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본 연구에서는 공공기관 구성원의의 정서적 몰입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 판단되는 요인을 선정하여 성별, 학력, 직급(직위)과 팀장 이상 보직여부, 팀 규모를 통제변수로 설정하였다. 성별과 팀장 이상의 보직여부는 더미변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성별은 남자를 1, 여자를 0으로 하였고, 보직 여부는 팀장 이상의 보직자는 1, 팀 구성원을 0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학력은 1 = 고졸, 2 전문대졸, 3 = 대졸, 4 = 대학원졸 으로 설정하였다. 직급(직위)는 1

= 6급(사원, 주임), 2 = 5급(대리), 3 = 4급(과장), 4 = 3급(차장), 5 = 2급(팀 장), 6 = 1급(실․국장) 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팀 규모의 경우에는 1 = 1명~5명, 2 = 6명~9명, 3 = 10명 이상으로 구분하여 통제변수를 구성하였 다.

제4장 실증분석

제1절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본 연구는 설문지법을 활용하여 가설검증을 하였다. 울산지역에 위치한 A 공공기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설문조사 기간은 2017년 9월 25일부터 9월 29일까지이다. 이 기간 동안 A 공공기간 재직자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한 후, 총 268부를 회수하였고, 이 중 불성실 응답 13건을 제 외한 255부를 통계프로그램 SPSS 20.0을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에 참여한 성별은 남성이 62.7%, 여성이 37.3%로 나타났으며, 나이는 30세 이상에서 40세 미만이 38.0%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20세 이상에 서 30세 미만이 28.6%, 40세 이상에서 50세 미만이 27.1%, 50세 이상이 6.3% 순으로 나타났다. 학력은 대졸이 73.7%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대 학원졸(석, 박사) 이상이 23.1%, 고졸과 전문대졸이 3.1% 순이었다. 직위(직 급)에서는 대리급(5급)이 37.3%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과장급(4급)이 25.9%, 차장급(3급)이 22%, 부장급(2급)이 7.8%, 사원, 주임급(6급)이 7.1%

순으로 나타났으며, 팀장 이상의 보직을 갖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5.1%이 고, 팀원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94.9%이다. 직렬에서는 일반직(행정직)이 65.9%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능력개발직(전문직)이 16.5%, 연구직 16.1%, 기타 직렬 1.6% 순 이었으며, 근속연수는 1년 이상 3년 미만이 22.4%로 가 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10년 이상 20년 미만이 19.6%, 3년 이상 5년 미만이 19.2%, 5년에서 10년 미만이 18.8%, 1년 미만과 20년 이상이 각각 12.5%, 7.5% 순이었다. 마지막으로 팀 규모 면에서는 6명에서 9명이 66.3%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10명 이상이 23.9%, 1명에서 5명이 9.8% 순으로 나타 났다. 상세한 내용은 <표8>에 제시한 바와 같다.

구분 빈도 백분율(%)

성별 남성 160 62.7

여성 95 37.3

나이

20~30세 미만 73 28.6

30~40세 미만 97 38.0

40~50세 미만 69 27.1

50~60세 미만 16 6.3

학력

대졸미만 8 3.1

대졸 188 73.7

대학원졸 59 23.1

직위(직급)

사원/주임(6급) 18 7.1

대리급(5급) 95 37.3

과장급(4급) 66 25.9

차장급(3급) 56 22.0

부장급(2급) 20 7.8

보직 여부 팀장 이상 13 5.1

팀원 242 94.9

직렬

일반직(행정직) 168 65.9

연구직 41 16.1

능력개발직/전문직 42 16.5

기타 4 1.6

근속연수

1년 미만 32 12.5

1~3년 미만 57 22.4

3~5년 미만 49 19.2

5~10년 미만 48 18.8

10~20년 미만 50 19.6

20년 이상 19 7.5

팀 규모

1~5명 25 9.8

6~9명 169 66.3

10명 이상 61 23.9

<표8>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분석

제2절 자료처리 및 분석

본 연구는 임파워링 리더십과 정서적 몰입 간의 관계 분석에 앞서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측정 변수들의 타당도와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 으며, 다음과 같은 분석기법을 사용하였다.

첫째, 설문문항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각 척도의 하위 영역 에 대한 Cronbach’s Alpah 계수를 산출하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 다. 또한 모든 측정변수는 구성요인을 추출하기 위하여 주성분 분석 (Principle component analysis)를 사용하였다. 아울러 요인 적재치의 단순화 를 위해 Kaiser 정규화가 있는 직각회전(varimax)를 이용하였다. 둘째, 임파 워링 리더십, 정서적 몰입, 팔로워십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각 변인별로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각 변수들 간의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인구통계학적 변수들을 통제한 상태에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임파 워링 리더십과 정서적 몰입 간의 관계에서 팔로워십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