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프로그램 운영 특성

본 프로그램은 운영진 교수들과 학생들의 쌍방향 소통, 실시간 학생들의 니즈와 강사진의 니즈 를 반영한 열린 운영, 매번 교육에 대해 평가를 한 점검 시스템 등을 특징으로 한다. 6월 인성 3.0 이 실시된 이후부터 운영진들은 다각적인 방법으로 일주일에 한 번씩 미팅을 하며 스스로 를 교육시켰다. 8월부터는 학생 운영진들이 일주일에 한 번씩 모여 회의를 하고 의사소통을 하 며 교육에 대한 사전 답사를 실시하였다. 학생 운영진의 모임은 그 자체가 인성교육의 일환으 로 자리매김된다. ‘깨어있는 대학 인(人) 창의인성프로그램’의 콘텐츠가 정해진 상태에서도 본 프로그램에서는 학생들에게 사전 설문 조사를 하여 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을 수정, 보완하고 자 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인성교육을 받은 적이 없다고 답변한 학생들이 91%이었으며 ‘현 대한민국 2030세대의 도덕성·인성관 의식수준은 어느 정도로 보십니까?’의 질문에 70%이상 의 학생들이 ‘중하’라고 답변하였다. 또한 그들은 인성교육에 꼭 필요한 사항이 다음 표와 같이 자아정체감이라고 답했다. 본 프로그램이 의식 혁명을 통해 자아 성찰을 하며 그럼으로써 지존감과 문제해결 능력을 높이려는 목적은 따라서 학생들의 니즈와 부합함을 확인하였다.

전 강의에 대해 평가를 실시한 바 있는 본 프로그램에서는 평가결과를 강사들에게 알리고 학 생들의 의견을 참고하도록 요청함으로써 보다 나은 인성교육프로그램의 발판을 만들고자 하였 다. 평가서는 다음과 같은 항목(오리엔테이션 강의 참조)에 답변하는 동시에 강의 후기를 쓰는 지면을 제공하여 학생들의 실제 목소리도 알고자 하였다. 다양한 대학의 다양한 학과의 이질적 인 학생들이 모인 교육 현장이므로 요구 사항이나 불만 등도 다양했지만 실제 참가 학생들의 생각과 그들의 감정에 귀 기울이는 것은 소통이라는 측면에서 그 자체가 교육의 일부임이 분 명하였다. 그런 면에서 인성교육은 참여 교수들과 운영진들에게도 새로운 형식의 교육 체험과 지식을 쌓을 수 있는 살아있는 교육 현장의 기회라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➊ 참고논문

김애주. 「급진적 페다고지: 변환학습을 통한 아시아계 미국문학 가르치기」. 『현 대영미소설』14.3 (2007): 7-32.

김애주. 「『여인무사』읽기를 통한 독자 반응과 정체성 정치학: 아시아계 미국문 학 가르치기」. 『영미문학교육』 8.2 (2004): 109-127.

김인표. 「영미드라마 수업의 실용성 제고 방안 연구」. 『영미문학교육』6.2 (2002): 157-184.

김태리. 「신자유주의 세계화 과정과 영국의 대학교육 개혁: 비교 교육적 해석과 의미」http://www.ioe.ac.uk/koreansociety/work_21.htm

손봉호. (1995). 「인성교육: 필요, 성격, 방법」. 『철학과 현실』. 60-69.

허경철, 조난심, 김양분, 유균상, &이성호. (1994). 인간성 함양을 위한 학교 교육 모형 개발 및 평가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수탁연구보고서 CR94-01.

Bass, B. M. (1985). Leadership and performance beyond expectations. Collier Macmillan.

Freire, Paulo. "The "Banking" Concept of Education." Ways of Reading: An Anthology for Writers. Eds. David Bartholomae and Anthony Petrosky. Boston:

Bedford Books, 1996. 211-226.

Glenn, Cathy B. "Critical rhetoric and pedagogy: Reconsidering student-centered

dialogue 1." Radical Pedagogy 4.1 (2002).

http://radicalpedagogy.icaap.org/content/issue4_1/02_Glenn.html

Jarvis, Christine. "Using Fiction for Transformation." Teaching for Change:

Fostering Transformative Learning in the Classroom. Ed. Edward W. Taylor.

San Francisco: Jossey-Bass, 2006. 69-77.

Johnson-Bailey, Juanita and Mary V. Alfred. "Transformational Teaching and the Practices of Black Women Adult Educators." Teaching for Change: Fostering Transformative Learning in the Classroom. Ed. Edward W. Taylor. San Francisco: Jossey-Bass, 2006. 49-58.

King, Kathleen P. "Exploring Feminist Research and Pedagogy in a Crucible of Tragedy: International Perspectives Creating Meaning and Response." Radical Pedagogy(2003). http://radicalpedagogy.icaap.org/content/issue5_2/02_king.html

Mezirow, Jack. "Learning the Think Like an Adult: Core Concepts of Transformation Theory." Learning as Transformation: Critical Perspectives on

a Theory in Progress. Ed. Jack Mezirow. San Francisco: Jossey-Bass, 2000.3-9.

. "Transformation Theory of Adult Learning." In Defense of the Life World. Ed. M. R. Welton. New York: Suny Press, 1995. 39-70.

Osajima, Keith. "Critical Pedagogy in Asian American Studies: Reflections on an

Experiment in Teaching." Teaching Asian America. Ed. Lane Ryo Hirabayashi. Lanham: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Inc., 1998. 59-72.

. "Pedagogical Considerations in Asian american Studies." Journal of Asian American Studies 1.3 (1998): 269-292.

O'Sullivan, Edmund V. eds. Expanding the Boundaries of Transformative Learning. New York: Palgrave, 2002.

Tolle, Eckhart. The Power of Now. Novato: New World Library, 1999.

Yukl, G. A., &Heaton, H. (2002). Leadership in organizations.

➋ 내적성찰 관련 문헌 [무경계] 켄 윌버

[지금 이 순간을 살아라] 에크하르트 톨레 [의식혁명] 데이비드 호킨스

[너의 내면을 검색하라] 차드멍탄 (구글 사내 마음교육) [스무살에 알았더라면 좋았을 것들] 티나 실리그

[네 안의 잠든 거인을 깨워라] 앤서니 라빈스 [명상 나에게 이르는 길] 샐리 캠튼

[마음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스티븐 핑커 [바라는 대로 이루어 진다] 디텍 초프라 [21세기 인성교육] 최재인

[긍정의 에너지. 인성으로 소통하라] 송태인 외 [창의적 인성개발] 임혜숙

➌ 통섭 인문학 관련 문헌

[역사의 연구] 아놀드 토인비 [더 클래식] 헤르만 헤세

[보르헤스 문학을 말하다]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도덕 감정론] 애덤스미스

[꿈의 해석] 프로이트

[인문학으로 광고하다] 박웅현

[서양 철학사] 스털링 P. 램프레히트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