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I. 수술료 부분

3. 햇볕정책 기조

① 안보태세 확립과 교류협력의 병행 추진

- 대북정책을 일관된 원칙하에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확고한 안보태세의 유지가 필수조건이 며, 교류협력은 유연성을 발휘하여 지속적으로 추 진

② 평화공존과 평화교류 우선 실현

- 남북기본합의서에서 합의한대로 남북이 상호체제 를 인정하고 존중하여 분단상황을 평화적으로 관 리하고 교류협력의 활성화를 통해 통일지향적 남 북관계로 발전 도모

③ 화해와 협력으로 북한의 변화여건을 조성 - 북한의 점진적 변화가 남북관계 개선의 지름길이므

로 북한의 변화를 강요하기 보다 자신감을 가지고 유연한 입장에서 교류협력을 통해 스스로 변할 수 있는 여건 • 환경 조성

④ 남북한 상호이익 도모

- 북한의 경제난 • 식량난과 남한의 IMF사태에 따른 경제적 어려움을 민족전체의 공동발전과 번영이 라는 장기적 관점에서 대승적으로 해결

- 남북한 상호 보완성에 기초하여 민족경제공동체 형 성 발전

⑤ 남북한 당사자 해결원칙하에 국제적 지지확보 - 한반도의 평화정착과 남북관계 개선을 남북 당사자

가 주도할 수 있도록 국제 사회에 적극 참여 , 협조 하고 북한이 대화의 장으로 나오도록 설득

⑥ 국민적 합의에 기초한 대북정책 추진

- 대북정책이 소수 특정인에 의해 독점되거나 정부의

공식기구가 아닌 비선조직에 의한 추진 지양 - 일관성 • 실효성을 갖고 추진하되 국민적 합의도출

을 위해 투명성 유지

4.

햇별정책에 대한 시각

〔강경론〕

• ’90년대초 구소련 해체에 이어 동구권 붕괴 및 독 일 통일에 고무되어 북한 붕괴나 흡수통일에 대한 기대로 대북압박 강화로 조기붕괴 유도

- 대남 무력적화통일정 책 고수로 군사력 계속 증강 - 통미봉남(通美封南) 전략에 따라 한미 방위태세 무

력화 시도

• 경제난으로 주민통제 • 탄압이 가중되고 있는 상황 을 타개하고 인도주의적 차원 에서 통일을 앞당기 기 위해 북한체제의 붕괴 촉진

- 모든 가능한 수단을 동원 압박하고 무력도발을 포 기토록 충분한 군사력을 유지하고

- 대남 적화노선, 적대정책을 포기할 때까지 대북지 원 ■ 경제협력 중단

- 대북 유화정책이 북한에 악용되어 전쟁도발 가능성 이 있으므로 대화에 응하도록 강경책 필요

〔포용론〕

• 한반도 문제의 국제화가 심화되어 대북정책의 추 진에 있어 자율성 발휘가 곤란

- 중 • 러는 한반도 현상유지를 희망하고 있어 강경책 은 대남 적개심을 유발하는 등 외교적인 손상이 크 며, 탈냉전 시대상황과 배치

- 교류 협력을 통해 관계를 개선하고 개혁 - 개방을

유도하여 평화적 통일 추구

- 김일성 사망이후에 제한적 개방 - 개혁을 통해 체제 안정 도모

- 중 • 미 등 주변국의 북한 살리기를 통한 한반도 현 상유지정 책으로 조기붕괴 희박

우 대북 포용정책의 한계

- 정경분리원칙에 의해 적극적 교류협력과 일방적 대 북지원에도 불구하고 북한의 변화나 호응이 없을 경우 국민의 비판여론 고조

- 경제적 파산상태인 북한을 상대로 적극적 지원과 협력을 활성화 할 때 북한 체제의 생존력을 강화하 게 되어 대남도발능력을 지원하는 결과 초래

5.

시대별 한반도 안보환경 개관

〈1948-1953년대〉

• 국가정책의 기본을 국민생활 안정대책을 강구하고 반공태세를 강화하면서 치안회복에 주력

• 자유주의적 헌정질서를 구축하고 반공태세를 강화 하여 북진통일 주장

• 북한의 기도와 능력오판으로 북한의 침공에 대한 대응책소흘

〈1953-1961년대〉

• 미국과의 안보동맹 확립, 미군주둔과 군사원조로 군사력을 증강하고 대미의존 외교 정책 확립

• 미국의 무상원조를 경제건설에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자유당 정권 연장 수단화로 이용, 부정부 패 만연

의료보장 .49

〈1961-19기년대〉

• 안보문제는 미국에 의존하고 경제건설에 국력 집 중

• 경제개발 우선정책에 따라 노동집약적 경공업중심 의 수출주도형 공업화 정책 추진으로 “선 건설 후 통일” 정책 수행

• 월남 파병으로 한미 안보협력 강화

〈1972-1987년대〉

• 미소간 핵전력의 전략적 균형 형성으로 군비 통제 움직임 대두

• 중소간 이념분쟁이 국경분쟁으로 확대, 중국 유엔 가입과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 진출, 일 • 중 국 관계 개선

• 닉슨 독트린(“아시아의 방위는 일차적으로 아시아 책임’’)에따라주한미군 1개사단 철수

• 중화학공업 병행 발전, 방위산업 육성 , 방위세 신 설하고’94년 “율곡계획” 확정 — 주요장비와 무기 국산화 추진

• 전두환 정권 출범과 함께 한 • 미 • 일 삼각 안보협 력관계 유지

• 지속적 경제성장에 따른 무역흑자에 따라 중산층 노동자의 민주화 요구가 증가되고 6월항쟁을 통해 권위주의 통치 체제 기반이 무너지고 민주화 단계 이행

〈1988-1992년대〉

• 1989년 베를린 장벽 무너지고 탈공산주의 민주화, 중국 천안문사태 발생

• 미 부시대통령 “탈냉전기의 아시아 전략”이란 의 회보고를 통해 필리핀 미군기지 철수, 주한미군 1

단계 철수계획 발표

• 노태우 정권은 북방외교를 통한 소련 • 중국과 관 계정상화, 남북한 동시 유엔 가입

• 한반도 냉전구조를 해체하고 평화공존의 기틀위에 통일정책을 추구하기 위해 남북간 화해와 불가침 교류 협력에 관한 합의서 체결

〈1992년 이후〉 -

• 냉전체제 붕괴에 따른 새로운 국제환경에 적응하 기 위해 특히, 동북아지역 냉전 구조가 종식되지 못하는 상황하에서 개별국가사이의 경제적 교류가 확대되고 있는 등 대결과 협력관계 공존

- 미국의 정책

• 북한과의 관계 개선을 통하여 한반도지역의 긴장 을 완화하고 궁극적으로는 미국의 영향력 확대를 목표

• 범세계적 차원에서 미국의 국익을 위해 북한을 필 수적인 지역이라 기보다는 동북아질서가 파괴되지 않도록 북한을 설득하기 위한 의미에서 중요성을 인식, 대북 접촉시도

• 19452차대전이 끝나고 북한의 존재를 인정하 지 않음. (북한정권 불승인정책)

• 1950년 한국전 이후 적성국가로 분류(적성국가 테 러지원국가 공식접촉 회피)

• 1960년 후반 탈냉전과 더불어 북한과 접촉 시도

• 1994년 북미 제네바 핵 합의

: 핵무기 개발 포기 대가로 40억불 상당의 경수로 원 자로 2기 건설

; 경수로 건설기간 동안 매년 경유 50만톤 공급

; 북한의 무모한 군사적 도발을 억제할 수 있는 군사 적 억지능력 유지

북한정권의 갑작스런 붕괴로 지 역불안을 초래하지 않도록 북한의 정치적 안정 도모

남북한 직접대화 촉구 - 통일에 있어서 당사자주의

지지 ■

- 일본의 정책

• 북한과의 관계개선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북한에 경제적 투자가 증대 되면 많은 이익 창출을 기대

• 북한과의 관계개선을 통하여 한반도의 정치 - 경제 에 적극참여 표명

• 한반도에 평화가 지속되기를 기대

- 중국의 정책

• 남북한 대화 종용, 한반도 평화안정 유지정책 추구

• 한반도를 전략적 요충지로서 북한을 한반도지역 영향력 행사에 중요한 교두보로 삼고 서방지역에 대한 완충지대로 중시

■ 북한과의 특별한 우호관계 유지하고,, 북한의 조기 붕괴를 원치 않으며. 김정일정권의 안정화 도모를 위한 지원 계속 중국식 통제적 개방정책 수행을 촉 구하여 사회주의 정치체제를 유지하면서 수출지향 적 경제발전전략 추구 종용

• 북한의 핵무기 개발 반대 (일본, 한국 등 주변국 핵개발 자극 우려 표명)

-러시아의 정책

• 북한을 동북아지역 에서의 매우 중요한 전략적 요 충지로 평가—태평양 진출 전진기지

• 북한과의 유대관계 복원 유지하고 한국과의 유대 관계 증진

• 한반도의 비핵지대화 - 핵무기 확산 반대 - 평화체 제정착 추구

• 한반도 문제해결을 위해 다자간 회의 제안

6

.결론

• 남북한관계는 세계적인 탈냉전의 조류에도 불구하 고 냉전적 상황속에서 적대관계가 지속되고 있고, 한반도에는「두개의 국가」가 존재하는 현실로 변 하고 있어 남북한간 서로가 자국에 유리한 환경조 성을 위해 경쟁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현실을 고려 하여

• 대북정책 수행에 있어 서두르지 말고 교류협력을 확대하여 신뢰를 구축하고 한반도의 평화정착을 위한 최선의 노력 필요

• 특히, 북한은 대량살상무기(미사일, 생화학무기)

를 보유하고 있어 군부 강경 세력에게 전쟁의 빌미 를 주지 않도록 대승적 입장에서 유연성과 정책의 일관성있는 추진이 요망됨. 4오

의료보장 .51

의보 련일지 게 시 판

71

- EDI 기관의 web정보조회 전국 확대

72 *

- 99. 을지연습 계획보고

76

“ 종합전산망 2단계 시스템 적용올 위한 교육

77

- ’99. 보안감사 수감

- DRG지불제도 시범기관 추가신청 접수

79

- 대학생 의료보험제도 교육 - EDI 청구기관의 인터넷 정보조회

요양기관 안내

710

-2단계 진료비 심사지침 공개

712

- 신규 등재신청 의약품 등재 검토업무 추진

(13일까지)

715

- 진료용 재료 수입업체 가격 열람31 일까지)

716

- Y2K관련 IBM장비 시험 및 응용프로그램 테스트(17일까지)

720

- 통계분석시스템 SAS교육 관련 포상

721

- 심사청구건 현지 사실 확인조사(23일까지)

722

- 의료보험 EDI 청구 2만기관 참여 기념행사

724

- DRG 지불제도 시범사업 지침개정 통보

727

- DRG 분류체계 및 수가관련 회의 개최

731

- 공익근무요원 교육 및 배치 계획 수립

느 직원 통계분석시스템

SAS

교육 회장표창

(’99. 7. 20.자)

► 성적우수자

기획조정실 차장 주수일 심사기준실 대리 정영애 감사실 차장 김덕호 약가관리실 주임 이수영 심사 1 차장 배을룡

► 교육모범생

심사 1실 대리 강현묵 총무관리실 주임 최은회

a

의료보험조합 주소 - 전화번호 변경

조합명칭 변경사항 변경 변경 변경일자

경기제 10지구

안양시 만안구 안양3695~95

안양시 동안구 관얌동 1603

'99.7.5.

전화번호 (0343)445-9530-9 (0343) 384813~5 385~9272~4 386~9341~3 387-8374

그 진료재료 협약가 환율 등급

협약구분 방사선, 씨티 레이저,맘모필름

검사,처치 수술, 마취재료

방사성들 USDO 달러당)

〒위원소 m(ioo리라당 적용기간

평균환율 1213.05 1213.05 1213.05 1192.53 63.51

적용등급 5 등급 99. 협약가표참조 7 등급 6등급 5등급

적용기간

진료일가준 1999년 7~9 진료분 1999년 8진료분

談 협약가 안내전화 (02) 705-6264

구안 내

Merocel은 협약기간(1999년 7월 1일 진료분부터 2000년 12월 31일 진료분까지) 중 19993/4분기 (1999. 7.1.진료분부터 1999.9. 30.

진료분까지)에 적용할 내용임을 알려드리며 아울러 종합병원은 1999

년 11일 진료분부터 협약가로 적용하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