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제4장. 실증 분석

제1절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본 연구는 가설 검증을 위하여 설문지법을 활용하였다. A공공기관의 본부 재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3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설문을 실시하 였으며, 이중 268부를 회수하여 회수율은 89.3%를 보였다. 이 중 불성실 응답으로 판단된 22부를 제외하고 실제 분석에는 246부를 사용하였다.

설문 응답자 성별은 남성이 56.5%, 여성이 43.5%로 나타났고, 연령은 30세 이상∼40세 미만이 50.8%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서 40세 이상∼50 세 미만과 30세 미만이 각 22.8%, 50세 이상∼60세 미만 3.6% 순이였으 며, 60세 이상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학력은 대졸이 67.8%로 압도 적으로 많았으며, 이어서 대학원졸 이상 28.5%, 고졸 2.4%, 전문대졸 1.6% 순으로 나타났다. 근속연수에서는 5년 이상∼10년 미만이 39.0%, 10년 이상이 28.1%, 3년 이상∼5년 미만이 17.1%, 1년 이상∼3년 미만 14.6%, 1년 미만이 1.2%로 나타났다. 직위는 과장급 39.0%, 차장급 32.9%, 대리급 24.8%, 주임/사원급이 3.3% 순으로 확인되었다. 직렬에서 는 일반직(행정직)이 90.2%로 가장 많았으며, 연구직이 8.6%, 기타가 1.2% 순으로 확인되었다. 상세내용은 아래 <표3>에 제시되어 있다.

구 분 빈 도 백분율(%)

성 별

139 56.5

107 43.5

연 령

30세 미만 56 22.8

30세 이상 ~ 40세 미만 125 50.8

40세 이상 ~ 50세 미만 56 22.8

50세 이상 ~ 60세 미만 9 3.6

60세 이상 - -

고졸 6 2.4

전문대졸 4 1.6

대졸 116 67.8

대학원졸 이상 70 28.5

근속연수

1년 미만 3 1.2

1년 이상 ~ 3년 미만 36 14.6

3년 이상 ~ 5년 미만 42 17.1

5년 이상 ~ 10년 미만 96 39.0

10년 이상 69 28.1

사원/주임(6급) 8 3.3

대리(5급) 61 24.8

과장(4급) 96 39.0

차장(3급) 81 32.9

일반직(행정직) 222 90.2

연구직 21 8.6

기타 3 1.2

<표3>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분석

제2절 자료의 분석방법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수집된 자료는 통계패키지 SPSS 23.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직원들이 직무요구, 조직시민행동,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고찰하기에 앞서 본 연구에서 채택한 측정도구가 유요한 변수가 될 수 있는지에 대한 검증을 먼저 실시하고, 가설 검증을 실시하였다.

먼저 실증연구의 표본에 대한 특성을 정리하기 위해 기초적인 분석으 로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하였고, 각 변수의 신뢰성 검증을 위 하여 Cronbach’s α값을 이용한 내적 일관성 검증방법을 이용하였다. 또 한 각 변수간의 구성개념 타당성(construct validity) 검증을 위하여 요인 분석(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검증을 위한 분석기법으로는 직무요 구가 직무스트레스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 관관계 분석(correlation analysis)과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직무요구의 각 하위요인과 조직시민행동 의 각 하위요인간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 여 3단계 매개회귀분석을 하였으며 SPSS PROCESS macro의 model 4 를 이용하였고 부트스트래핑을 진행하였다.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