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기획연구의 최종목표
기획연구의 세부목표 및 내용
기획연구의 필요성
약 15종의 유도체가 DSP 유발 독성물질로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azaspiracid 패류 중독(AZP)을 유발하는 독소는 dinoflagellate Azadinium spinosum에 의해 생성됩니다.
국내외 정책동향
EURL-MB는 회원국을 대상으로 해양 생물독소 연구 및 관리 정보에 대한 기술을 제공합니다. 캐나다에서는 CFIA(Canadian Food Inspection Agency)와 DFO(Canadian Department of Fisheries and Oceans)가 패류 생산 지역의 오염률을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합니다.
국내외 유독해양생물 피해사례
캐나다 서해안에서는 버터 조개 Saxidomus giganteus가 일년 내내 악성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기간 동안 같은 지역의 홍합에서는 DA가 검출되지 않았다.
국내외 연구현황
설사성패류중독(DSP)은 일부 해양지역에서 산발적으로 발견되며 주로 봄과 여름에 발생한다. 남해안에 서식하는 홍합(Mytilus edulis, mytilus galloprovincialis)에서 Dinophytoxin-1, 오카다산(OA) 및 PSP 독소(GTX, STX)가 검출되었습니다. 남해안에 서식하는 굴(Crassostrea gigas)에서 Dinophysistoxin-1, 오카다산(OA) 및 PSP 독소(GTX, STX)가 검출되었습니다.
남쪽 해안에 서식하는 Neptunea cumingii, Rapana venosa 및 Conch(Batillus cornutus)에서 Okadaic acid(OA), dinophysistoxin-1(DTX-1) 및 yessotoxin(YTX)이 검출되었습니다. 친유성 독소인 okadaic acid인 yessotoxin(YTX)이 남해안에 서식하는 전복(Haliotis discus hannai)에서 검출되었다. 독성을 일으키는 Phycotoxin(해양 독소)은 전 세계적으로 300종 이상의 식물성 플랑크톤에서 검출되었습니다.
⑥ 또한 다양한 종에 따라 서로 다른 독성물질을 생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일반적으로 MBA 측정과 비교한 형광. 실험실에서는 이 방법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제2장
- 분석대상 선정
- 검색 논문 DB 선정 및 분석범위 설정
- 검색식 작성
- 논문동향 분석결과
- 검색 DB 선정 및 분석범위 설정
- 특허동향 분석결과
해양생물독소 관리 및 활용 분야 총 2개 세부영역에 대해 표적분석기술을 선정하였다. 독성 해양 생물의 유통/관리. 해양 | 바다 | 바다 | 해안 | 해안 | 바다 쪽 | 넓은 바다에서 | 해저 | 하구 | 해변 | 섬 | 만) (미세조류 | dinoflagellate | 규조류 | Alexandrium | Pyrodinium | Karenia | Pseudo-nitzshia | Pseudonitzshia | Gambierdiscus | Dinophysis | Gymnodinium | 연체동물 | coelenterate | cnidaria | 조개류 | 이매패류 | 복족류 | "물고기" | 말미잘 | 해파리 | 뱀 | 문어 | 스폰지 | 산호 | 극피동물 | 해초 | 미생물 | 미생물 | 진균) ("해조류 번성". 해양 독극물 분석/이용. 해양+해양+바다+해안+해안+해안+ 해저+하구+해변+섬+만 )*.
위의 검색식으로 검색된 유독성 해양생물의 유통/관리 분야에서 지금까지 공개된 총 81건의 특허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고, 2014년에도 증가 추세를 보였다. 독성 해양생물의 유통/관리 및 해양생물독소의 분석/활용에 관한 논문 및 특허분석 결과, 대부분의 학술연구(논문)는 영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다른 나라와의 기술 격차, 특허 건수는 비례하지 않았다. 또한 현재 발표된 유독성 해양생물이나 생물독소는 일부 종과 일부 생물독소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보다 다양한 독성 해양생물이나 해양생물독소에 대한 조사가 보다 광범위하게 이루어진다면 기술적 선점을 통해 이 분야를 선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제3장
핵심세부과제
연구 개발 프로젝트의 목표, 전략적 성과 및 내용. 다양한 해양 생물 독소의 분석 및 목록. 해양생물독소 검출용 고감도 형광화학센서 개발
유기금속 촉매를 이용한 효율적인 형광체 합성 개발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무척추동물 유래 천연수산물 발굴. 해양 미생물이 생산하는 독소의 분리 및 활용에 관한 연구.
독성 해양 생물 및 해양 환경에서 독소 생성 미생물의 분리.
분야별 및 단계별 예산
중점과제별 세부예산
해양생물독소 생산에 관여하는 환경요인 규명. 독성 해양생물의 분포현황 파악을 위한 신기술 과제명 열대/아열대 해양환경 독성미세조류 검출기술 개발
해양생물독소 정성분석키트 개발 완제품 ∙ 해양 생물독소 분석 프로토콜. 상세한 기술명 ∙ 해양미생물이 생산하는 독소의 분리.
해양 미생물에 의해 생성된 독의 착취 기술.
제4장
- 상위계획과의 부합성
- 정부지원의 필요성
- 기존 연구사업과의 차별성
- 연구개발의 성공가능성
- 연구개발계획의 적절성
해양 생태계 교란자 및 유해한 해양 생물. 해양유해생물의 분류 및 분포 연구 및 신속 동정법 개발 해양 독소에 대한 간단한 분석 방법 및 다양한 방법 개발.
독성 해양 생물종의 분포를 조사하기 위한 표준화된 방법이 부족합니다. 와편모류로부터 해양 생물독소를 분리하고 분석한 경험이 부족합니다. 해양생물독소 분석을 위한 표준시료 확보에 문제가 있다.
해양 생물독소의 가능한 약리학적 평가.
제5장
R&D 성과의 활용계획 및 기대효과. 제5장 연구개발 성과의 활용방안 및 기대효과. 기획 결과에 따른 타당성 평가 및 연구개발과제 도출을 활용합니다.
해양과학기술원 소속 연구원간 융합연구를 통한 연구역량 강화 향후 국가 R&D 사업 확대를 위한 기초연구자료로 활용 기초자료를 활용한 위해성 평가 및 관리를 위한 연구 로드맵 제시
해양 생물독소의 약물 선도 개발 가능성 평가.
제6장
Occurrence of the PSP-producing dinoflagellate Alexandrium tamiyavanichii in Bingo-Nada, the central coastal waters of the Seto Inland Sea, Hiroshima Prefecture, Japan. Effect of phytoplankton containing paralytic shellfish and amnesic shellfish toxins on the culture of the king clam Pecten maximus in Malaga (SE Spain). Amnesic shellfish poisoning in the king sole, Pecten maximus, from the west coast of Scotland.
Detection of diarrhoea-shellfish poisoning and azaspiracid toxins in Moroccan mussels: Comparison of the LC-MS method with the commercial immunoassay kit. FAO/IOC/WHO(2004) Report of the Joint FAO/IOC/WHO Ad Hoc Expert Consultation on Biotoxins in Bivalve Molluscs. First paralytic shellfish poisoning (PSP) attack of mussels due to toxic dinoflagellate Alexandrium tamiyabanichii, in the southeastern coasts of Seto, Inland Sea, Japan.
First report of contamination of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with okadaic acid and yesotox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