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라이프 로그 마이닝 플랫폼
3.2. 플랫폼 관련 고려 사항
제시하는 플랫폼은 일반 사용자들이 실제 사용하는 스마트 디바 이스를 대상으로 센서 데이터와 컨텍스트 정보를 수집하고, 이에 더 하여 상황에 따른 질의를 수행하는 플랫폼을 제기하였다. 앞에서 확 인한 바와 같이 이러한 플랫폼의 구축은 유연한 라이프 로그 관련 연구를 위해 필요한 과정이지만 일반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다는 특 성상 다양한 실제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 섹션에서는 운 영을 통해 발견한 사항을 소개하고 플랫폼이 개선해나가야 할 방향 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3.2.1. 데이터 수집 관련 이슈
안드로이드 플랫폼은 스마트 디바이스용 오픈소스 플랫폼으로 다양한 제조사에서 안드로이드 기기를 제작하기 때문에 안드로이드 가 운영되고 있는 환경이 매우 다양하다는 특징이 있다. 안드로이드 는 빠르게 진화하고 있는 플랫폼이기 때문에 제공되고 있는 버전들
간의 차이가 크게 존재하여, SQLite 등과 같은 세부 컴포넌트들도 다
양한 버전으로 존재할 뿐만 아니라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하드웨어 적 요소들도 제조사마다 차이가 다수 존재하기 때문에 환경에 따른 다양한 이슈가 발생할 수 있다. 우선 디바이스마다 수집 가능한 정 보와 수집이 불가능한 정보가 존재하며, 수집이 가능한 정보라 하더 라고 하드웨어의 구성 요소나 접근 권한 등의 원인으로 품질이 일 정하지 않은 데이터가 획득되는 등의 문제가 존재할 수 있다.
위치 정보는 디바이스에서 수집 가능한 중요한 컨텍스트 정보
30
중 하나이고 많은 위치 기반 서비스 (Location Based Service; LBS)에
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정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위치를 추정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GPS 기반 위치 정보는 높 은 정확도를 제공하는 대신 높은 에너지 소모가 크기 때문에 위치 가 필요할 시 항상 사용하기 어려운 수준이며, 실내나 음영지역에서 는 측위를 할 수 없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스마트 디바이스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에너지 소모로 Wi-Fi 신호
정보나 셀룰러 (cellular) 신호의 수신 강도 (signal strength) 정보를
사용하여 위치를 보조적으로 추론하는 방법론을 함께 제공하여 주 고 있다. 이러한 위치 측위 기술들의 특징은 초기 데이터 수집 및 보정을 하는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측정 시작시기 직후에는 부정 확한 값을 반환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본 연구에서 데이터를 수
집하는 과정에서 빈번하게 발견할 수 있었다. 특히 GPS 기반 위치
측위는 다수의 위성과의 통신이 필요하기 때문에 초기 위치 측위가 시작되기 까지 수초에서 수십초의 시간이 소요된다. 그렇기 때문에 위치 정보를 수집할 시에는 이러한 초기 활성화 시간을 고려하여 실험을 설계할 필요성이 있다.
3.2.2. 기기 사용성 관련 이슈
본 플랫폼은 일반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대상 디바 이스 사용성을 방해하지 않는 것도 중요한 사항 중 하나이다. 가장 중요한 이슈 중 하나는 에너지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 스라는 특성상 디바이스를 작동시키는 전력은 배터리를 통해 확보 하게 되며 현대의 배터리 기술은 스마트 디바이스의 사용 정도에
31
따라 하루에서 일주일 정도를 사용할 수 있는 용량을 제공한다. 만 약 실험을 수행하는 데에 있어 배터리의 소모가 일반적인 스마트 디바이스의 사용해 방해로 인지된다면 사용자의 경험 변화에 따른 의도치 않은 상황 데이터가 획득되거나 사용자가 실험으로부터 이 탈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실험을 설계할 때에 필 요한 정보를 선별적으로 수집하고 수집 주기를 되도록 길게 가져가 는 등의 방법론이 사용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아래의 [표 2]는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하였을 시와 일상적인 사용시의 데이터 소요량 차이를 나타낸 것이다. 아래의 표에서 확인 할 수 있듯이 센서를 사용하는 것은 높은 배터리의 소모를 가져오 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필요한 경우에만 측정하는 등의 다양한 고려 가 요구된다.
[표 2] 스마트 디바이스 센서 사용시 배터리 소모율
가동시간(분) 수집시(mHa) 비수집시(mHa)
0 0 0
30 99 49
60 231 82
90 346 148 120 462 189 150 580 237 180 696 285 210 813 333
모바일 디바이스에 있어 배터리와 함께 중요한 자원으로 고려해 야 할 것은 네트워크 사용량이다. 많은 경우 네트워크는 무선통신
32
사업자를 통해 유료로 제공되며,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네트워크를 사용할 시 사용하는 용량에 따라 서비스 사용료가 부과되는 형태가 일반적이다. 많은 경우 이러한 유료 통신망인 무선통신망 (cellular
network)과 함께 Wi-Fi 네트워크 환경에 대한 지원이 같이 제공되며,
네트워크가 Wi-Fi로 연결되었을 시에는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사용량 에 관계 없이 네크워크를 사용하게 지원하는 경우가 많다. 그렇기 때문에 실험을 위해 수집된 클라이언트의 데이터들은 Wi-Fi가 가능 할 경우에만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기본 정책으로 하였으며, 사용 자가 허용하였을 경우에만 무선통신망으로 전송하도록 하였다. 이는 많은 상용 앱 들이 대용량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하는 정책으로 연구를 위한 환경에서도 사용자의 경험을 해치지 않기 위해서는 필 요한 조치라고 할 수 있다.
3.2.3. 개인정보 보호 및 보안
일반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에서 중요한 부분 중 하나는 개인 정보 보호와 보안에 관련된 사항이다. 본 논문에서 실행한 연 구들에 대해서는 실험 대상에 대한 사전 동의를 확보할 수 데이터 들을 수집하였지만, 실제 일반적인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범용적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그에 상응하는 프라이버시 보호와 보안이 필수 적으로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연구를 통해 수집되는 데이터에 대 해 익명화를 수행하고 연구자에게 전달함으로써 기본적인 개인 정 보 보호를 수행하였으며,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의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도 인증키 기반 인증 절차를 통해 인증된 클라이언트와의 통신 만을 허용하는 등의 노력을 수행하였다. 제시하는 플랫폼이 다
33
루는 데이터 중 일부는 민감할 수 있는 개인 정보인 경우가 존재하 기 때문에, 다양한 환경에서 널리 사용되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보안 수준 이상의 강화된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장치가 지속적으로 연 구되고 적용될 필요성이 있다.
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