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n %

전 체 13,824 100.0%

조사일 유형 화∼금 7,003 50.7%

토∼월 6,821 49.3%

성별 남자 6,903 49.9%

여자 6,921 50.1%

연령별

10대 803 5.8%

20대 2,140 15.5%

30대 2,225 16.1%

40대 2,529 18.3%

50대 2,622 19.0%

60대 이상 3,505 25.4%

지역별

서울 2,629 19.0%

부산 908 6.6%

대구 648 4.7%

인천 781 5.6%

광주 396 2.9%

대전 394 2.9%

울산 301 2.2%

세종 82 .6%

경기 3,502 25.3%

강원 412 3.0%

충북 436 3.2%

충남 584 4.2%

전북 487 3.5%

전남 479 3.5%

경북 717 5.2%

경남 891 6.4%

제주 178 1.3%

혼인 상태별

비해당/미혼 3,425 24.8%

배우자 있음 9,307 67.3%

사별/이혼/별거 1,091 7.9%

주거 형태별

자기집 10,108 73.1%

전세 2,912 21.1%

월세/사글세/무상 804 5.8%

  n %

전 체 13,824 100.0%

주택 유형별

단독주택 3,951 28.6%

아파트 6,334 45.8%

연립/다세대/기타 3,540 25.6%

기초생활 수급 여부

해당(과거/현재) 174 1.3%

비해당 13,650 98.7%

다문화 가정 여부

해당 26 .2%

비해당 13,798 99.8%

가구 형태 1인 가구 981 7.1%

2인 이상 가구 12,843 92.9%

학력별(본인)

중졸 이하 1,717 12.5%

고졸 4,243 30.8%

대재 이상 7,802 56.7%

직업 여부 있음 8,797 63.6%

없음 5,027 36.4%

직업별

관리자/전문가 704 8.0%

사무종사자 3,004 34.1%

서비스종사자 1,644 18.7%

판매종사자 1,545 17.6%

기타 1,900 21.6%

노동시간 (주 단위)

40시간 미만 1,413 16.1%

40∼45시간 미만 4,161 47.3%

45∼50시간 미만 1,755 19.9%

50시간 이상 1,469 16.7%

직장 내 지위

임금근로자 6,903 78.5%

자영업자 1,644 18.7%

무급가족종사자 251 2.9%

상용 근로자 여부 상용근로자 5,926 85.9%

임시/일용근로자 976 14.1%

직장 내 차별 경험

있음 472 3.4%

없음 9,546 69.1%

직장 경험 없음(최근 1년) 3,806 27.5%

개인소득

소득 없음 3,665 26.5%

200만원 미만 2,937 21.2%

200∼300만원 미만 3,398 24.6%

300∼400만원 미만 2,480 17.9%

400만원 이상 1,343 9.7%

  n %

전 체 13,824 100.0%

가구소득

소득 없음 196 1.4%

200만원미만 1,171 8.5%

200∼300만원 미만 1,865 13.5%

300∼400만원 미만 2,804 20.3%

400∼500만원 미만 2,458 17.8%

500∼600만원 미만 2,009 14.5%

600만원 이상 3,320 24.0%

건강 상태

좋음 8,860 64.1%

보통 4,257 30.8%

나쁨 707 5.1%

만성질환 여부 해당 1,757 12.7%

비해당 12,067 87.3%

장애 여부 해당 199 1.4%

비해당 13,625 98.6%

종교 여부 해당 3,902 28.2%

비해당 9,922 71.8%

정치 성향

진보(1∼4) 3,648 26.4%

중도(5∼6) 5,553 40.2%

보수(7∼10) 4,622 33.4%

행복 부문

제1절 전반적 행복감

제2절 삶의 의미, 성취감, 인생 결정 자유

제3절 자신의 삶에 대한 평가

제1절 전반적 행복감

1 전반적 행복감

가. 종합 분석

전반적으로 자신이 얼마나 행복하다고 생각하는지를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85.0%는 6점 이상으로 응답하였으며, 4점 이하 응답은 4.3%로 낮게 나타났다. 전반적 행복 감을 평균으로 환산하면 6.83점으로 분석한다.

(n=13,824, %, mean=0~10)

[그림 2-1] 전반적 행복감

전반적 행복감은 성별로 큰 차이는 없었으나, 연령별로 30대의 행복감이 7.03점 으로 가장 높았으며, 60대 이상의 행복감이 6.63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지역 별로는 전남(7.22점), 전북(7.21점), 경남(7.21점) 순으로 행복감이 높았으며, 제 주(5.51점)의 행복감이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구분 n Bottom5(%) Middle(%) Top5(%) Mean(0~10)

전 체 (13824) 4.3 10.8 85.0 6.83

성별 남자 (6903) 3.7 10.7 85.6 6.85

여자 (6921) 4.8 10.9 84.3 6.80

연령별

10대 (803) 6.6 10.4 82.9 6.86

20대 (2140) 3.2 9.3 87.4 6.98

30대 (2225) 2.7 7.7 89.6 7.03

40대 (2529) 3.6 9.9 86.6 6.83

50대 (2622) 4.2 11.1 84.6 6.78

60대 이상 (3505) 5.8 14.1 80.0 6.63

지역별

서울 (2629) 3.7 8.4 87.9 6.91

부산 (908) 2.0 12.9 85.1 6.85

대구 (648) 6.7 16.2 77.1 6.72

인천 (781) 1.3 9.2 89.5 6.81

광주 (396) 1.9 5.5 92.6 6.95

대전 (394) 6.0 11.1 82.8 6.72

울산 (301) 1.7 7.5 90.8 7.07

세종 (82) 5.3 9.7 85.0 6.63

경기 (3502) 3.4 12.1 84.4 6.80

강원 (412) 11.0 14.9 74.0 6.64

충북 (436) 11.2 14.9 73.9 6.46

충남 (584) 2.2 6.2 91.6 6.99

전북 (487) 1.2 4.4 94.4 7.21

전남 (479) 3.3 4.3 92.3 7.22

경북 (717) 6.4 23.9 69.7 6.16

경남 (891) 1.8 4.9 93.3 7.21

제주 (178) 37.7 19.1 43.2 5.51

[표 2-1] 전반적 행복감 : 성/연령/지역별

나. 가구 특성별 분석

전반적 행복감에 대한 응답자의 주거 형태별로 자기집(6.84점) 또는 전세(6.82 점) 거주 응답자가 월세/사글세/무상 거주 응답자보다 높았으며, 주택 유형별로 단 독주택(6.73점)보다 아파트(6.86점) 및 연립/다세대/기타(6.87점) 거주자가 높게 나타났다. 기초생활 수급 여부별로는 해당 가구(6.32점)보다 비해당 가구(6.83점) 에서 높았으며, 가구 형태별로는 1인 가구(6.43점)보다 2인 이상 가구(6.86점)에서 높았다. 가구 소득별로는 소득이 없거나(6.69점), 200만원 미만(6.39점)인 가구에 서 상대적으로 낮은 경향을 보였다.

구분 n bottom5(%) middle(%) top5(%) mean(0~10)

전 체 (13824) 4.3 10.8 85.0 6.83

주거 형태

자기집 (10108) 3.9 10.6 85.4 6.84

전세 (2912) 3.6 11.3 85.0 6.82

월세/사글세/무상 (804) 10.3 10.9 78.8 6.65

주택 유형

단독주택 (3951) 5.4 12.8 81.8 6.73

아파트 (6334) 3.8 10.0 86.2 6.86

연립/다세대/기타 (3540) 3.8 9.9 86.3 6.87

기초생활 수급 여부

해당(과거/현재) (174) 14.0 16.1 69.9 6.32

비해당 (13650) 4.1 10.7 85.2 6.83

가구 형태 1인 가구 (981) 9.2 15.8 75.0 6.43

2인 이상 가구 (12843) 3.9 10.4 85.7 6.86

가구 소득

소득 없음 (196) 6.7 19.1 74.3 6.69

200만원 미만 (1171) 9.3 16.4 74.3 6.39

200~∼300만원 미만 (1865) 3.4 11.4 85.2 6.76

300~∼400만원 미만 (2804) 3.5 9.0 87.5 6.89

400~∼500만원 미만 (2458) 3.6 8.8 87.6 6.93

500~∼600만원 미만 (2009) 3.3 10.2 86.5 6.88

600만원 이상 (3320) 4.5 11.2 84.3 6.87

[표 2-2] 전반적 행복감 : 가구 특성별

구분 n bottom5(%) middle(%) top5(%) mean(0~10)

전 체 (13824) 4.3 10.8 85.0 6.83

혼인 상태

비해당/미혼 (3425) 4.6 10.4 85.0 6.88

배우자 있음 (9307) 3.3 10.4 86.3 6.86

사별/이혼/별거 (1091) 10.9 15.4 73.6 6.37

학력

중졸 이하 (1717) 10.8 16.9 72.2 6.37

고졸 (4243) 3.7 11.8 84.5 6.80

대재 이상 (7802) 3.1 8.9 88.0 6.94

직업 여부 있음 (8797) 3.5 10.4 86.1 6.87

없음 (5027) 5.5 11.5 83.0 6.74

직업

관리자/ 전문가 (704) 3.4 11.6 85.0 6.92

사무 종사자 (3004) 2.1 6.7 91.2 7.06

서비스 종사자 (1644) 4.1 9.5 86.4 6.83

판매 종사자 (1545) 4.2 13.1 82.7 6.78

기타 (1900) 4.8 14.2 81.0 6.67

노동시간 (주 단위)

40시간 미만 (1413) 5.2 10.6 84.2 6.67

40∼45시간 미만 (4161) 2.7 8.2 89.1 7.01

45∼50시간 미만 (1755) 4.0 10.8 85.2 6.88

[표 2-3] 전반적 행복감 : 개인 특성별

다. 개인 특성별 분석

응답자의 개인 특성별로 사별/이혼/별거(6.37점), 중졸 이하(6.37점), 직업 없음 (6.74점), 판매 종사자(6.78점) 및 기타(6.67점), 노동시간이 40시간 미만(6.67 점)과 50시간 이상(6.69점), 무급가족종사자(6.54점), 임시/일용근로자(6.69점), 직장 내 차별 경험자(6.40점), 개인소득 200만원 미만(6.48점), 건강 상태가 나쁜 사람(6.03점), 만성질환 보유자(6.35점), 장애인(6.65점), 중도적 정치성향(6.64 점) 등의 특성을 가진 응답자에서 전반적 행복감이 상대적으로 낮은 경향을 보였 다.

구분 n bottom5(%) middle(%) top5(%) mean(0~10)

50시간 이상 (1469) 3.6 15.7 80.6 6.69

직장 내 지위

임금근로자 (6903) 3.3 9.5 87.3 6.91

자영업자 (1644) 4.1 13.5 82.4 6.77

무급가족종사자 (251) 6.5 14.6 78.9 6.54

상용근로 여부

상용근로자 (5926) 3.0 9.0 88.1 6.95

임시/일용근로자 (976) 5.1 12.5 82.4 6.69

직장 내 차별 경험

있음 (472) 8.1 21.2 70.7 6.40

없음 (9546) 3.4 10.0 86.6 6.89

직장 경험 없음(최근 1년) (3806) 5.9 11.4 82.6 6.73

개인소득

소득 없음 (3665) 4.0 9.3 86.7 6.90

200만원 미만 (2937) 7.6 15.5 76.9 6.48

200∼300만원 미만 (3398) 3.4 9.3 87.3 6.94

300∼400만원 미만 (2480) 3.2 10.9 85.9 6.89

400만원 이상 (1343) 1.9 8.0 90.1 6.99

건강 상태

좋음 (8860) 3.0 6.7 90.3 .06

보통 (4257) 4.9 17.8 77.3 6.47

나쁨 (707) 16.6 19.5 63.9 6.03

만성질환 여부

해당 (1757) 9.6 18.3 72.1 6.35

비해당 (12067) 3.5 9.7 86.8 6.90

장애 여부

해당 (199) 9.1 8.1 82.8 6.65

비해당 (13625) 4.2 10.8 85.0 6.83

종교 여부

해당 (3902) 4.0 9.7 86.2 6.87

비해당 (9922) 4.3 11.2 84.5 6.81

정치 성향

진보(1∼4) (3648) 5.0 10.4 84.6 6.86

중도(5∼6) (5553) 4.5 13.4 82.1 6.64

보수(7∼10) (4622) 3.3 8.0 88.7 7.02

제2절 삶의 의미, 성취감, 인생 결정 자유

1 삶의 의미, 성취감, 인생 결정 자유

가. 종합 분석

‘평소 내가 하는 여러 가지 것들이 삶에서 의미 있다고 느낀다’에서 동의 정도는 평균 6.56점, ‘나는 대체로 내가 하는 일에서 성취감을 느낀다’ 항목에서 동의 정 도는 평균 6.54점, ‘나는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지 인생을 결정하는 데서 자유롭 다’는 항목에서 동의 정도는 평균 6.59점으로 나타났다. 전반적 행복감이 높은 집 단(6∼10)에서 삶의 의미, 성취감, 인생 결정 자유에 대한 동의 정도가 높게 나타 나는 경향을 보였다.

구분 n 삶의 의미 mean

성취감 mean

인생 결정 자유 mean

전반적 행복감

0~∼4 (588) 4.25 4.08 4.29

5 (1490) 5.12 5.02 5.13

6~∼10 (11745) 6.86 6.85 6.89

(n=13,824, %, mean=0~10)

[그림 2-2] 삶의 의미, 성취감, 인생 결정 자유

‘전반적으로 볼 때, 평소 내가 하는 여러 가지 것들이 삶에서 의미 있다고 느낀 다’ 항목은 성별로 여자(6.53점)보다 남자(6.59점)에서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연 령별로는 30대(6.79점)가 가장 높은 반면, 60대 이상(6.32점)이 가장 낮았다. 지 역별로는 전남(7.04점), 광주(7.02점), 전북(6.83점) 순으로 높았으나 제주(4.82 점)가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구분 n Bottom5(%) Middle(%) Top5(%) Mean(0~10)

전 체 (13824) 8.9 14.1 77.0 6.56

성별 남자 (6903) 8.5 14.1 77.4 6.59

여자 (6921) 9.3 14.1 76.6 6.53

연령별

10대 (803) 9.6 15.4 74.9 6.52

20대 (2140) 7.0 12.8 80.2 6.69

30대 (2225) 5.8 12.0 82.2 6.79

40대 (2529) 8.2 13.5 78.3 6.63

50대 (2622) 9.4 14.4 76.1 6.52

60대 이상 (3505) 12.0 16.2 71.7 6.32

지역별

서울 (2629) 4.9 10.7 84.3 6.69

부산 (908) 8.9 12.2 78.8 6.68

대구 (648) 12.6 15.0 72.3 6.31

인천 (781) 14.1 18.5 67.4 6.29

광주 (396) 3.7 6.5 89.8 7.02

대전 (394) 8.5 20.4 71.1 6.47

울산 (301) 6.6 14.5 78.9 6.66

세종 (82) 6.8 14.7 78.5 6.35

경기 (3502) 6.8 14.4 78.8 6.63

강원 (412) 18.7 15.3 66.1 6.28

충북 (436) 14.9 13.9 71.1 6.56

충남 (584) 5.1 21.8 73.1 6.53

전북 (487) 4.8 13.1 82.0 6.83

전남 (479) 4.3 8.9 86.8 7.04

경북 (717) 21.4 26.0 52.6 5.69

경남 (891) 7.0 9.5 83.5 6.76

제주 (178) 49.3 12.5 38.2 4.82

[표 2-4] 전반적으로 볼 때, 평소 내가 하는 여러 가지 것들이 삶에서 의미 있다고 느낀다 : 성/연령/지역별

‘나는 대체로 내가 하는 일에서 성취감을 느낀다’ 항목은 성별로 여자(6.49점)보다 남자(6.59점)에서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연령별로는 30대(6.72점)가 가장 높은 반 면, 60대 이상(6.28점)이 가장 낮았다. 지역별로는 전남(7.26점), 광주(7.23점), 전북(6.99점) 순으로 높았으나 제주(4.54점)가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구분 n Bottom5(%) Middle(%) Top5(%) Mean(0~10)

전 체 (13824) 11.2 14.7 74.1 6.54

성별 남자 (6903) 10.4 14.1 75.5 6.59

여자 (6921) 12.0 15.3 72.7 6.49

연령별

10대 (803) 13.0 17.2 69.8 6.47

20대 (2140) 10.5 11.9 77.5 6.70

30대 (2225) 8.5 12.3 79.1 6.72

40대 (2529) 9.3 15.1 75.6 6.62

50대 (2622) 11.1 14.8 74.1 6.52

60대 이상 (3505) 14.4 16.9 68.7 6.28

지역별

서울 (2629) 8.4 10.9 80.7 6.69

부산 (908) 10.0 14.9 75.1 6.56

대구 (648) 11.5 19.4 69.2 6.26

인천 (781) 7.7 17.9 74.4 6.43

광주 (396) 3.3 5.5 91.1 7.23

대전 (394) 12.2 19.1 68.7 6.35

울산 (301) 12.0 14.1 73.9 6.44

세종 (82) 9.9 12.1 77.9 6.41

경기 (3502) 11.1 15.8 73.1 6.64

강원 (412) 18.1 16.6 65.2 6.40

충북 (436) 22.4 15.7 61.9 6.01

충남 (584) 7.4 18.1 74.5 6.52

전북 (487) 5.7 11.0 83.3 6.99

전남 (479) 4.0 6.9 89.2 7.26

경북 (717) 27.1 25.4 47.4 5.42

경남 (891) 7.3 11.3 81.3 6.75

제주 (178) 50.5 13.0 36.5 4.54

[표 2-5] 나는 대체로 내가 하는 일로부터에서 성취감을 느낀다 : 성/연령/지역별

‘나는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지 인생을 결정하는 데서 자유롭다’ 항목은 성별로 여자(6.53점)보다 남자(6.66점)에서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연령별로는 20대(6.85 점)가 가장 높은 반면, 60대 이상(6.39점)이 가장 낮았다. 지역별로는 광주(7.33 점), 전남(7.20점), 전북(7.14점) 순으로 높았으나 제주(4.56점)가 가장 낮은 것 으로■조사되었다.

구분 n Bottom5(%) Middle(%) Top5(%) Mean(0~10)

전 체 (13824) 10.6 13.8 75.7 6.59

성별 남자 (6903) 9.7 12.9 77.4 6.66

여자 (6921) 11.4 14.6 74.0 6.53

연령별

10대 (803) 16.9 12.9 70.2 6.40

20대 (2140) 8.0 12.3 79.7 6.85

30대 (2225) 7.5 11.3 81.2 6.78

40대 (2529) 10.3 13.9 75.8 6.57

50대 (2622) 10.6 14.6 74.8 6.57

60대 이상 (3505) 12.8 15.8 71.4 6.39

지역별

서울 (2629) 7.6 11.6 80.8 6.76

부산 (908) 9.8 11.5 78.7 6.64

대구 (648) 11.1 16.0 72.9 6.58

인천 (781) 11.8 20.9 67.3 6.18

광주 (396) 2.1 5.8 92.1 7.33

대전 (394) 10.3 14.8 74.8 6.59

울산 (301) 8.4 12.3 79.4 6.62

세종 (82) 6.7 13.0 80.3 6.60

경기 (3502) 12.0 14.7 73.3 6.55

강원 (412) 13.6 18.3 68.1 6.34

충북 (436) 14.3 16.1 69.6 6.15

충남 (584) 6.0 17.3 76.7 6.91

전북 (487) 3.4 8.9 87.7 7.14

전남 (479) 2.2 8.9 88.9 7.20

경북 (717) 23.4 25.3 51.3 5.54

경남 (891) 6.5 6.4 87.1 7.01

제주 (178) 57.3 6.5 36.3 4.56

[표 2-6] 나는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지 인생을 결정하는 데에서 자유롭다 : 성/연령/지역별

나. 가구 특성별 분석

‘전반적으로 볼 때, 평소 내가 하는 여러 가지 것들이 삶에서 의미 있다고 느낀 다’ 항목은 주거 형태별로 전세(6.59점) 또는 자기집(6.56점) 거주 응답자가 월세 /사글세/무상 거주 응답자보다 높았으며, 주택 유형별로 단독주택(6.46점)보다 아 파트(

6.

61점) 및 연립/다세대/기타(6.57점) 거주자가 높게 나타났다. 기초생활 수 급 여부별로는 해당 가구(6.00점)보다 비해당 가구(6.56점)에서 높았으며, 가구 형태별로는 1인 가구(6.12점)보다 2인 이상 가구(6.56점)에서 높게 나타났다. 가 구소득별로는 소득이 없거나(6.21점), 200만원 미만(6.11점)인 가구에서 상대적 으로 낮은 경향을 보였다.

구분 n bottom5(%) middle(%) top5(%) mean(0~10)

전 체 (13824) 8.9 14.1 77.0 6.56

주거 형태

자기집 (10108) 9.1 13.6 77.3 6.56

전세 (2912) 7.1 16.1 76.8 6.59

월세/사글세/무상 (804) 13.4 13.2 73.4 6.34

주택 유형

단독주택 (3951) 11.5 15.2 73.2 6.46

아파트 (6334) 7.6 14.2 78.2 6.61

연립/다세대/기타 (3540) 8.3 12.8 78.9 6.57

기초생활 수급 여부

해당(과거/현재) (174) 18.4 19.0 62.6 6.00

비해당 (13650) 8.8 14.1 77.1 6.56

가구 형태 1인 가구 (981) 15.7 16.5 67.7 6.12

2인 이상 가구 (12843) 8.4 13.9 77.7 6.59

가구소득

소득 없음 (196) 19.3 15.1 65.7 6.21

200만원 미만 (1171) 15.5 19.1 65.3 6.11

200∼300만원 미만 (1865) 11.0 16.6 72.3 6.37

300∼400만원 미만 (2804) 8.4 14.0 77.7 6.55

400∼500만원 미만 (2458) 6.9 13.0 80.1 6.67

500∼600만원 미만 (2009) 7.4 11.9 80.7 6.65

600만원 이상 (3320) 7.6 13.2 79.2 6.71

[표 2-7] 전반적으로 볼 때, 평소 내가 하는 여러 가지 것들이 삶에서 의미 있다고 느낀다 : 가구 특성별

‘나는 대체로 내가 하는 일에서 성취감을 느낀다’ 항목은 주거 형태별로 자기집 (6.54점) 또는 전세(6.56점) 거주 응답자가 월세/사글세/무상 거주 응답자(6.33 점)보다 높았으며, 주택 유형별로 단독주택(6.41점)보다 아파트(6.62점) 및 연립/

다세대/기타(6.52점) 거주자가 높게 나타났다. 기초생활 수급 여부별로는 해당 가 구(5.94점)보다 비해당 가구(6.54점)에서 높았으며, 가구 형태별로는 1인 가구 (6.12점)보다 2인 이상 가구(6.57점)에서 높게 나타났다. 가구소득별로는 소득이 없거나(6.20점), 200만원 미만(6.03점)인 가구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경향을 보였 다.

구분 n bottom5(%) middle(%) top5(%) mean(0~10)

전 체 (13824) 11.2 14.7 74.1 6.54

주거 형태

자기집 (10108) 11.1 14.5 74.4 6.54

전세 (2912) 10.4 15.5 74.2 6.56

월세/사글세/무상 (804) 16.0 13.5 70.5 6.33

주택 유형

단독주택 (3951) 13.2 16.9 69.9 6.41

아파트 (6334) 9.8 13.2 76.9 6.62

연립/다세대/기타 (3540) 11.5 14.7 73.8 6.52

기초생활 수급 여부

해당(과거/현재) (174) 22.1 14.9 63.1 5.94

비해당 (13650) 11.1 14.7 74.2 6.54

가구 형태 1인 가구 (981) 18.0 16.6 65.4 6.12

2인 이상 가구 (12843) 10.7 14.5 74.8 6.57

가구 소득

소득 없음 (196) 18.9 11.4 69.8 6.20

200만원 미만 (1171) 18.2 19.3 62.5 6.03

200∼300만원 미만 (1865) 12.5 18.0 69.5 6.32

300∼400만원 미만 (2804) 10.5 14.7 74.8 6.50

400∼500만원 미만 (2458) 10.0 13.9 76.1 6.64

500∼600만원 미만 (2009) 10.5 15.2 74.3 6.59

600만원 이상 (3320) 9.5 11.6 78.8 6.77

[표 2-8] 나는 대체로 내가 하는 일에서 성취감을 느낀다 : 가구 특성별

‘나는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지 인생을 결정하는 데에서 자유롭다’ 항목은 주거 형태별로 자기집(6.62점) 또는 전세(6.55점) 거주 응답자가 월세/사글세/무상 거 주 응답자보다 높았으며, 주택 유형별로 단독주택(6.49점)보다 아파트(6.64점) 및 연립/다세대/기타(6.62점) 거주자가 높게 나타났다. 기초생활 수급 여부별로는 해당 가구(6.17점)보다 비해당 가구(6.60점)에서 높았으며, 가구 형태별로는 1인 가구(6.41점)보다 2인 이상 가구(6.61점)에서 높게 나타났다. 가구소득별로는 소 득이 없거나(6.32점), 200만원 미만(6.24점)인 가구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경향을 보였다.

구분 n bottom5(%) middle(%) top5(%) mean(0~10)

전 체 (13824) 10.6 13.8 75.7 6.59

주거 형태

자기집 (10108) 10.2 13.4 76.4 6.62

전세 (2912) 10.6 15.1 74.3 6.55

월세/사글세/무상 (804) 15.5 13.3 71.2 6.44

주택 유형

단독주택 (3951) 12.7 14.9 72.4 6.49

아파트 (6334) 9.6 13.0 77.4 6.64

연립/다세대/기타 (3540) 9.8 13.9 76.2 6.62

기초생활 수급 여부

해당(과거/현재) (174) 16.9 16.8 66.3 6.17

비해당 (13650) 10.5 13.7 75.8 6.60

가구 형태 1인 가구 (981) 13.7 13.1 73.2 6.41

2인 이상 가구 (12843) 10.3 13.8 75.9 6.61

가구소득

소득 없음 (196) 19.8 12.7 67.4 6.32

200만원 미만 (1171) 14.1 19.2 66.8 6.24

200∼300만원 미만 (1865) 11.6 14.5 73.9 6.48

300∼400만원 미만 (2804) 8.5 13.7 77.8 6.63

400∼500만원 미만 (2458) 9.9 12.6 77.4 6.70

500∼600만원 미만 (2009) 10.6 12.8 76.6 6.60

600만원 이상 (3320) 10.4 13.0 76.6 6.68

[표 2-9] 나는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지 인생을 결정하는 데에서 자유롭다 : 가구 특성별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