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가. 모집단

2020년 현재 기준 만 15세 이상의 일반 국민으로 기숙사, 특수사회시설 등의 집단 시설 가구, 군복무, 타 지역 및 해외 거주 등으로 장기간 부재중인 가구원은 조사 대상 에서 제외되며, 구체적인 조사 제외 대상은 다음과 같다.

- 학교, 공장, 병원 등의 기숙사 거주자, 양로원, 고아원, 특수병원 등 특수사회시설 거주자, 현역병, 상근예비역, 전투경찰대원, 경비교도대 등의 군복무자, 교도소, 소 년원, 치료감호소 등의 수감자, 장기 해외 출장·체류자, 외국인 등

나. 표본틀

2019년 6월 기준 통계청의 집계구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조사 대상이 되는 가구와 조사 대상에서 제외되는 가구는 다음과 같다.

- 일부 섬 지역, 기숙 시설, 특수사회시설, 관광호텔 및 외국인 집계구 제외 - 가구 : 1인 또는 2인 이상이 모여서 취사, 취침 등 생계를 같이하는 생활 단위 - 가족과 5인 이하의 남남이 함께 사는 가구

- 가족이 아닌 5인 이하의 남남이 함께 사는 가구

- 조사 대상에서 제외되는 가구는 ① 가족이 아닌 6인 이상 가구 ② 집단시설 가구 (기숙사, 양로원, 보육원 등 사회시설) ③ 외국인 가구(외국인만으로 구성된 가구)

다. 모집단 현황

전체 모집단 집계구는 10만 3,918개이고, 일반가구는 2,034만 3,188호이다. 경기도 와 서울시는 각각 전체 집계구의 24.7%와 18.3%이고, 가구 수는 24.1%, 19.2%이다.

[표 1-2] 모집단 현황

구분

집계 구2) 가구3) 인구4)

집계구 구성비(%) 가구 수

(일반가구)

구성비

(%) 진체 인구 만 15세 이상 인구

포함율 (%) 전국 103,918 100.0 20,343,188 100.0 51,779,203 45,387,023 87.7 서울 19,062 18.3 3,896,389 19.2 9,639,541 8,632,625 89.6 부산 6,828 6.6 1,377,030 6.8 3,372,692 3,008,338 89.2 대구 4,957 4.8 968,620 4.8 2,429,940 2,137,877 88.0 인천 5,889 5.7 1,120,576 5.5 2,952,237 2,577,013 87.3 광주 3,018 2.9 587,159 2.9 1,489,730 1,289,111 86.5 대전 3,057 2.9 609,043 3.0 1,498,839 1,308,133 87.3

울산 2,329 2.2 437,094 2.1 1,143,692 984,989 86.1

세종 641 0.6 129,664 0.6 338,136 270,573 80.0

경기 25,636 24.7 4,907,660 24.1 13,300,900 11,489,386 86.4 강원 3,144 3.0 633,942 3.1 1,520,127 1,348,512 88.7 충북 3,231 3.1 654,713 3.2 1,629,343 1,429,163 87.7 충남 4,428 4.3 864,102 4.2 2,188,649 1,907,251 87.1 전북 3,750 3.6 738,307 3.6 1,807,423 1,592,006 88.1 전남 4,176 4.0 741,026 3.6 1,787,543 1,574,945 88.1 경북 5,430 5.2 1,102,934 5.4 2,668,154 2,362,578 88.5 경남 6,930 6.7 1,321,213 6.5 3,347,209 2,906,290 86.8

제주 1,412 1.4 253,716 1.2 665,048 568,233 85.4

2) 집계구 : 2019년 6월 기준 통계청 자료 3) 가 구 : 2019년 8월 기준 인구총조사 자료 4) 인 구 : 2019년 8월 기준 인구총조사 자료

라. 표본 층화

1차5)는 집계구를 대상으로 하는 층화는 7개의 광역시와 10개 도 지역으로 구분한 후 동부 읍면부로 층화(행정구역 기준)하여 최종 34개 1차 층을 구성하였으며, 2차는 서울, 광역시, 특별시 및 11개 도 지역 층은 아파트 집계구와 일반 집계구 그리고 혼합 집계구로 나누어 세부 층화하였다.

[표 1-3] 지역 층화 방법

지역 1차 층화 2차 층화 층수

서울, 6대 광역시

서울 : 4개 권역*동부

6개 광역시 : 동부 아파트, 혼합, 일반 집계구 30

세종시 : 동부*읍면부 아파트, 혼합, 일반 집계구 6

도지역

경기 : 3개 권역*동부*읍면부 아파트, 혼합, 일반 집계구 18

그 외 도 8개*동부*읍면부 아파트, 혼합, 일반 집계구 48 [표 1-4] 서울시와 경기도의 권역별 구분 현황 방법

서울시 해당 지역

북서부 은평구, 서대문구, 마포구, 용산구, 종로구, 중구

북동부 노원구, 성북구, 중랑구, 도봉구, 강북구, 동대문구, 성동구, 광진구 남서부 강서구, 양천구, 금천구, 영등포구, 구로구, 관악구, 동작구 남동부 서초구, 강남구, 송파구, 강동구

경기도 해당 지역

북부 가평군, 남양주시, 양평군, 김포시, 파주시, 연천군, 포천시, 동두천시, 양주시 중부 하남시, 광주시, 여주시, 시흥시, 부천시, 고양시, 성남시, 광명시, 의왕시, 안양시,

과천시, 구리시, 군포시, 의정부시

남부 수원시, 오산시, 용인시, 이천시, 안성시, 안산시, 평택시, 화성시

5) 서울시와 경기도의 경우는 전체 인구 규모와 지역적 차이를 고려하여 각각 4개권역(북서, 북동, 남서, 남동)과 3개 권역(북부, 중부, 남부)으로 세부 층화

[표 1-5] 층별 모집단 집계구 현황

구분

집계구 현황

동 집계구 읍면 집계구

일반 혼합 아파트 일반 혼합 아파트 전체

전국 32,471 13,356 39,402 12,304 1,810 4,575 103,918

서울-북서 1,896 428 965 - - - 3,289

서울-북동 3,048 692 2,305 - - - 6,045

서울-남서 2,945 816 2,000 - - - 5,761

서울-남동 1,568 750 1,649 - - - 3,967

부산 2,419 1,329 3,080 - - - 6,828

대구 1,878 702 2,377 - - - 4,957

인천 2,323 988 2,578 - - - 5,889

광주 866 487 1,665 - - - 3,018

대전 1,140 406 1,511 - - - 3,057

울산 750 529 1050 - - - 2,329

세종 24 60 360 113 25 59 641

경기-북부 449 348 1,437 1,054 221 799 4,308

경기-중부 4,215 1,748 5,450 347 27 101 11,888

경기-남부 2,546 1,199 4,041 893 154 607 9,440

강원 663 243 969 878 166 225 3,144

충북 668 284 935 808 158 378 3,231

충남 605 303 1,093 1,602 182 643 4,428

전북 896 344 1,404 897 74 135 3,750

전남 521 178 893 2,047 176 361 4,176

경북 1,028 528 1,320 1,756 272 526 5,430

경남 1,460 774 2,118 1,505 337 736 6,930

제주 563 220 202 404 18 5 1,412

[표 1-6] 층별 모집단 가구 현황

구분

집계구 현황

동 집계구 읍면 집계구

일반 혼합 아파트 일반 혼합 아파트 전체

전국 6,771,863 2,088,577 7,528,188 2,405,150 306,123 879,287 19,979,188

서울-북서 408,634 76,039 188,177 - - - 672,850

서울-북동 653,940 103,663 449,619 - - - 1,207,222

서울-남서 673,407 132,911 392,095 - - - 1,198,413

서울-남동 336,691 117,128 307,461 - - - 761,280

부산 505,283 242,058 616,267 - - - 1,363,608

대구 388,533 107,170 461,813 - - - 957,516

인천 453,167 151,728 489,854 - - - 1,094,749

광주 176,694 74,754 327,111 - - - 578,559

대전 246,233 62,731 293,211 - - - 602,175

울산 149,659 83,269 198,463 - - - 431,391

세종 1,301 7,610 66,658 26,865 5,338 11,257 119,029 경기-북부 91,353 47,589 262,739 217,379 34,882 146,768 800,710 경기-중부 844,154 248,875 1,012,981 70,384 4,379 18,211 2,198,984 경기-남부 534,103 164,873 732,624 180,022 23,739 116,443 1,751,804 강원 140,351 41,959 192,596 177,478 30,921 45,179 628,484 충북 138,500 42,824 184,639 173,372 27,240 74,402 640,977 충남 131,758 44,690 208,976 307,535 30,431 127,734 851,124 전북 180,947 52,484 273,644 186,108 13,385 26,412 732,980 전남 103,986 27,946 176,816 329,818 29,968 68,872 737,406 경북 219,469 89,844 255,446 378,510 47,995 103,271 1,094,535 경남 292,787 129,653 398,617 290,895 54,767 139,675 1,306,394 제주 100,913 38,779 38,381 66,784 3,078 1,063 248,998

마. 표본 배분

통계청 집계구(표본틀)에 제시된 가구 수를 바탕으로(층별 모집단 가구 현황) 지역별 로 안정된 표본 규모 산출을 위해 제곱근 비례배분으로 집계구를 배분하였다.

[표 1-7] 층별 표본 배분 결과 : 집계구 수, 가구 수, 표본 수 구분

동 집계구 읍면 집계구

전체 예상

가구 수 예상 표본 수

목표 허용

일반 혼합 아파트 일반 혼합 아파트 오차

전국 185 104 197 84 31 49 650 6,500 14,300 0.84

서울-북서 10 4 7 - - - 21 210 462

서울-북동 13 5 11 - - - 29 290 638 2.09

서울-남서 13 6 10 - - - 29 290 638

서울-남동 10 6 9 - - - 25 250 550

부산 12 8 13 - - - 33 330 726 3.71

대구 10 5 11 - - - 26 260 572 4.18

인천 11 6 11 - - - 28 280 616 4.03

광주 7 5 9 - - - 21 210 462 4.65

대전 8 4 9 - - - 21 210 462 4.65

울산 6 5 7 - - - 18 180 396 5.03

세종 1 1 4 3 1 2 12 120 264 6.15

경기-북부 5 4 8 8 3 6 34 340 748

1.88

경기-중부 15 8 16 4 1 2 46 460 1,012

경기-남부 12 7 14 7 3 6 49 490 1,078

강원 6 3 7 7 3 4 30 300 660 3.89

충북 6 3 7 7 3 4 30 300 660 3.89

충남 6 3 7 9 3 6 34 340 748 3.66

전북 7 4 9 7 2 3 32 320 704 3.77

전남 5 3 7 9 3 4 31 310 682 3.83

경북 8 5 8 10 4 5 40 400 880 3.37

경남 9 6 10 9 4 6 44 440 968 3.21

제주 5 3 3 4 1 1 17 170 374 5.17

라. 표본 추출

표본추출 방법은 다단계 층화집락추출(Stratified Multi-Stage Cluster Sampling)을 사용하였다. 지역별 및 동/읍면부별, 집계구 특성별(일반/혼합/아파트)로 층화한 후 650개 집계구를 계통 추출하고, 각 집계구에서 10가구를 추출하여 총 6,500가구를 조사한다.

집계구 추출 시 집계구 내의 가구 수 규모의 크기에 비례하는 확률비례크기계통추출 (PPSSYS)을 적용하여 추출하였으며, 가구당 만 15세 이상의 가구원 전원을 조사하며, 총 표본 수는 1만 4,300명으로 예상(가구당 만 15세 이상 가구원은 평균 2.2명으로 계 산)하였다. 표본 수가 약 1만 4,300명이면, 본 조사에서 예상하는 목표 허용오차는 95%신뢰수준에서 ±1%p 이내(95%신뢰수준에서 ±0.84%p)이다.

마. 요일별 할당

예비조사 결과 행복감, 정서, 감정, 일상 재구성 등의 항목에서 측정기준 요일이 ‘월요 일∼목요일’ 또는 ‘금요일∼일요일’인지에 따라 응답 값의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어, 본 조사 시 요일별 할당을 적용하여 ‘월요일∼목요일’에 대한 기준 응답이 약 50%, ‘금요일

∼일요일’에 대한 기준 응답이 약 50% 정도 수집될 수 있도록 고려하였다.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