡대, 종대 집결(5인승, 8인승 ) - 헤드기어를 두 번째 조까지 착용시킴

워터슬레드

② 탑승 방법 안내

- 바이킹카누의 경우 통상 앞에서 두 번째 자리까지는 견인부하를 줄이기 위해 비워 둠 - 바나나 보트는 8인승으로 왼쪽에 4명 오른쪽에 4명이 승선한다.

- 타는 순서는 바깥쪽 먼저 승선하고 안쪽이 승선한다.

- 정원이 8명이 되지 않는 경우는 선수 쪽을 비운다.

- 안전손잡이 안으로 손을 넣어 말아 잡지 않도록 한다.

③ 워터슬레드 체험 방법 안내

- 워터슬레드는 폰툰 위에 올려 둔 상태에서 시뮬레이션 시행 - 탑승하여 무릎 구부리고 상체를 낮추고 안전손잡이를 잡는 법 안내

- 견인 보트의 회전 시 원심력에 의한 낙수 예방을 위한 무게 중심 이동법 안내

- 실제 첫 번 째 조를 폰툰에서 탑승시켜 왼쪽, 오른쪽을 강사가 외치면서 무게 중심이동 훈련을 시행

④ 하선 방법 안내

- 폰툰에 접안 시까지 일어나지 않는다.

- 지도자의 지시에 의해서만 하선 - 조별 대기 자리 안내

- 헤드기어를 다음 조에게 전달

⑤ 견인 안전 통제

- 전체 인원의 탑승이 완료되면 안전 손잡이를 잡도록 당부한다. 이때 구명조끼, 헤드기어 착용 상태도 재점검 - 탑승 분위기를 고조시키기 위해 출발 이라고 외치도록 하고 폰툰편측계류 유도봉에서 견인로프를 벗겨 낸다.

① 탑승 장비의 유형에 따라 조 편성 : 조 편성의 편리를 위해 폰툰에 번호 표기 - 가장 먼저 조별 대형을 갖추어 폰툰에 착석시킴

- 탑승 인원이 4명이므로 4열 종대 집결

② 탑승 방법 안내

- 밴드웨곤은 4인승이므로 뒤쪽 2명, 앞쪽 2명이 승선하도록 안내한다.

- 타는 순서는 바깥쪽 먼저 승선하고 안쪽이 승선한다.

- 앞은 의자 앉은 자세 뒤쪽은 서서 타도록 안내 - 양쪽 옆의 안전손잡이를 잡도록 안내 - 헤드기어를 두 번째 조까지 착용시킴 밴드웨건

물놀이 안전사고 현장관리자가 지켜야할 사항_ 63

③ 밴드웨곤 체험 방법 안내

- 밴드웨곤을 폰툰 위에 올려 둔 상태에서 시뮬레이션 시행

- 탑승하여 무게 중심을 낮추기 위한 앉은 자세, 상체 숙이기 등을 안내 - 견인 보트의 회전 시 원심력에 의한 낙수 예방을 위한 무게 중심 이동법 안내

- 실제 첫 번 째 조를 폰툰에서 탑승시켜 왼쪽, 오른쪽을 강사가 외치면서 무게 중심 이동 훈련 시행 - 운행 중 서로 자리를 바꾸거나 뛰지 않도록 주의를 당부한다.

④ 하선 방법 안내

- 폰툰에 접안 시까지 일어 나지 않는다.

- 지도자의 지시에 의해서만 하선 - 조별 대기 자리 안내

- 헤드기어를 다음 조에게 전달

⑤ 견인 로프 통제

- 전체 인원의 탑승이 완료되면 안전 손잡이를 잡도록 당부한다. 이때 구명조끼, 헤드기어 착용 상태도 재점검 - 탑승 분위기를 고조시키기 위해 출발 이라고 외치도록 하고 폰툰편측계류 유도봉에서 견인로프를 벗겨 낸다.

- 한 팀이 출발하고 나면 다음 팀을 대기시킨다. 헤드기어, 구명조끼 상태를 다시 한번 점검하고 반드시 타고 들어오는 팀이 하선하면 자리에서 일어나도록 한다.

- 견인보트가 접안하면 견인로프를 후크로 들어 올려 계류 유도봉에 걸어주고 접안을 유도한다. 접안되면 후 크로 강하게 당겨 보트가 흔들리지 않은 상태에서 하선을 유도한다.

- 다음 팀을 승선시키고 출발하면 들어왔던 팀의 헤드기어를 다음 팀이 착용할 수 있도록 안내

⑥ 안전한 토우잉

- 반드시 출발 탑승자와의 수신호를 통한 눈빛 교환 후 운전자가 다시 한번 탑승객의 안전 상태를 확인 후 출발한다.

- 계류 유도봉에서 견인로프가 이탈되었는지 재확인

- 서서히 출력을 올려 전방의 장애물과 탑승객의 안전을 지속적으로 확인한다.

- 인솔한 지도자 또는 참가자 중 한명을 선발하여 후방 텐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반드시 승선시킨다.

⑦ 기타 안내

- 견인줄을 당기는 후크대에 부딪히지 않도록 대기라인을 사전 설정하여 안내 - 안경, 모자 등의 분실 예방을 위해 별도 보관 바구니 사전 준비

① 인원에 따른 조 편성 : 조 편성의 편리를 위해 폰툰에 번호 표기 - 가장 먼저 조별 대형을 갖추어 폰툰에 착석시킴

- 플라이피쉬는 탑승 정원이 6명이나 안전과 견인 능력 향상을 위해 탑승 인원을 5명 이하로 조정

② 탑승 방법 안내

- 3명일 경우 뒤쪽으로 1열 횡대로, 4명일 경우 가운데 2명, 5명일 경우 양쪽 2명 가운데 1명을 승선시킨다.

- 선수를 폰툰에 접안하여 가운데부터 좌우로 승선 - 승마자세로 시트에 앉는다.

- 안전손잡이를 단단히 잡도록 안내하되 손목에 감지 않도록 안내한다.

- 헤드기어를 두 번째 조까지 착용시킴

③ 플라이피쉬 체험 방법 안내

- 폰툰 위에 올려 둔 상태에서 시뮬레이션 시행

- 탑승하여 무게 중심을 낮추기 위한 앉은 자세, 상체 숙이기 등을 안내 - 견인 보트의 회전 시 원심력에 의한 낙수 예방을 위한 무게 중심 이동법 안내

- 실제 첫 번 째 조를 폰툰에서 탑승시켜 왼쪽, 오른쪽을 강사가 외치면서 무게 중심 이동 훈련 시행 - 플라이피쉬가 부상을 시작했을 때 안전손잡이를 잘 잡도록 안내한다.

- 부상된 상태에서 회전 시 원심력에 의해 회전 반대 방향으 로 더욱 신체가 쏠리므로 무게 중심 이동에 대해 다 시 한 번 주지시킨다.

- 또한 떨어질려고 할 때 무리한 힘으로 잡지 않도록 하고 떨어질 때 자연스럽게 낙수하 여 옆 사람을 가격하지 않도록 한다.

- 운행 중 서로 자리를 바꾸거나 뛰지 않도 록 주의를 당부한다.

④ 하선 방법 안내

- 폰툰에 접안 시까지 일어 나지 않는다.

- 지도자의 지시에 의해서만 하선

- 플라이피쉬는 선수를 폰툰에 접안하여 하선한다.

하선 높이가 높으므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주의한다.

- 조별 대기 자리 안내 - 헤드기어를 다음 조에게 전달 플라이피쉬

물놀이 안전사고 현장관리자가 지켜야할 사항_ 65

⑤ 견인 로프 통제

- 전체 인원의 탑승이 완료되면 안전 손잡이를 잡도록 당부한다. 이때 구명조끼, 헤드기어 착용 상태도 재점검 - 탑승 분위기를 고조시키기 위해 출발 이라고 외치도록 하고 폰툰편측계류 유도봉에서 견인로프를 벗겨 낸다.

- 한 팀이 출발하고 나면 다음 팀을 대기시킨다. 헤드기어, 구명조끼 상태를 다시 한번 점검하고 반드시 타고 들어오는 팀이 하선하면 자리에서 일어나도록 한다.

- 견인보트가 접안하면 견인로프를 후크로 들어 올려 계류 유도봉에 걸어주고 접안을 유도한다. 접안되면 후 크로 강하게 당겨 보트가 흔들리지 않은 상태에서 하선을 유도한다.

- 다음 팀을 승선시키고 출발하면 들어왔던 팀의 헤드기어를 다음 팀이 착용할 수 있도록 안내

⑥ 안전한 토우잉

- 반드시 출발 탑승자와의 수신호를 통한 눈빛 교환 후 운전자가 다시 한번 탑승객의 안전 상태를 확인 후 출발한다.

- 계류 유도봉에서 견인로프가 이탈되었는지 재확인

- 서서히 출력을 올려 전방의 장애물과 탑승객의 안전을 지속적으로 확인한다.

- 인솔한 지도자 또는 참가자 중 한명을 선발하여 후방 텐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반드시 승선시킨다.

⑦ 기타 안내

- 견인줄을 당기는 후크대에 부딪히지 않도록 대기라인을 사전 설정하여 안내 - 안경, 모자 등의 분실 예방을 위해 별도 보관 바구니 사전 준비

① 조 편성의 편리를 위해 폰툰에 번호 표기 - 가장 먼저 조별 대형을 갖추어 폰툰에 착석시킴 - 탑승 인원이 4명이므로 4열 종대 집결

② 탑승 방법 안내

- 바이퍼는 4인승이므로 4명이 한조가 되도록 편성한다.

- 타는 순서는 가운데를 먼저 승선시켜 선체 균형을 유지하고 좌우를 태운다.

- 엉덩이를 완전히 집어넣어 무게 중심을 낮추도록 안내 - 양쪽 옆의 안전손잡이를 잡도록 안내

- 헤드기어를 두 번째 조까지 착용시킴 바이퍼

③ 체험 방법 안내

- 바이퍼를 폰툰 위에 올려 둔 상태에서 시뮬레이션 시행

- 탑승하여 무게 중심을 낮추기 위한 앉은 자세, 상체 숙이기 등을 안내 - 견인 보트의 회전 시 원심력에 의한 낙수 예방을 위한 무게 중심 이동법 안내

- 실제 첫 번 째 조를 폰툰에서 탑승시켜 왼쪽, 오른쪽을 강사가 외치면서 무게중심 이동 훈련 시행 - 운행 중 서로 자리를 바꾸거나 뛰지 않도록 주의를 당부한다. 특히 바이퍼는 좌우 가장자리에 있는 사람이

발을 내려 놓고 싶은 충동을 느낄 수 있으므로 발을 견인 중에 내려놓지 않도록 주의를 환기시킨다.

- 바이퍼는 슬라럼과 플래닝 성능이 우수함으로 무게 중심 이동을 숙지한다.

④ 하선 방법 안내

- 폰툰에 접안 시까지 일어나지 않는다.

- 지도자의 지시에 의해서만 하선 - 조별 대기 자리 안내

- 헤드기어를 다음 조에게 전달

⑤ 견인 로프 통제

- 전체 인원의 탑승이 완료되면 안전 손잡이를 잡도록 당부한다. 이때 구명조끼, 헤드기어 착용 상태도 재점검 - 탑승 분위기를 고조시키기 위해 출발 이라고 외치도록 하고 폰툰편측계류 유도봉에서 견인로프를 벗겨 낸다.

- 한 팀이 출발하고 나면 다음 팀을 대기시킨다. 헤드기어, 구명조끼 상태를 다시 한번 점검하고 반드시 타고 들어오는 팀이 하선하면 자리에서 일어나도록 한다.

- 견인보트가 접안하면 견인로프를 후크로 들어 올려 계류 유도봉에 걸어주고 접안을 유도한다. 접안되면 후 크로 강하게 당겨 보트가 흔들리지 않은 상태에서 하선을 유도한다.

- 다음 팀을 승선시키고 출발하면 들어왔던 팀의 헤드기어를 다음 팀이 착용할 수 있도록 안내

⑥ 안전한 토우잉

- 반드시 출발 탑승자와의 수신호를 통한 눈빛 교환 후 운전자가 다시 한번 탑승객의 안전 상태를 확인 후 출발한다.

- 계류 유도봉에서 견인로프가 이탈되었는지 재확인

- 서서히 출력을 올려 전방의 장애물과 탑승객의 안전을 지속적으로 확인한다.

- 바이퍼는 웨이크 크로싱이 뛰어나므로 운전자는 회전 시 속력 조절에 주의한다. 가급적 웨이크를 크로싱하 지 않도록 하고 크로싱되었다면 직진주행과 속력 조절을 통해 전복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 인솔한 지도자 또는 참가자 중 한명을 선발하여 후방 텐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반드시 승선시킨다.

⑦ 기타 안내

- 견인줄을 당기는 후크대에 부딪히지 않도록 대기라인을 사전 설정하여 안내 - 안경, 모자 등의 분실 예방을 위해 별도 보관 바구니 사전 준비

Dalam dokumen Untitled (Halaman 61-68)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