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현장 처리기술 적용방안 검토

Dalam dokumen 피복 및 현장 처리기술 (Halaman 57-61)

ο 현장 처리기술 적용방안 초안은 기존 국내외 사례를 검토하여 처리기술을 적용할 경우 고려가 필요한 사항을 취합 및 평가하여 현장 처리기술 적용방안 초안을 도출함

가. 사례 검토

ο 우리나라의 관련 제도로서 “환경기술 및 환경산업 지원법”(2015년 월 3일, 법률 제 13174호, 환경부)에 “환경신기술 지정”과 “환경기술 검증”이 있음15),16)

- “환경기술 및 환경산업 지원법” 제7조 신기술인증과 기술검증, 같은 법 시행령 제18조 신기술인증이나 기술검증의 신청, 같은 법 시행규칙 제6조 신기술인증과 기술검증의 신 청절차가 규정되어 있음

ο 환경신기술 인증(New Excellent Technology)이란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개발하였거나, 국 내외 기술의 주요 부분을 도입하여 우리나라에서 개량한 환경 신규 기술에 대하여 국가 가 검증·평가하여 기술의 우수성 인증을 부여하는 제도임

- 환경신기술인증서 발급(환경부장관 발급): 유효기간 5년, 1회 연장 가능

ο 환경기술 검증(Environmental Technology Verification)이란 개발자가 현장조사와 서류심 사, 현장평가기관의 현장평가를 받아 환경 기술의 성능과 경제성 등을 검증받는 제도임 - 환경기술검증서(환경부장관 발급): 유효기간 7년, 1회 연장 가능

ο 오염물질의 정화기작(Mechanism)이 유사한 토양정화 분야는 환경부에서 정화방법 가이 드라인을 마련하여 시행하고 있음17)

ο 환경부는 환경신기술 인정과 환경기술검증 시 기술의 범위, 신규성, 진보성(처리용량 및 효율 등), 타당성(단계별 저감 정도 등) 및 안전성(2차 오염, 발생 폐기물 등)을 평가의 주요 항목으로 함

ο 미국의 경우 환경보호청 환경기술 검증 제도(Environmental Technology Verification Program)18) 및 슈퍼펀드 오염지역 신기술 평가(Superfund Innovative Technology Evaluation: SITE)19) 제도가 있으며, 주요 고려 요소는 다음과 같음

- 필요한 기술 능력 및 운영자 교육 - 운전 및 정지에 요구되는 시간

- 설비의 전체적인 견고성 및 에너지 소모량

- 설비를 사용하지 않을 때 고려사항 및 설비의 고장 빈도 - 발생 폐기물 및 2차 오염

ο 일본의 경우 해양퇴적물 정화를 위한 기술지침20)에 정화 공법 선정, 중간처리 시 관리 항목 등을 규정하고 있음

ο 현재 해양환경 관련 기술에는 상기와 같은 인증 또는 검증 제도가 없으므로, 제도 정비 및 기술 적용을 위한 지침·고시 등 개선이 시급함

15) 환경기술 및 환경산업 지원법, 2015년 3월 2일 법률 제13174호, 환경부 16) 환경신기술정보시스템(http://www.koetv.or.kr/intro.do?mode=introduce01)

17) 오염토양 정화방법 가이드라인, 2007년, 환경부(행정간행물등록번호 11-1480000-000841-01) 18) EPA’s Environmental Technology Verification Program(http://archive.epa.gov/nrmrl/archive-etv/index.html) 19) EPA’s Superfund Innovative Technology Evaluation (SITE)(http://www.epa.gov/nrmrl/lrpcd/site/)

20) 港湾における底質ダイオキシン類対策技術指針, 平成20年4月, 国土交通省港湾局(항만에서 퇴적물 다이옥신류 대책 기술지침, 2008년 4월, 일본 국토교통성 항만국)

나. 현장 처리기술 적용방안 검토

ο 사례 검토 결과를 기초로 환경 분야 처리기술 적용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흐름이 필요 함

- 사전검토 필요 사항

◎ 대상 오염물질의 물성(입도, 함수율, 비중 등)과 오염(유기오염물질, 중금속, 지속성유 기오염물질 등) 특성

◎ 처리기술이 대상 오염물질의 정화에 효과적인지 여부

◎ 처리기술을 적용할 경우 대상 오염물질을 적합한 수준으로 정화 즉, 처리 후 목적으 로 하는 최종 처분 관련 환경 기준을 충족할 수 있는지 여부

◎ 대상 오염물질의 발생량, 보관 방법 및 처리기술 적용 시 운전 장애 요인 여부(투입 최소 물량, 처리시간 등)

◎ 처리기술 적용 시 2차 오염 가능성 및 폐기물 발생 여부

- 처리기술 적용 시 검토 필요 사항

◎ 처리설비가 대상 오염물질을 보관하기에 적합한지 여부

◎ 처리기술의 주요 처리공정 별 안정적으로 처리되는지 여부(처리 능력)

◎ 처리기술 적용 시 주변 환경 또는 작업자에게 위험 발생 및 안전 대책 여부(예: 독성 가스 발생 / 발생 가스 처리 설비 등)

◎ 환경문제 또는 2차 오염 발생 여부(예: 소음, 진동, 분진, 폐수, 폐기물 등)

- 처리기술 시험 및 평가 시 필요 사항

◎ 처리효율 평가를 위한 평가항목(예: 분석항목(유기물, 중금속 등))

◎ 처리기술 평가를 위한 시료 채취 장소 및 균질화 방법(예: 주요 처리공정 별로 각각 투입 전, 후 시료를 채취, 특정 시간별로 3회 채취 후 완전 혼합한 다음 채취 등) ◎ 처리기술은 최소 2∼3회 이상 운전하여 각각 시료를 채취하며, 채취시료는 자체 분석

및 최소 2∼3개 공인기관의 맹검 분석(Blinded test) 결과를 기초로 처리 정도 및 효 율을 평가

◎ 처리기술 적용 과정에서 주변 환경 또는 작업자에게 위험 발생 여부 및 위험 발생 시 안전 대책 유효성 여부

◎ 처리기술 적용 과정에서 환경문제 또는 2차 오염 발생 여부 및 정도 ◎ 처리기술 적용 과정에서 물질수지 및 에너지수지 평가

◎ 최종 처리산물이 목적으로 하는 최종 처분에 적합한지 여부(예: 관련 환경기준 충족, 물성·특성 충족 등)

◎ 처리기술 적용 과정에서 단위 물량 당 처리 단가 평가

- 기타 검토 필요 사항

◎ 처리기술 적용 과정에서 처리장치의 운전 및 정지에 실제 요구되는 시간

◎ 처리기술 적용 과정에서 처리장치의 신뢰성(예: 오작동 여부, 유지·보수 용이성 등) ◎ 처리기술 적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고상·액상)의 양, 처리 가능성 및 처분 방안

다. 현장 처리기술 적용방안(초안)

ο 현장 처리기술 적용 시 다음과 같은 절차에 따른다.

항목 세부 절차

사전 검토

처리대상 물질의 물성과 오염 특성 평가

처리기술이 대상 오염물질의 정화에 효과적인지 여부

목적으로 하는 최종 처분 관련 환경 기준을 충족할 수 있는지 여부 대상 오염물질의 발생량, 보관 방법 및 처리기술 적용 시 운전 장애 요인 여부

처리기술 적용 시 2차 오염 가능성 및 폐기물 발생 여부

처리기술 적용

처리설비가 대상 오염물질을 보관하기에 적합한지 여부 주요 처리공정 별 안정적으로 처리되는지 여부(처리 능력) 주변 환경 또는 작업자에게 위험 발생 및 안전 대책 여부 환경문제 또는 2차 오염 발생 여부

처리기술 시험 및 평가

처리효율 평가를 위한 평가항목(예: 분석항목(유기물, 중금속 등)) 전체 공정 중 시료 채취 장소 및 균질화 방법

처리기술은 최소 2∼3회 이상 운전하여 각각 시료를 채취하며, 채취시료 는 자체 분석 및 최소 2∼3개 공인기관의 맹검 분석(Blinded test) 결과 를 기초로 처리 정도 및 효율을 평가

주변 환경 또는 작업자에게 위험 발생 여부 및 위험 발생 시 안전 대책 유효성 여부

환경문제 또는 2차 오염 발생 여부 및 정도 물질수지 및 에너지수지 평가

최종 처리산물이 목적으로 하는 최종 처분에 적합한지 여부 단위 물량 당 처리 단가 평가

기타

처리장치의 운전 및 정지에 실제 요구되는 시간

처리장치의 신뢰성(예: 오작동 여부, 유지·보수 용이성 등)

발생하는 폐기물(고상·액상)의 양, 성상, 처리 가능성 및 처분 방안

ο 현장 처리기술 효율 평가 시 처리기술 공정과 처리 대상 시료의 특성에 따라 다음과 같 은 항목을 선정할 수 있다.

- 일반 항목: 입도, 비중, 함수율

- 부영양화 관련 항목: 총유기탄소(TOC), 총질소(TN), 강열감량(IL), 산휘발성황화물(AVS), 화학적산소요구량(COD)

- 유해화학물질 관련 항목: 중금속(Heavy metals) 구리(Cu), 아연(Zn), 납(Pb), 카드뮴 (Cd), 비소(As), 니켈(Ni), 크롬(Cr), 수은(Hg) 및 선택 항목(철(Fe), 망간(Mn), 알루미늄 (Al)), 총다환족방향수소류(PAHs), 폴리클로리네이티드비페닐(PCBs)

- 기타: 유기주석화합물(TBTs) 등 평가에 필요한 항목

- 부가 항목: 처리 과정에서 폐수가 발생할 경우 상기 관련 항목(수질)과 부유물질(SS) 등 평가에 필요한 항목

Dalam dokumen 피복 및 현장 처리기술 (Halaman 57-61)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