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GOCI 영상품질 검증 시스템 개발

Dalam dokumen 01.해양위성센터 기능고도화 3차 (Halaman 155-160)

가. GOCI 영상품질 확인 웹페이지

GOCI 영상품질 확인 웹페이지에서는 기본적으로 “메뉴영역”, “컨텐츠 영역” 으로 다음과 같은 화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메뉴 영역에는 로그인한 사용자가 다른 메뉴의 서브메뉴로 바 로 이동이 가능하여 사용상 편리함을 제공하며 컨텐츠 영역에서는 이동한 메뉴의 컨텐츠 영 역으로 선택된 정보를 리스트 형식으로 조회할 수 있다.

그림 140. GOCI 영상품질 확인 웹기반 시스템

메뉴 영역에는 위성품질평가, 품질평가관리, 처리사항모니터링, 통계 항목이 있다. 위성품질 평가 항목에서는 위성품질평가 프로그램을 설치/실행할 수 있으며 품질 평가 관리는 검색 기 간 기준으로 평가된 데이터 정보를 보여 주며 평가 시에 저장했던 이미지를 볼 수 있다.

그림 141. 품질평가관리

품질평가 설정 창에서는 Bad Pixel, Missing Pixel, L2 생산물의 임계치 값을 변경 할 수 있 으며 Missing Pixel의 가로 세로 범위와 구름 분석 시 구획의 크기를 설정하는 등 평가데이터 에 관한 정보를 설정 한다.

그림 142. 품질평가 설정 창

처리상황 모니터링 창에서는 위성영상이 단계별로 처리되는 상황을 보여 준다. Raw의 경우 1회 촬영 당 1개의 파일이, L0,L1A의 경우는 64개 파일이, L1B, L2, L3는 1개의 파일이 생성 되는데 이때 제대로 생성되지 않았을 때는 붉은색으로 표시 되며 정확하게 파일이 생성하였 을 때는 청색으로 표시 된다. 또한 이러한 정보를 엑셀로 출력 할 수도 있다.

그림 143. 위성영상 처리상황 모니터링

통계창에서는 위성품질 평가 된 데이터들의 통계를 보는 페이지로 일자별로 영상품질의 결 과 상태를 확인 할 수 있으며 엑셀파일로 출력도 할 수 있다.

나. 영상품질평가 뷰어

GOCI 영상품질확인 웹페이지가 영상품질 평가 현황 및 전체적인 통계 현황 등을 보여 준 다면 영상품질평가 뷰어는 실제적으로 영상의 품질을 평가를 쉽고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구 현한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평가 대상으로는 배포시스템을 통해서 배포되는 L1B와 L2를 대상으로 하고 L1B와 L2에 포함되는 밴드들을 전부 평가를 하게 되어 있다.

그림 145. 평가 대상

평가 항목으로 L1B의 경우에는 Missing Pixel, Bad Pixel, Saturation, 구름양, 물결노이즈, 전자신호블록현상이 있고 L2 생산물을 각 생산물마다 임계치에 대한 평가를 하게 되어 있다. Missing Pixel, Bad Pixel는 L1B에서는 특정 값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를 미리 설정해 두고 특 정 값을 자동으로 검색하여 보여 줄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또한 L2생산물을 만들 때 구름 마 스킹파일을 만들게 되는데 이를 이용하여 구획별로 얼마나 구름이 분포하는지를 자동으로 표 현하게 구현하였다.

그림 146. Missing Pixel, 구름양 자동계산 및 표출

Saturation, 물결노이즈, 전자신호블록현상은 사용자가 영상을 면밀히 살펴보고 해당지역에 박스를 그려 영상에 몇%가 그러한지를 분석할 수 있도록 구현되어 있다.

그림 147. Saturation, 물결노이즈 표시의 예

정확하게 기하보정이 처리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첫 번째로 영상에 해안선을 중첩하 여 육안으로 확인하며 Landmark 개수와 잔차의 정보를 볼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그림 148. 해안선 중첩 및 기하보정 평가정보

Dalam dokumen 01.해양위성센터 기능고도화 3차 (Halaman 155-1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