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a) Banyeo(inbound)

(b) Mangmi(inbound)

(c) Daeyeon(outbound)

(d) Mangmi(outbound)

Fig. 4.5 LOS relationship for density and occupancy

5LOS 의 평가

이 연구대상 도시고속도로에 각 조사지점에 대해 국내도로용량편람에 제시된 각 서비스수준별 v/c비에 대응하는 최대 서비스 교통류율과 최소속도를 분석 하였고,그 결과 값 중에서 도심과 부도심 방향별,차로별로 각 서비스수준별 최대 서비스 교통류율 중에서 가장 큰 값을 선택하여 서비스수준 평가에 사용 하였다.

각 서비스수준별 최대 서비스 교통류율은 50단위로 반올림하여 사용하 였으며,각 서비스수준별 최대 서비스 교통류율에 대응하는 속도를 각 서비스 수준별 최소 속도로 선택하여 사용하였으며,그 결과 값은 Table5.1과 Fig.5.1 과 같다.

Table 5.1 LOS evaluation by flow rate and speed

LOS A B C D E

v/c ratio(KHCM) 0.25 0.4 0.58 0.75 1.00

Flow rate(KHCM) 500 800 1150 1500 2000

Flow rate ()

inbound 1Lane 550 850 1,250 1,600 2,150 2Lane 400 600 900 1,150 1,550 outbound 1Lane 550 850 1,250 1,600 2,150 2Lane 450 700 1,000 1,300 1,700

Speed ()

inbound 1Lane 91 87 81 74 49

2Lane 72 69 64 59 41

outbound 1Lane 83 80 77 72 58

2Lane 75 73 70 66 52

이때 각 서비스수준별 최대 교통류율은 본선 1차로에 비해 2차로의 최대 서 비스 교통류율이 약 400~500 정도 감소하였지만,각 차로별 같은 비율로 최대 서비스 교통류율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또한 각 서비스수준별 최 소속도 역시 최대 서비스 교통류율과 마찬가지로 본선 1차로에 비해 2차로가 약 10~20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inbound

(b)outbound

Fig. 5.1 LOS evaluation by flow rate and speed

한편,연구대상 도시고속도로의 각 서비스수준별 최대 서비스 교통류율과 최 대밀도는 다음과 같고,국내도로용량편람에 제시된 효과적도 기준인 최대밀도 서비스수준 E에서 약 12~17 정도 크게 나타났으며,이는 교통량이 많고 출퇴근시간에 정체가 심한 도시고속도로의 특성이 반영 된 것으로 분석되었으 며 그 결과 값은 Table5.2와 같다.

Table 5.2 LOS evaluation by density

LOS A B C D E

Density(KHCM) 6 10 14 19 28

Density ()

inbound

1Lane 6 10 16 23 45

2Lane 6 10 15 21 42

outbound

1Lane 6 10 15 21 40

2Lane 6 10 15 21 41

각 서비스수준별 최대 서비스 교통류율과 최대밀도 관계에서 도심방향이 부 도심방향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지만,차로와 관계없이 일정하게 나타나 교통류 율과 밀도의 관계에서 방향별 차로별 특성은 최대밀도에 의한 서비스수준 평가 에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a)inbound

(b)outbound

Fig. 5.2 LOS evaluation by flow rate and density

이 연구대상 도시고속도로에서 실제로 관측한 자료(교통량,속도,점유율)의 결과로 산정할 수 있는 시간 개념의 교통류율,시간평균속도,시간점유율의 관 계 분석을 통해서 국내도로용량편람에 제시된 설계속도 80 고속도로 본선 에 사용되는 서비스수준 효과척도인 v/c비에 대응하는 각 서비스수준별 최대 서비스 교통류율을 분석하였고,분석한 교통류율과 점유율의 관계 분석을 통해 서 방향과 차선을 고려한 각 서비스수준별 최대점유율을 분석하여 각 서비스 수준별 점유율이 가장 큰 값을 도시고속도로 서비스수준 평가 효과척도로 제시 하였으며 그 결과는 Table5.3과 같다.

Table 5.3 LOS evaluation by occupancy

LOS A B C D E

Occupancy ()

inbound

1Lane 2 3 6 8 18

2Lane 1 3 5 8 16

outbound

1Lane 1 3 4 6 14

2Lane 1 2 4 6 13

도시고속도로의 점유율에 의한 서비스수준평가는 도심방향이 부도심방향에 비하여 다소 높게 나타났는데,이는 속도 차의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되었으며, 대체적으로 도심방향의 각 서비스수준별 점유율은 2~18%로 나타났고,부도심 방향의 각 서비스수준별 점유율은 1~14%로 나타났다.또한 각 방향별 교통류 율과 점유율의 관계그래프는 Fig.5.3과 같다.

(a)inbound

(b)outbound

Fig. 5.3 LOS evaluation by flow rate and occupancy

6 장 결 론

이 연구대상 도시고속도로의 교통특성분석과 상호관계분석을 실시하고,방향 별 차로별 최대 서비스 교통류율,서비스수준별 v/c에 기초한 최대 서비스 교 통류율 및 최대 서비스 교통류율에 따른 각 서비스수준별 최대점유율을 산정 하여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게 되었다.

1.연구대상 도시고속도로의 방향별 차로별 교통특성에 있어서 현저한 차이 를 보였는데,최대 교통류율에서 부도심방향보다는 도심방향이 약 6정도 높 게 나타났고,차로별 최대 교통류율에서 본선 1차로가 2차로에 비하여 약 18 정도의 높게 나타났다.

2.연구대상 도시고속도로의 방향별 자유흐름속도에서 도심방향보다는 부도 심방향이 약 10정도 높게 나타났고,차로별 자유흐름속도에서 본선 2차로보 다는 본선 1차로가 약 20정도 높게 나타났다.

3.연구대상 도시고속도로의 교통류율과 밀도사이에서 용량 상태인 서비스수 준 E의 밀도가 대체적으로 약 40~45로 나타나 도로용량편람의 밀도와 서비스수준 E에서 현저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4.도시고속도로의 교통류율과 점유율의 관계에서는 도심방향의 용량상태인 서비스수준 E점유율이 약 18로 나타났고,부도심방향의 점유율은 약 14로 나타났다.

5.따라서 도시고속도로의 각 서비스수준별 최대 점유율은 LOSA≤2,LOS B≤3,LOS C≤6,LOS D≤8,LOS E≤18,LOS F>18로 평가기준을 정할 수 있었다.

향후 연구과제로서 도시고속도로뿐만 아니라 국내의 고속도로의 교통특성을 관측하여 상호 관계 분석을 통해서 추정밀도를 대체할 수 있는 점유율을 이용 하여 고속도로의 서비스수준 평가 효과척도를 제시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 된다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