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과목표 성과지표 측정방법 목표치 가중치 비고
연구성과물
논문 총 논문편수
(SCI/비SCI) 1/3
학술회의 발표 학술회의 발표건수
(국외/국내) 4/4
연구개발홍보 세미나, 워크샵 개최건수 1
기술확산교류 기술교류회 개최 건수 1
특허출원 국내 특허 출원/등록 건수
국제 특허 출원(PCT 등록)/등록 건수
1/2 1/0
시험 및 조사 오염해역 조사/관측 건수 1
정책제안 최적 정화공법 선정 의사결정 도구 제안 건수 1 고시/지침
기술적 연구성과
피복공법 개발
피복 소재 고도화 오염거동 분석모델 제시 대상해역 사전모니터링 결과 대상 해역 지형 조사 결과물 및 시공 설계안 제시 생물학적 정화기술 개발 생물학적 중금속 안정화 및 파일럿시스템에서의
생물활성촉진제 적용성 평가 결과
현장처리기술 개발 현장 처리기술 검증 장치 개발 및 처리기술 검증 1 현장 처리기술 상용규모 공정 상세설계 1
소 계
차년도
차년도 정량적 정량적 성과목표 성과목표 및 및 지표 지표
주 1. 비고는 전년대비 비율임, 2. 기타:기술이전 1건, 3. 기술료 3천만원 (목표)
2015-08-25
16
차년도
차년도 연구개발비 연구개발비 구성 구성
비목 세목 주관기관 협동기관 공동기관 위탁기관 합계
직 접 비
인건비
미지급 50,100 50,100
지급 현금 204,806 204,806
현물 학생인건비
인건비소계 204,806 204,806
연구장비․재료비 현금 287,591.84 30,500 287,591.84
현물
연구활동비 62,676.16 31,200 62,676.16
연구과제추진비 26,780 15,600 26,780
연구수당 35,000 35,000
연구비소계 412,048 77,300 412,408
위탁연구개발비 90,000 90,000
간접비 113,946 12,700 113,946
연구비 총액 856,800 90,000 856,800
총계
정부출연금 856,800 90,000 856,800
민 간 부담금
민간현금 민간현물 소계
합계 856,800 90,000 856,800
(단위: 천원)
①사업명 해양수산환경기술개발산업 ②과제번호(접수번호) 20110110
③해양수산과학기술분류 (소분류)MEV0103 ④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체계 (소분류)EH0602
⑤과제유형 □기초, □응용, ☑개발 ⑥실용화 대상여부 ☑실용화 □비실용화
과제명
국문 지속가능 해양오염퇴적물 정화기술
개발: 피복 및 현장처리기술 ⑦보 안 등 급 □보안 ☑일반 영문 Development of Sustainable Remediation
Technology of Contaminated Marine Sediments:
Capping and In-Situ Treatment Technology ⑧공개가능여부 ☑가 □부
주관연구기관 기관명 한경대학교 사업자등록번호 125-82-07142
⑨소재지 (456-749) 경기도 안성시 중앙로 327
주관연구책임자
성 명 김 영 기 과학기술인등록번호 10145449
부 서 화학공학과 생년월일 1969.01.08
직위/직급 교수/책임급 ⑪전공(학위) 박사
전화번호 031-670-5206 휴대폰 010-8704-1157
FAX 031-670-5209 e-mail [email protected]
실무담당자 성 명 신우석 휴대폰 010-3181-3053
전화번호 031-670-5621 e-mail [email protected]
세부연구기관 (협동,공동,위탁)
기관명 ⑩유형 책임자성명 직위/직급 전화 e-mai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협동) 출연(연) 김경련 선임연구원/선임
급 010-3371-0158 kyoungrean@kio st.ac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공동) 출연(연) 이장근 수석연구원/책임
급 010-9985-3443 [email protected] 서강대학교
(위탁) 대학 오병근 교수/책임급 010-3112-9741 [email protected] .kr 한국해양대학교
(위탁) 대학 송영채 교수/책임급 010-7151-4417 [email protected] 에이치플러스에코(주)
(위탁) 중소기업 공준 이사/책임급 010-8754-8609 jkong@hpluseco.
co.kr
총연구기간 2011. 08. 16. ~ 2016. 08. 15. ( 5년 0월) 다년도협약 연구기간
해당연도 연구기간 2014. 08. 16. ~ 2015. 08. 15. ( 1년 0월) 연구개발비(단위 : 천원)
연도 정부
출연금
정부 외 출연금
상대국
부담금 합계
민간부담금 ⑫기타 부담금
현금 현물 소계 현금 현물 소계
1차년도
(2011년) 1,144,000 0 0 0 1,144,000
2차년도
(2012년) 1,145,000 0 0 0 1,145,000
3차년도
(2013년) 1,143,000 0 0 0 1,143,000
4차년도
(2014년) 1,430,000 0 0 0 1,430,000
5차년도
(2015년) 2,380,000 25,000 225,000 250,000 2,630,000
총계 7,242,000 25,000 225,000 250,000 7,492,000
⑬참여 기업
기업명 ⑩유형 책임자성명 전화번호 휴대폰 e-mail
⑭국제공 동연구
상대국 연구기관명
상대국
연구개발비 천원
관련법령과 규정을 준수하면서 동 연구개발과제의 연차실적계획서를 제출합니다. 아울러, 동 연차실적계획서 상의 기재 내용이 사실임을 확약하며 만약, 사실이 아닐 경우 선정 취 소, 협약 해약 등의 어떠한 불이익도 감수하겠습니다.
2015 년 8 월 14 일 주관연구책임자: 김영기 (인) 주관연구기관장: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장 (직인)
한국해양과학기술진흥원장 귀하
연차(단계)실적계획서
<연구개발과제 요약서>
과제명 지속가능 해양오염퇴적물 정화기술 개발: 피복 및 현장처리기술
연구책임자
(성명) 김영기 (과학기술인등록번호) 10145449
(소속기관명) 한경대학교 (Email) [email protected] (전화번호) 031-670-5206
(지역) 경기도 (전공) 화학공학 (학위) 박사
○ 연구목표(국문, 영문 각각 100자 이내)
준설물질의 해양배출은 “폐기물 및 기타 물질의 투기에 의한 해양오염 방지에 관한 협약”, 즉 런던협 약에 의해 국제적으로 규제가 점차 강화되고 있는 추세에 있고 오염퇴적물 해양투기나 처분시 중금속 과 유해화합물질의 함량 등에 대하여 국제적으로 action level이 설정되는 등 준설토의 해양 투기가 보 다 엄격하게 제한되고 있다.
본 연구개발사업은 해양오염퇴적물 정화사업을 위해 주로 수행되고 있는 준설(흡입식 수거)/최종처 리방법이 런던의정서에 의한 해양투기 가능 준설물질 규제강화로 위기에 놓여있는 상황에서 환경 친화 적이고 경제성을 가지는 대안기술을 개발하고 실증화를 추진하는 것을 목표로 함
According to the London Convention 1972/Protocol 1996, if the characteristics of the dredged material would not meet the requirements of the Convention, treatment such as separation of contaminated fractions or other management options should be considered. Nowadays, disposal management techniques for a beneficial use are studying actively.
This research is to develop environmental-friendly and low cost dredging/ final treatment technology alternative and to propose of substantiation. Owing to the London Convention regulation strengthening, the ocean disposals have much difficulty.
○ 연구내용(국문, 영문 각각 100자 이내) - 해양오염퇴적물 피복기술 개발 및 적용시험
- 해양오염퇴적물 현장처리기술 개발, 공정 설계 및 적용시험 - 해역(오염)유형별 최적 정화공법 선정도구(안)개발
- 해양퇴적물 오염특성별 해역유형 구분 기준개발 - 해양오염퇴적물 정화・복원 관련 법령 개정안 개발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test of capping technology of contaminated marine sediments.
- Development, process design, and application test of in-situ treatment technology of contaminated marine sediments
- Development of selection tool of optimal remediation process in the sea (contamination) type.
- Standard development of the sea type separation in each contamination characteristic of marine sediment.
- Development of legislation revised bill related with remediation of contaminated marine sediments.
○ 연구개발에 따른 기대성과(국문, 영문 각각 100자 이내)
- 피복성능평가 시스템 구축을 통한 피복 설계의 기술 고도화 및 합리적인 매뉴얼 기반 구축 - 오염퇴적물 정화사업 활성화로 관련 산업 기술 개발 유발 효과
- 관련 기술의 국제 경쟁력 확보로 중국, 동남아시아 등 개발 진행 국가의 정화복원사업 진출 및 해외 시장 창출
- 한국형 피복공법 기술 정립에 따른 개발도상국 기술이전 및 국내기업 참여를 통한 외화 획득 효과 - 피복기술 및 현장처리기술 개발로 중앙정부의 정화∙복원사업 예산 절감과 정화∙복원사업의 효율 극
대화로 사업활성화가 기대됨
- 해양퇴적오염물 현장처리기술 실용화를 통한 신규 정화∙복원사업 시장 창출
- Technology improvement and logical manual-based construction of capping design by capping efficiency evaluation system construction
- Inductive effect of relative project technology development through remediation project revitalization of contaminated sediment.
- Remdiation/reconstruction expansion and Foreign market creation of a developing country (China and Southeast Asia, etc.) through international competitive power of relative technique.
- Effect of acquisition of foreign currencies through a developing country technology transfer and domestic company participation in conformity with Korean capping process technology - Activation of the project with the central government remediation/reconstruction project budget
reduction and remediation/reconstruction project efficiency optimization through capping technology and in-situ treatment technology development.
- Market creation of new remediation and reconstruction through in-situ treatment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of contaminated marine sediments
(5개 내외)색인어
한글 오염퇴적물 정화 피복공법 현장처리 해양환경
영문 Contaminated
Sediment Remediation Capping In-Situ
Treatment Marine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