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총자산세전순이익률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재무비율요인들 간에 설정된 가설로는 규모 요인, 성장성 요인, 재무구조 요인, 기업위험 요인, 자산효율성 요인,

현금흐름 요인 그리고 투자성과 요인으로 7개로 설정하였다.

(가설 1) 국적외항선사의 규모요인은 총자산세전이익률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기업규모가 수익성에 영향을 미치는 실증연구는 일반적 많이 수행되어 왔다. 산업 의 특성이나 개별기업의 경영행태에 따라서 기업규모가 정의 관련성을 나타낼 수도 있고 부의 관련성을 띨 수도 있다. 국적외항선사들도 기업규모에 따라서 수익성과 관 련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어 본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2) 국적외항선사의 성장성요인은 총자산세전이익률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업이 성장할수록 수익성이 증대되는 것이 일반적인 특징으로 나타나 고 있다. 하지만 산업특성과 기업 수익창출행태 및 환경적인 영향으로 성장성과 수익 성이 반비례하는 경우도 있을 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검증기간이 금융위기 이후의 해운불황기이기 때문에 이 기간의 성장성이 수익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검 증하고자 본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3) 국적외항선사의 재무구조요인은 총자산세전이익률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재무구조가 기업수익성이나 기업 가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MM이론이 있지 만 일반적으로는 재무구조가 수익성이나 기업 가치에 영향을 미친다는 최적자본구조 이론이 지배적이다. 이러한 재무이론과 해운불황기에서 국적외항선사의 재무구조가 수익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검증하고자 본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4) 국적외항선사의 기업위험요인은 총자산세전이익률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해운산업은 산업특성상 여타 산업에 비하여 기업위험이 높은 편이다. 해운경기변동 이 심하여 영업위험이 높을 뿐만 아니라, 부채비율이나 차입금비율이 높아 재무위험 이 높아 경기변동에 따라 파산하는 선사가 많이 발생하고 구조조정이 심한 산업이다.

이러한 산업적 특성을 지니고 있는 국적외항선사의 위험이 수익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파악하기 위해 본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5) 국적외항선사의 생산성요인은 총자산세전이익률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생산성이 향상될수록 기업수익성이 제고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해운기업의 주요 자 산이 선박인데 선박의 부가가치가 높을수록 선사의 수익성은 높아질 수밖에 없다. 금 융위기 이후 불황기에는 선박의 공급과잉으로 운임이 낮아지고 유류비와 선원비 등의 해운비용은 상대적으로 높아져 선박의 부가가치가 감소하여 선사의 수익성에도 악영 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논리가 국적외항선사에도 적용되는 지를 검증하 고자 본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6) 국적외항선사의 현금흐름요인은 총자산세전이익률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기업경영에서 현금흐름 관리는 매우 중요하다. 특히 부채비율이 높은 해운기업의 경우에는 잘못된 현금흐름관리가 흑자파산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단기적인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한 운전자본관리나 장기적인 재무적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자본예산 편성 모두 중요한 재무의사결정으로서 수익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논 리에 의거하여 금융위기 이후 해운불황기에 국적외항선사의 현금흐름관리가 수익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검증하고자 본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7) 국적외항선사의 투자성과요인은 총자산세전이익률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투자가 성공적으로 수행될 경우에 기업수익성은 제고된다. 해운시황이 좋을 때는 물량도 많고 운임여건이 좋아서 일반적으로 선대확보를 위해 투자를 늘리고 해운시황 이 안 좋을 때에는 보유선박을 매각하는 등의 투자를 감소시키는 의사결정이 일반적 이다. 그러나 이러한 의사결정은 오히려 해운기업의 수익성에 반할 수도 있다. 불황기 에는 선가가 호황기의 절반이하로 떨어지는 것이 일반적인데 보유선박을 매각하는 것 은 엄청난 선박 매각손실이 발생하고 호황기에 선박을 취득하는 것은 비싸기 매입하 기 때문에 운임수입 이상으로 손실이 발생할 수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해운산업의 특성을 검증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투자성과지표인 투자수익률과 자본금순이익률이 총 자산세전이익률에 미치는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제2절 수익성 영향요인 분석결과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