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특허동향 분석결과

제2장

3. 특허동향 분석결과

가. 유독해양생물의 분포/관리

○ 연도별 특허발표 추이

- 위 검색식에 의해 검색된 유독해양생물의 분포/관리분야에서 현재까지 발표된 특허는 총 81건으로 시간에 따라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고 2014년에

는 10건으로 가장 많은 특허발표를 보임.

○ 주요 국가별 특허건수

- 현재까지 주요 국가별 특허발표 추이를 보면, 미국이 50.6%(41건)로 발표건수가 가장 많았고 중국(13건), 일본(11건), 유럽(9건)순으로 그 뒤를 이었음. 한국은

6.2%(5건)로 러시아(1건)와 캐나다(1건)보다는 많았음.

○ 주제분야별 특허동향

- 모니터링/검출 분야와 방제/구제/제어분야가 각각 34건(43%)와 28건(35%)으로 대 부분을 차지하고 있음. 시간에 따른 주제분야별 특허발표 경향은 없으며 여러 분야가 고루 발표되고 있음. 우리나라는 주로 모니터링/검출과 방제/구제분야에 대한 특허를 발표하였으며 해독/치료에 대한 연구개발투자도 필요할 것으로 판 단됨.

나. 해양생물독의 분석/활용

○ 연도별 특허발표 추이

- 1977년부터 2016년까지 위 검색식에 의해 검색된 해양생물독의 분석/활용분야에

서 발표된 특허건수는 총 157건으로 2016년 데이터를 제외하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계속적으로 증가되고 있는 양상이며 2010년부터 발표건수가 급격히 증가되 고 있음.

○ 주요 국가별 특허건수

- 국가별 특허발표 추이를 보면, 예상외로 중국이 50.3%(79건)로 가장 많은 특허를 발표하였으며 다음으로 미국(32건), 유럽(17건), 일본(10건) 순 이었음. 한국은 9 건으로 캐나다(8건)와 비슷하였으며 러시아와 대만도 각각 1건씩 발표하였음. 특 히 중국은 다양한 연구기관과 대학교에서 2004년부터 관련 특허를 발표하기 시

작해 2010년부터 급격한 특허건수 증가에 기여한 주요국가이고 현재까지도 활발

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이는 본 분야에 대한 집중적 연구개발투자가 진행되고 있 음을 예상할 수 있음. 우리나라는 KIOST와 군산대에서 관련 특허를 발표하였음.

○ 주제분야별 특허동향

- 검출/분석분야에서 특허건수가 75건(48%)으로 가장 많았으며 활용/의약분야와 분

리/추출/정제/합성분야가 각각 44건(28%)과 31건0(20%)으로 나타났음. 우리나라는

1996년부터 KIOST와 군산대학교에서 다양한 분야의 특허가 발표되고 있으나 그

수는 많지 않음.

제3절 종합분석

유독해양생물의 분포/관리분야와 해양생물독의 분석/활용분야에 대한 논문과 특허분석 결과, 대부분의 학술적 연구(논문)는 주로 영국과 미국에서 진행되었으며 다른 국가와의 기술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나지만 특허발표와 그 수는 정확히 비례하지는 않았음. 또한 현재 발표되고 있는 유독해양생물이나 생물독은 일부종과 일부 생물독에 집중되는 경향 이 있음. 따라서 보다 다양한 유독해양생물 또는 해양생물독에 대한 연구가 폭넓게 이 루어진다면 기술적 선점을 통한 해당분야의 선도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됨.

연구개발 추진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