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트랩유형에 따른 소나무재선충 매개충 유인 현황

Ⅳ. 소나무재선충병 매개충 유인목의 방제 효과성 분석 3. 연구결과

Ÿ 노랑무늬솔바구미에 대한 유인효과는 유인목(페로몬포함)트랩이 가장 강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페로몬을 부착한 다중깔때기트랩의 경우 유인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남

(2) 왕바구미(Sipalinus gigas)

Ÿ 소나무류의 천공성 곤충인 왕바구미는 유인목(페로몬포함)트랩에서 83개체, 유인목(페로몬미포함) 트랩에서 47개체, 다중깔때기트랩에서 9개체가 채집되어 총 139개체가 확인됨

Ÿ 5월 상순에서 8월 상순까지 지속적으로 관찰되었으며, 3종의 트랩에서 5월 하순에 가장 많은 개체가 확인됨[그림 40b]

(a) (b)

[그림 40] 2020년 트랩에 따른 주요종의 시기별 출현 개체수 a: 노랑무늬솔바구미, b: 왕바구미

2) 트랩유형에 따른 소나무재선충 매개충 유인 현황

Ⅳ. 소나무재선충병 매개충 유인목의 방제 효과성 분석 3. 연구결과

(a) (b)

[그림 41] 2020년 경주국립공원 조사구 내 각 트랩에 출현한 매개충의 개체수 변화

*a: 솔수염하늘소(M. alternatus) b: 북방수염하늘소(M. saltuarius)

나. 강원대 학술림(춘천)

1) 트랩유형에 따른 천공성 곤충 유인 현황

가) 천공성 곤충 종수 및 개체수 현황[표 29, 그림 42]

유형

지역 L+P L M 합계

2017년

조사구1 28종 293개체 21종 233개체 16종 42개체 42종 568개체 조사구2 25종 187개체 22종 117개체 16종 25개체 32종 329개체 조사구3 25종 231개체 24종 125개체 13종 27개체 35종 383개체 소 계 40종 711개체 35종 475개체 19종 94개체 55종 1,280개체

2018년

조사구1 19종 129개체 25종 97개체 13종 20개체 41종 246개체 조사구2 20종 185개체 20종 176개체 12종 17개체 33종 378개체 조사구3 21종 186개체 20종 56개체 8종 30개체 30종 272개체 소 계 35종 500개체 37종 329개체 23종 62개체 55종 896개체

2019년

조사구1 15종 164개체 8종 48개체 6종 78개체 20종 289개체 조사구2 10종 105개체 7종 90개체 7종 44개체 17종 240개체 조사구3 14종 113개체 13종 156개체 9종 131개체 23종 400개체 소 계 22종 382개체 19종 294개체 14종 253개체 34종 929개체

2020년

조사구1 9종 226개체 7종 167개체 10종 112개체 16종 505개체 조사구2 11종 211개체 9종 188개체 11종 123개체 16종 522개체 조사구3 13종 201개체 10종 158개체 13종 121개체 20종 480개체 소 계 18종 638개체 13종 513개체 21종 356개체 26종 1,507개체

*L+P: 유인목(페로몬 포함)트랩, L: 유인목(페로몬 미포함)트랩, M: 다중깔때기트랩

[표 29] 강원대 학술림 조사구의 트랩 유형에 따른 곤충 포획 현황

Ⅳ. 소나무재선충병 매개충 유인목의 방제 효과성 분석 3. 연구결과

Ÿ 강원대 학술림 내 각 트랩에서 포획된 곤충은 총 3목 16과 26종 1,507개체가 확인됨

Ÿ 트랩별로 포획된 곤충은 유인목(페로몬 포함) 트랩에서 18종 638개체, 유인목(페로몬 미포함) 트랩에서 13종 513개체, 다중깔때기트랩에서 21종 356개체로 확인됨

Ÿ 유인목(페로몬 포함) 트랩에 채집된 곤충의 종수와 개체수가 다른 트랩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나 천공성 곤충의 유인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됨

Ÿ 채집된 929개체 중 바구미과가 54.3%, 하늘소과가 34.8%로 나타남[표 30, 그림 42]

과명 국명 학명 트랩 유형

L+P L M

딱정벌레과 큰둥글먼지벌레 Amara (Curtonotus) giganteus 1 2

검정명주딱정벌레 Calosoma maximowiczi 1

풍뎅이붙이과 긴풍뎅이붙이 Platysoma (Cylister) lineicolle 3 4 1 금풍뎅이과 보라금풍뎅이 Phelotrupes (Chromogeotrupes) auratus 1

꽃무지과 흰점박이꽃무지 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2

방아벌레과 청동방아벌레 Selatosomus puncticollis 5 4 2

검은방아벌레 Cardiophorus (Cardiophorus) vulgaris 3 2 2

쌀도적과 큰쌀도적 Temnoscheila japonica 2

개미붙이과 개미붙이 Thanasimus lewisi 7 2

송장벌레과 검정송장벌레 Nicrophorus concolor 1

소똥구리과 고려소똥풍뎅이 Onthophagus koryoensis 1

무당벌레과 달무리무당벌레 Anatis halonis 2 1 2

하늘소과

넓적하늘소 Cephalallus unicolor 3 3 7

깨다시하늘소 Mesosa (Mesosa) myops 1

검정하늘소 Spondylis buprestoides 4

북방수염하늘소 Monochamus (Monochamus) saltuarius 217 112 175

소나무하늘소 Rhagium inquisitor 2

왕바구미과 왕바구미 Sipalinus gigas 49 48 9

바구미과

솔흰점박이바구미 Shirahoshizo rufescens 5 19

솔곰보바구미 Hylobius (Callirus) haroldi 60 36 3

소나무좀 Tomicus piniperda 265 280 62

왕녹나무좀 Cnestus mutilatus 3 1 69

팥배나무좀 Sorbus alnifolia 8 8

동애등에과 동애등에 Ptecticus tenebrifer 1

파리매과 파리매 Promachus yesonicus 1

송곳벌과 잣나무송곳벌 Urocerus gigas 2 1 2

[표 30] 2020년 강원대 학술림 조사구 내 곤충 목록

Ⅳ. 소나무재선충병 매개충 유인목의 방제 효과성 분석 3. 연구결과

[그림 42] 2020년 강원대 학술림 조사구의 과별 개체수 구성비율

나) 시기에 따른 천공성 곤충 출현 변동

Ÿ 3종의 트랩에 출현한 곤충의 시기별 종수 변화는 6월 초순~중순까지 증가 후 점차 감소하여 서로 유사한 경향을 보임[그림 43]

Ÿ 유인목(페로몬포함)트랩과 다중깔때기트랩에 출현한 곤충의 종수는 5월 상순에 각각 9종으로 가장 많았고, 유인목(페로몬미포함)트랩에 출현한 곤충은 5월 중순에 7종으로 가장 다양함

Ÿ 유인목(페로몬포함)트랩과 유인목(페로몬미포함)트랩에 출현한 곤충의 개체수는 4월 하순에 가장 많은 개체가 확인된 후 점차 감소하여 서로 유사한 경향을 보임[그림 44]

Ÿ 다중깔때기트랩에 포획된 곤충의 개체수는 6월 하순에 가장 많았으며,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2종의 유인목투랩(페로몬포함, 미포함)의 시기별 개체수 변화와 차이를 보임

[그림 43] 2020년 트랩에 따른 주요종의 시기별 출현 종수 변화

Ⅳ. 소나무재선충병 매개충 유인목의 방제 효과성 분석 3. 연구결과

[그림 44] 2020년 트랩에 따른 주요종의 시기별 출현 개체수 변화 다) 트랩 유형별 다양도 지수 변동[표 31, 그림 45]

Ÿ 유인목(페로몬포함)트랩에 유인된 곤충군집의 다양도 지수는 3개의 조사구에서 0.60 ~ 0.65, 전체 다양도 지수는 0.66으로 나타남

Ÿ 유인목(페로몬미포함)트랩에서 각 조사구 곤충군집의 다양도 지수는 0.52 ~ 0.59, 전체 다양도 지수는 0.60, 다중깔때기트랩의 경우 각 조사구에서 0.63 ~ 0.65, 전체 다양도 지수는 0.70으로 나타남

Ÿ 유인목(페로몬포함)트랩의 다양도 지수는 5월 중순에 0.71로 가장 높았으며, 유인목(페로몬미포함) 트랩은 6월 상순에 0.71, 다중깔때기트랩은 5월 하순에 0.77로 높게 나타남

Ÿ 3종의 트랩에서 나타난 시기별 다양도 지수는 서로 유사한 경향을 보임

트랩유형 조사구1 조사구2 조사구3 전체 조사구

유인목(페로몬포함)트랩 0.60 0.65 0.62 0.66

유인목(페로몬미포함)트랩 0.56 0.59 0.52 0.60

다중깔때기트랩 0.65 0.63 0.65 0.70

[표 31] 2020년 강원대 학술림 조사구 내 트랩별 천공성 곤충 다양도지수

[그림 45] 2020년 강원대 학술림 조사구 출현 곤충의 다양도지수 변동

Ⅳ. 소나무재선충병 매개충 유인목의 방제 효과성 분석 3. 연구결과

라) 주요 천공성 곤충 시기별 개체수 변화 (1) 소나무좀(Tomicus piniperda)[그림 46a]

Ÿ 소나무류의 천공성해충인 소나무좀은 3종의 트랩에서 4월 하순부터 5월 하순까지 총 607개 체가 출현함

Ÿ 유인목(페로몬포함)트랩에서 265개체, 유인목(페로몬미포함)트랩에서 280개체, 다중깔때기트랩에서 62개체가 확인되어 다중깔때기트랩의 유인효과가 상대적으로 약한 것으로 나타남

Ÿ 3종의 트랩에서 4월 하순 이후 출현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하여 서로 유사한 경향을 보임 (2) 왕녹나무좀(Xyleborus multilatus)[그림 46b]

Ÿ 왕녹나무좀은 유인목(페로몬포함)트랩에서 3개체, 유인목(페로몬미포함)트랩에서 1개체, 다중깔때기 트랩에서 69개체가 채집되어 총 73개체가 확인됨

Ÿ 5월 중순부터 8월 중순까지 출현하였으며, 6월 중순에 가장 많은 개체가 확인됨 (3) 왕바구미(Sipalinus gigas)[그림 46c]

Ÿ 왕바구미는 유인목(페로몬포함)트랩에서 49개체, 유인목(페로몬미포함)트랩에서 48개체, 다중깔때기 트랩에서 9개체가 채집되어 총 106개체가 확인됨

Ÿ 5월 중순부터 8월 중순까지 출현하였으며, 6월 상순에 가장 많은 개체가 확인됨

Ÿ 다중깔때기트랩의 유인효과가 상대적으로 약한 것으로 나타남 (4) 솔곰보바구미(Hylobius haroldi)[그림 46d]

Ÿ 왕바구미는 유인목(페로몬포함)트랩에서 60개체, 유인목(페로몬미포함)트랩에서 36개체, 다중깔때기 트랩에서 3개체가 채집되어 총 99개체가 확인됨

Ÿ 5월 상순부터 6월 상순까지 출현하였으며, 5월 중순에 가장 많은 개체가 확인됨

Ÿ 다중깔때기트랩의 유인효과가 상대적으로 약한 것으로 나타남

[그림 46] 2020년 강원대 학술림 트랩에 따른 천공성 곤충 시기별 출현 개체수

*a: 소나무좀, b: 왕녹나무좀, c: 왕바구미, d: 솔곰보바구미

Ⅳ. 소나무재선충병 매개충 유인목의 방제 효과성 분석 3. 연구결과

2) 트랩유형에 따른 소나무재선충 매개충 유인 현황

가) 북방수염하늘소(Monochamus saltuarius) 출현 현황[그림 47]

Ÿ 소나무재선충을 매개하는 북방수염하늘소는 3종의 트랩에서 5월 상순부터 7월 하순까지 출현하여 총 504개체가 확인됨

Ÿ 트랩유형별 출현 개체수는 유인목(페로몬포함)트랩에서 217개체, 유인목(페로몬미포함)트랩에서 112개체, 다중깔때기트랩 175개체로, 유인목(페로몬포함)트랩의 매개충 유인효과가 가장 강한 것으로 확인되었음

Ÿ 3종의 트랩에서 확인된 북방수염하늘소의 우화최성기는 6월 하순으로 2019년의 최성기인 6월 상순에 비해 약 2주 늦어졌으며, 이 시기에 유인목(페로몬포함)트랩, 유인목(페로몬 미포함)트랩, 다중깔때기트랩에서 각각 69개체, 34개체, 69개체가 확인됨

[그림 47] 2020년 강원대 학술림 조사구 내 각 트랩에 출현한 매개충의 개체수 변화

다. 하늘소류 유인목 침입 및 우화 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