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활용방안

Dalam dokumen PDF 독도 환경특성 조사 (Halaman 90-95)

[표 5-2] 대물렌즈와 접안렌즈 조합에 따른 배율 조견표

나. 현미경 사용 시 주의점

- 밝은 곳에 설치하여 관찰하고, 직사광선은 피한다.

- 처음에는 저배율로 관찰하고 점차 배율을 높여 관찰한다.

- 현미경을 옮길 때는 한손으로 다리를 받치고 다른 한 손으로 손잡이를 잡고 옮긴다.

의 체를 통과할 정도의 작은 크기를 지니고 있으나 빈 영양 해역에서도 평 방미터 당 10,000 ~ 100,000 개체의 서식밀도를 보이고, 서식환경이 양호 한 지역에서는 10만에서 1억 개체 이상의 서식밀도를 보이는 중요한 생물그 룹이다. 현미경 관찰의 주 대상 생물군인 중형저서동물의 크기 구분에 들어 가는 동물군은 40개의 전체 동물군에서 22개의 동물군으로, 후생동물계 (Metazoa)에서는 선형동물(Nematoda), 저서성 요각류(benthic Harpacticoida), 동문동물(Kinorhyncha), 복모동물(Gastrotricha), 동갑동물(Loricifera), 편형 동물(Tubellaria) 등이 주된 동물군이며, 원생동물계(Protozoa)에서는 저서유 공충류(Sarcomastigophora)와 섬모충류(Ciliophora)가 대표적이다. 크기가 매우 소형인 이들 중형저서동물 이외에도 비교적 육안으로도 관찰가능 한 대형저서동물을 세밀하게 동정할 때에도 SMZ-1500 현미경을 활용할 예정 이다. 주된 대상 생물군은 동정이 육안으로 어려운 갯지렁이류, 단각류, 소형 갑각류, 소형 이매패류 등으로 본체의 C-mount에 부착된 CCD와 디지털 카 메라로 촬영하여 자료를 축적할 예정이다.

나. 대상 연구 분야 및 연구사업

Nikon사의 SMZ-1500 고배율쌍안실체현미경을 현재 활용하거나 활용예 정인 연구 분야는 주로 생물분야이며, 주요 대상 연구 사업으로는 “동해 중 부연안환경 변동성 연구”, “독도의 지속가능한 이용연구”, “울진원전 주변 일반 환경조사 및 평가용역” 등이다.

Ⅵ. 결론

한국해양연구원 동해연구소는 국가 해양정책적 측면뿐만 아니라 동해종합 연구의 전진기지로써의 연구기능 역할, 지역발전 기여와 현장 애로기술의 해 결 등과 같은 필요성에 따라 설립된 연구기관이다. 특히, 동해연구소는 경상 북도 울진군 해안에 위치하여 해양 접근성 및 입지조건의 활용성이 뛰어나 본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 큰 장점을 지닌 곳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동해연안 종합관측을 위한 연구기반을 구축하고 동 해연구소 주변 해양관측 종합활용시스템의 기반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하 여, 동해연구소 주변 연안변동 관측을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과 동해 해양환 경관측 지원을 위한 연구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였다. 또 한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및 활용을 통해 모니터링 자료를 축적하고 분석하 는 것을 주된 연구의 방법으로 하였는데, 이를 위해서 상용모니터링 시스템 사양의 분석 및 비교를 우선적으로 수행한 뒤 라이다(Lidar)․모션센서(옥탄)․

해상자력계(Seaspy)․쌍안실체현미경 등의 모니터링 시스템 구비가 필수적이 었다. 이를 위해 동해연구소 연구기반 구축사업과 공동으로 다음과 같은 시 스템을 구비하였다.

우선 지상라이다는 스캐닝 방식의 3차원 좌표 관측 장비로서 관측 대상물 의 표면에 조밀한 간격으로 무수히 많은 레이더광선을 주사하여 얻은 물체 의 3차원 좌표값(x, y, z)인 점 데이터와 목표물에 반사되는 레이저 광선의 반사강도를 이용해 대상물의 형태를 직관적으로 취득하는 첨단 레이저 측량 장비이다. 본 연구에 사용된 RIEGL의 LMS-Z420i 광대역 레이저 스캐닝 시 스템은 높은 성능의 장거리 3D 레이저 스캐너와 광범위하고 다양한 작업능 력을 가진 RiSCAN PRO 소프트웨어, 그리고 세밀한 부분까지 정밀하게 표 현하는 고해상도 디지털 카메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지상라이다는 부피값을 모니터링하여 변화를 나타낼 수 있으며 같은 지역의 단면을 모니터링하여 단면의 높낮이 변화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채광업, 건축물 외형조사, 구 조물 조사, 유적조사, 모니터링, 도시모델링 등 목적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쌍안실체현미경을 통해 독도 주변해역에 서식하고 있는 해양생 물을 현미경으로 분석하는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본 연구에 활용된 현미경은

세포의 형광 관찰 등이 가능하며 형광 관찰과 명시야 관찰을 빠르게 전환할 수 있는 장치가 있다. 본 현미경은 투과 조명의 사용 시 경사를 주어 sample의 콘트라스트를 높여 일반 조명으로 윤곽을 잡기 힘든 sample 관찰 시에 선명한 이미지를 제공한다. SMZ-1500 고배율쌍안실체현미경은 주로 미소 생물의 동정 및 관찰용으로 사용될 예정이다. 주된 대상 생물은 중형저 서동물이나 이외에도 비교적 육안으로도 관찰이 가능한 대형저서동물을 세 밀하게 동정할 때에도 활용할 예정이다. 현재 본 실체현미경을 활용하고 있 거나 활용할 예정인 연구 분야는 주로 생물분야이며, 주요 대상 연구사업으 로는 “동해 중부연안환경 변동성 연구”, “독도의 지속가능한 이용연구”, “울 진원전 주변 일반 환경조사 및 평가용역” 등이다.

한편, 독도 환경특성조사 자료를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독도와 독도 주변 해역에 대한 환경을 입체적․시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통해 독도의 육상 지형과 지질, 해저 지형을 통합한 입체조형물을 제 작하였다. 독도와 독도 주변 해저지형을 과학적 자료를 기반으로 실제 형상 화한 국내 최초의 사례로 평가받고 있는 본 모형은 독도 연구결과를 공간적 으로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독도의 지형 및 해양생태계 특성을 표현하였으 며, 연구조자선, 관측부이, 심해잠수정 등 실제로 독도 주변해역에서 연구를 수행하는 첨단 해양탐사 장비들을 모형화하여 독도 주변에서 이루어지고 있 는 해양연구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독도의 실제 해저지 형을 눈으로 직접 확인하고, 독도의 미래 공간 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해 양영토에 대한 인식을 재조명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독 도의 육상뿐만 아니라 해저 지형의 공간적 구조를 한눈에 파악함으로써 독 도의 지속가능한 미래연구에 대한 이해를 증대시키는데 이바지 할 것이다.

끝으로 1997년부터 2008년가지 진행된 현지 조사결과를 종합하고 독도 의 실 해역 조사를 병행하여 독도라는 동해의 최외곽도서의 환경특성을 종 합적으로 정리하면서 향후 수중경관과 생태지도 제작을 위한 주요 종의 생 태 사진자료를 획득하기 위한 독도환경특성조사가 이루어졌다. 그 결과로 우 선 생물종 다양성을 분류군별로 정리하고 주요 생물종들이 서식하는 정점별 로 특징 있는 수중경관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독도 연안은 계절에 따라 다양 한 회유성 어종이 출현하여 표층, 중층 회유성 어종자원에 대한 체계적인 관 리가 필요한 곳이기도 한데, 본 연구를 통해 그동안 확인된 독도의 주요 생 물자원 중 중요한 몇 종에 대한 자료도 정리하였다.

Dalam dokumen PDF 독도 환경특성 조사 (Halaman 90-95)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