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한광호 (2018), 한국거래소 상장 제조업 기업의 총요소생산성과 생산효율성, pp.327-345

제 4 장 연구결과

4.1 연구방법

4.1.1 투입/산출변수의 선정

4.1.1.1 변수 선정기준

DEA를 이용하여 효율성을 분석하다보면, 투입과 산출변수에 따라 효율성 값에 큰 차이가 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효율성을 연구할 때 연 구대상의 특성을 가장 잘 반영하는 투입 및 산출변수의 선정은 분석결과의 신 뢰성과 매우 관련이 높다. 이처럼 DEA 분석에서 나타날 수 있는 한계점을 극 복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사항을 고려해야 한다.

① 투입/산출변수들의 개선가능성이다. 연구자가 선정한 투입 및 산출 변수 가 연구대상을 모두 나타낼 수 없으며, 가장 대표성 있는 변수를 선정해 연구 자의 목적에 가장 부합해야 한다. 또한 투입 및 산출 변수는 연구자의 결과에 따라 통제 및 관리가 용이해야하고 이를 통해 경영상의 개선에 도움이 되어야 한다.

② 투입/산출변수들의 관리가능성(Controllability)이다. 효율성을 분석 시 나 타나는 비효율적 집단에 대해 이들 집단의 효율성 지수에 관심을 갖기보다는 이러한 지수로 인해 발생하는 비효율성의 원인을 찾고 이를 관리 및 개선할 수 있는 투입 및 산출변수의 선정이 필요하다.

③ 투입/산출변수들의 수이다. 투입/산출변수들의 수가 아무리 많을 지라도 평가 대상의 수가 적을 경우 많은 변수들은 큰 의미를 가지지 못한다. 즉, 평가 대상의 수가 너무 적을 경우 효율적인 대상을 구별하는데 효율성이 큰 의미가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연구자는 평가대상과 투입/산출변수들의 수를 적절히

고려해야하며 일반적으로 “평가대상의 수≥(투입변수의 수+산출변수의 수)×3”

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제한조건은 연구자가 연구대상을 선정할 경우 평가 대상의 수도 함께 결정이 되기 때문에 투입변수와 산출변수를 선정할 시 신중 하게 고려해야만 한다.

또한 투입 및 산출변수의 선정에 있어 다음과 같은 조건들은 어느정도 충족 되어야만 한다(Bessebt. A. M. & Bessent E. W. 1980)32).

① 투입 및 산출변수의 관계적 정보가 포함되어야 한다.

② 투입 및 산출변수는 귀납적 추론이 가능해야 한다.

③ 투입 및 산출변수는 서로 상관관계가 있어야 한다.

④ 투입 및 산출변수는 양수(0이 아닌)이어야 한다.

32) Bessebt. A. M. & Bessent E. W., (1980), Determining the Comparative Efficiency

of Schools through Data Envelopment Analysis, pp.57-75.

변수 변수명 선정사유 기존연구

투입

종업원수

•노동력을 대표함

•정규직, 비정규직, 임원 수 등 전체를 내포함

•인건비와 동일하게 정보획득이 용이함

한동근, 김종웅 (2005)33)

자산총계

•기업의 규모를 대표할 수 있는 변수이며 물적 규 모를 설명할 수 있음

•자본금과 부채의 합으로 계산

송동섭, 김재준 (2001)34).

중간재 •서비스 제공에 소비된 총수입을 내포

•노동력을 대표하는 인건비는 제외함

박정호, 박하영 (2009)35)

산출

매출액 •회사의 영업활동으로 일어나는 모든 수익

•판매한 서비스의 회선수*가격의 총합

장영재, 노상환 (2018)36) 부가가치 •생산액에서 주요생산비를 차감한 비용 김창범

(2014)37)

4.1.2 선행 연구에 기선정된 변수

제조업 관련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투입/산출 변수를 선정하면 <표 4-1>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표 4-1 제조업 관련 선행연구에 선정된 투입/산출 변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