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공공기관 구성원의 정서적 몰입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 판단 되는 요인을 선정하여 성별, 연령, 학력, 직위(직급)과 직렬, 근속연수를 통 제변수로 설정하였다. 이 중 성별과 직렬은 더미변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 다. 성별은 남자를 1, 여자를 0으로 하였고, 직렬은 일반직 1, 일반직 아님 (능력개발직, 기술직/전문직, (출제)연구직) 0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연령은 1=만 20∼29세, 2=만 30∼39세, 3=만 40∼49세, 4=만 50세 이상으로 설정하 였으며, 학력은 1=고졸, 2=전문대졸, 3=대졸, 4=대학원졸 이상으로 설정하였 다. 직급(직위)는 1=주임급(6급), 2=대리급(5급), 3=과장급(4급), 4=차장급(3 급), 5=부장급(2급), 6=실․국장급(1급)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근속연수 는 1=1년 미만, 2=1년 이상 3년 미만, 3=3년 이상 5년 미만, 4=5년 이상 10 년 미만, 5=10년 이상 20년 미만, 6=20년 이상으로 구분하여 통제변수를 구 성하였다.
제4장 실증분석
제1절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본 연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설문조사 기 간은 2018년 10월 8일부터 22일까지이며, 이 기간 동안 울산지역에 위치한 A공공기관의 본부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총 35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279부를 회수하여 회수율은 79.7%로 나타났으며, 이 중 불성실 응답 6건을 제외한 273부에 대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제2절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설문에 참여한 성별은 남성이 63.0%, 여성이 37.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나이는 만 30∼39세가 35.5%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만 40∼
49세가 28.6%, 만 20∼29세가 26.7%, 만 50세 이상이 9.2% 순으로 나타났 다. 학력은 대졸이 63.0%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대학원졸 이상이 33.7%, 고졸이 2.6%, 전문대졸이 0.7% 순이었다. 직위는 과장급(4급)이 30.8%로 가 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대리급(5급)이 29.3%, 차장급(3급)이 23.8%, 부장급(2 급)이 11.7%, 주임급(6급)이 3.3%, 실국장급(1급)이 1.1% 순이었다. 한편, 직 렬은 일반(행정)직이 70.0%, 기타(그 외 직렬)가 30.0%로 나타났는데, 기타 직렬은 능력개발직(14.7%), (출제)연구직(12.8%), 기타(1.8%), 기술직/전문직
구분 분류 빈도(명) 백분율(%)
성별 남성 172 63.0
여성 101 37.0
나이
만 20~29세 73 26.7
만 30~39세 97 35.5
만 40~49세 78 28.6
만 50세 이상 25 9.2
학력
고졸 7 2.6
전문대졸 2 0.7
대졸 172 63.0
대학원졸 이상 92 33.7
직위(직급)
주임금(6급) 9 3.3
대리급(5급) 80 29.3
과장급(4급) 84 30.8
차장급(3급) 65 23.8
부장급(2급) 32 11.7
실국장급(1급) 3 1.1
직렬 일반(행정)직 191 70.0
기타 82 30.0
근속연수
1년 미만 22 8.1
1년 이상 3년 미만 41 15.0
3년 이상 5년 미만 69 25.3
5년 이상 10년 미만 41 15.0
10년 이상 20년 미만 70 25.6
20년 이상 30 11.0
<표 8>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분석
(N=273) (0.7%) 순의 분포를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근속연수는 10년 이상 20년 미만이 25.3%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3년 이상 5년 미만이 25.3%, 5년 이상 10년 미만과 1년 이상 3년 미만이 15.0%, 20년 이상이 11.0%, 1년 미만이 8.1% 순이었다. 상세한 내용은 <표5>에 제시한 바와 같다.
제3절 자료처리 및 분석
본 연구에서는 자료의 처리 및 분석을 위해 IBM SPSS Statistics 18.0과 AMO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분석기법을 사용하였다.
첫째, 설문문항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각 척도의 하위 영역 별 cronbach's alpah 계수를 산출하고, 확인적 요인분석(CF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둘째, 진성리더십, 정서적 몰입, 심리적 임 파워먼트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각 변인별로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 였다. 셋째, 진성리더십, 정서적 몰입, 심리적 임파워먼트 변인들 간의 영향 력을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의 검증을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