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성파 탐사콘의 해양콘관입시험기 탑재를 위한 기초 연구를 통해, 성능과 크기 등에서 최적 조건인 벤더 엘러멘트를 선택하였으며, 제작한 벤더 엘리멘트가 점성토에서 전단파 계측에 우수한 발진기와 수진기로 그 성능을 검증하였다. 노이즈와 방수 등에 대한 문제 를 해결한다면 획기적인 탐사콘이 개발될 것으로 예상된다.
제 2 절 토의
다음은 중간발표에서 과제 전반에 대한 토의 내용을 정리한 것으로 질문과 답변의 형식 으로 서술하였다.
① N값 기준으로 보았을 때 시험지반조건이 어떻게 되는지?
- 표준관입시험의 결과인 N값은 현재 국내에서는 0에서부터 50타까지 실험을 수행하 고 있는데, 비배수 전단강도기준으로 최소 1t/m2이상의 지반에서 적용이 가능하며 내부마찰각 30도 정도의 보통 모래지반까지 실험이 가능하기 때문에 N값으로 표현 한다면 0~15 정도가 범위라고 할 수 있습니다.
② 자동관입시스템이 작년 제작된 것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 비교․정리가 필요하다.
- 작년 연구사업은 롯드에 대한 연구를 주로 하여 검증을 위해 전기식으로 간단하게 휠 드라이브를 제작하였으며, 그 결과 연성롯드가 10m 이상 지반에서 사용이 어렵다 는 사실을 확인하고 100mm 강성롯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 것에 반하여, 금년도 사 업은 실제 시제품에 탑재될 장치를 만드는 것이 가장 큰 차이로 재질부터 크기, 규 모, 중량, 유압시스템, 등 모든 것이 실제 사용될 수 있도록 제작되었습니다.
③ 해양콘관입시험기로 주로 파악되는 물성치는 무엇인지?
- 1차년도와 2차년도 보고서에 있는 바와 같이 지층의 구분, 강도, 점성토 지반의 압밀 특성, 투수 특성 등에 대한 결과를 신뢰성 있게 얻을 수 있습니다.
④ 실험현장이 어떻게 되는지?
- 현재까지 제작된 장비가 2.5톤의 중량이며, 자체적으로 프레임을 가지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지게차와 같은 중장비에 탑재하여 사용함에 따라 중장기가 기동할 수 있을 정도로 표층은 견고하며, 실험장비의 중량이 장비의 용량이므로 2.5톤 용량으로 관입 이 가능할 정도로 지반이 단단하지 않아야 하는 어려운 조건을 찾아야 했는데, 여러 현장 답사 결과 적절한 현장을 찾지 못했으나 한국해양연구원 구내에 연구동 신축현 장의 지질조건이 이에 해당함을 알고 실험현장으로 선정하였습니다.
⑤ 50m를 충분히 관입할 수 있는 시험기인지?
- 콘관입시험기의 용량은 지반에 관입할 수 있도록 유압이 충분하다면, 관입력의 반력 으로 작용하는 장비의 자중이 바로 용량으로 정의되며, 제작 장비의 수중 중량을 5 톤으로 설계하였기 때문에 5톤이 용량이 된다. 5톤 용량의 콘관입시험기는 앞에서
- 103 -
말씀드린 바와 같이 초연약지반을 제외하고 아주 연약한 지반에서부터 보통 정도의 모래 지반까지 실험이 가능하며 이 경우 50m까지 관입이 가능합니다. 즉, 장비의 용량에 부합한다면 50m까지는 롯드가 준비가 되어 있기 때문에 실험이 가능한 깊이 라고 할 수 있으며, 만약 지반의 강도가 실험에 충분하며 롯드와 케이블을 더 준비 한다면 더 깊은 심도도 실험이 가능합니다.
⑥ 설계도면을 자세히 수록하는 것이 어떤지?
- 지적재산권 문제가 있기는 하지만, 최대한 최종보고서에서 자세히 수록하겠습니다.
⑦ 실험 도중에 암반이 나올 경우에는 어떻게 하나?
- 일반적으로 육상을 포함한 모든 콘관입시험에서는 암반이 나올 경우 롯드를 회수하 고 위치를 이동한 후 실험을 합니다.
⑧ 우리나라 해상지반이 대부분 초연약지반이 아닌가?
- 초연약지반이라고 하면 초기 준설지반과 같이 장비나 인력이 전혀 기동할 수 없을 정도의 지반을 의미하며, 우리나라 해상에서도 해당 지반이 있을 수 있으나 보통은 이 정도 연약하지는 않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⑨ 외국 해양콘관입시험 사례는 어떤지?
- 1차 및 2차 보고서에도 정리한 바와 같이 해양콘관입시험기는 몇 가지 형태로 제작 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이 연구에서 개발하고자 하는 형태, 즉 해저면 착저형태로 표 준콘을 사용하면서 강성롯드를 사용하며 연속적으로 관입이 가능한 시험기는 없습니 다. 참고로 국내에서 실시된 해양콘시험은 고래V 기지, 부산신항, 거가대교 현장, 등에서 해외 용역업체가 직접 실험을 수행한 바 있습니다.
- 105 -
참고문헌
1. 목영진(1992), ꡒIn Situ Measurement of Stiffness and Damping of Soils by Crosshole and Downhole Methods,ꡓ 한국지반공학회 지반진동 위원회 제1회 학술논 문집 제1권 제1호 pp 1-18
2. 목영진(1994), ꡒ역산이론을 이용한 다운홀 시험 결과의 해석,ꡓ 한국지반공학회 논문집, 제 10권, 제4호, pp.29-37.
3. 목영진, 강병수, 김정한(2003a), ꡒ인홀 시험을 이용한 암반의 동적물성치 측정ꡓ, 한국 토목학회 논문집, 제 23권, 제 2C호, pp. 119-125.
4. 목영진, 정진훈, 김영수(2004), ꡒ지반의 동적물성치 측정을 위한 인홀탄성파시험의 개 선.ꡓ 한국지반공학회 논문집, 심사중.
5. 백영식 외(1997), 지반구조의 영상화를 위한 Seismic Geotomography개발, 건설교통부 6. 임수빈 외(1997), 중앙고속도로 영주-제천간 10공구건설공사 ꡒ두음교 기초지반의 확인
조사 및 처리공법ꡓ, 동부엔지니어링(주)
7. 유재영, 김기일, 손은화(2002), “압전 세라믹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8. Arulnathan, R., Boulanger, R., and Reimer,M.F(1998), "Analysis of Bender Element Test", Geotechnacal Testing Journal, ASTM, vol.21, No.2, pp.42-53
9. Brignoli, G.M., Gotti, M. and Stokoe, K.H(1996), "Measurement of Shear Waves in Laboratory Specimens by Means of Piezoelectric Transducers", Geotechnical Testing Journal, vol. 19, No. 4, pp.384-397
10. Campanella, R.G., Robertson, P.K., and Gillespie,D.(1986), "Seismic Cone Penetration Test," "Use of In Situ Tests in Geotechnical Engineering," Geotechnical Special Publication, No.6, Virginia Tech., Blacksburg, VA, PP.116-130
11. Dyvik, R. and Madshus, C.(1985), "Laboratory Measurement of Gmax Using Bender Elements", Proceedings ASCE Annual Convention, Advances in the Art of Testing Soil Under Cyclic Conditions, Detroit, Michgan
12. Fioravante, V. and Capoferri, R.(2001), "on the use of multi-diredctional piezoelectric transducers in triaxial testing", Geotechnical Testing Journal, vol. 24, No. 3, pp.243-255
13. Gautschi, G.(2002), “Piezoelectric sensorics”, Berlin ; New York : Springer
14. Ling, M.L. and Greeding, P.D.(2001), "A novel bender/extender element for soil testing", Geotechnique, vol. 51, No. 8, pp. 713-717
15. Mok, Y,J., Kim, J,H., and Kang, B,S.(2003b), "A Pilot Study of In-Hole Seismic Method",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ol.19, No.3 June, 2003, pp.23-31.
16. Richart, F. E., Hall, J. R., Wood, R. D.(1970), "Vibration of Soil and Foundation,"
Prentice-Hall Inc, Englewood Cliffs, New Jerrsey.
17. Richard J. Hoar(1982), ꡒField Measurement Of Seismic Wave Velocity And Attenuation For Dynamic Analyses,ꡓ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pp 37-447.
18. Santamarina, J.C. in collaboration with K.A. Klein and M.A. Fam(2001), “Soils and waves”, Chichester
19. Stokoe, K.H., II, and Woods, R.D.(1972), "In-Situ Shear Wave Velocity by Cross-Hole Method,ꡒ Journal of the Soil Mechanics and Foundations Division, Proceedings, ASCE, Vol. 98, No. SM5, pp. 443-460.
20. Terzaghi, K. (1943), Theoretical soil mechanics,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510p.
21. Uchino, K.(1997), “Piezoelectric actuators and ultrasonic motors”, Boston, MA : Kluwer Academic Publishers
22. Viggiani G. and Atkinson, J.H.(1995), "Interpretation of bender element tests"
Geotechnique, vol.45, No.1, pp. 149-154
23. Vives, Antonio A.(2004), “Piezoelectric transducers and applications”, Berlin ; New York : Springer-Verlag
24. Zeng, X. and Ni, N.(1998), "Application of bender element in measuring Gmax of sand under Ko condition", Geotechnique, vol. 45, No. 1, pp. 149-1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