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월간 운영 보고서
앞의 일일 기록물들을 토대로 해양위성센터는 매월 월간 보고서를 작성하고 있다. 이것은 IOT 시작과 동시에 2010년 7월부터 작성되기 시작하였다. 주로 GOCI 자료 수신 및 자료처리 현황과 운영 관련 이슈들을 요약정리하고, 관련된 상세내역을 기록해둠으로써 보다 체계적인 운영을 도모하고 있다.
그림 53. 해양위성센터 월간 운영 보고서
스트 영향, 휴먼 에러 등이 영향을 끼쳤다.
이후 위성 운영 시스템 안정화 및 운영 업무의 숙련화로 2012년에는 정상 수신율은 98%이 상으로 상승하였다. 하지만 여전히 약 2%의 수신 실패가 발생하는 것은 태양간섭, 위성 자세 불안정으로 인한 비정상 자료 수신, 수신시스템 유지보수 등이 지속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이 다. 야간 영상은 IOT 기간에만 시험 촬영이 수행되었고, 그 결과 센서의 노후화에 미치는 영 향이 클 것으로 판단되어 정규운영에서는 촬영하지 않기로 하였다.
그림 54. GOCI 정상 수신율
나. GOCI 위성 자료 전처리
GOCI자료는 수신 후 해양 표준자료를 생산하기 전에 복사보정, 기하보정 등을 처리하는 전 처리 단계를 먼저 거치게 된다. 전처리 시스템은 분해모듈(DM; Decompoite Module), 복사보 정 모듈(IRCM; Image Radiometric Correction Module), 기하보저모듈(INRSM; Image Navigation and Registration Software Module), 자료관리모듈(PMM; Product Management Module)로 구성되어 있다.
전처리는 자료처리 단계별로 위성으로부터 전해지는 Axillary data, 기존의 Database 정보 등 다양한 정보들이 사용되기 때문에 시스템별로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다(그림 55). 이러한 이 유로 수신된 위성 원시자료를 분해하고 복사보정하는 DM과 IRCM이 안정화가 우선 진행되었 고, 기하보정 담당인 INRSM이 단계적으로 시스템 운영 점검이 진행되어 2010년에는 Raw에 서 Level 1B로 진행됨에 따라 영상 처리율이 감소되는 결과를 보인다. 그러나 최근 2012년 운 영 결과를 살펴보면, 모든 영상 처리수준에 대해 99%이상의 성공률을 나타내고 있어 전처리 시스템의 상당히 운영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그림 56).
그림 55. 전처리 시스템 구성(상) 및 세부 개념도(하)
다. GOCI 위성 해양 표준자료 생산
해양위성센터에서 수신된 GOCI 자료는 전처리 시스템을 거쳐 해양 표준자료를 처리하는 GDPS(GOCI Data Processing System)로 전달된다. GDPS에서는 입력된 Level 1B에 대기보정 과 태양과 위성 위치의 양방향 신호문제를 적용하여 순수 해수 신호를 추출되고, 각 밴드별 결과의 연산을 통해 해양해수환경 분석자료를 생산한다. 위성체 및 그와 관련된 지상국 시스 템들의 점검을 주로 하는 IOT가 종료된 이후, 해양 표준자료를 생산하는 GDPS의 운영 점검 이 이어져 수행되어, 정상 운영은 2011년 9월부터 수행되었다. 이때의 GDPS 버전을 1.0으로 명명하였으며, 2012년 7월에 버전 1.1 적용되었다. GDPS 개선 사항은 이후 3장 3절에서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GDPS는 총 4대로 구성되어 있고, R1A와 R1B가 이중화로 구축되었다. 그리고 R2는 기타 자동처리, UI는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하고 있다(그림 57). 그리고 현재 정상 운영 을 통해 산출되는 해양표준 자료는 해수수출량, 정규해수수출량, 클로로필 분포, 총부유물질, 용존유기물이다. 기타 해양표준 자료는 2013년의 정규 운영에 추가될 예정이다(표 12).
그림 57. GDPS 시스템 구성 및 실제 사진
NO 해양분석요소 분석자료 특성 정상 운영 및 자료 제공 1 Water leavingRadiance(Lw) 밴드별 대기보정을 통한 해수면복사휘도
2011. 09 ~ 2 Normalized WaterLeaving Radiance(nLw)
밴드별 대기의 영향이 없는 상태에서 태양이 비췄을 때의 해수면 복사휘도
3 Chlorophyll 엽록소 농도
4 TSS 총 부유물질(Total suspended solid particle 5 CDOM 용존 유기물(Colored Dissolved organic matter) 6 Optical Properties Water K-coefficient, Absorption coeff., Backscatteringcoeff.를 구할 수 있는 해수광특성 정보
2013 예정
7 Redtide 적조의 발생정도
8 Fishing GroundInformation 수산 및 어장 분포도 9 Under water Visibility 수직적인 물의 맑기정도 10 Water Current Vector 해수의 유향, 유속정보 생산 11 Atmosphere & EarthEnvironment Monitoring
황사, 산불, 홍수, 식생지수, 폭설 등 대기 및 지구환경 모니터링 정보
12 Water Quality Level 1-5 엽록소농도, TSS, CDOM, Redtide등을 고려하여 수질 분석
13 Primary Productivity 해양의 일차생산력 분석 표 12. 해양 표준자료 운영 현황
라. GOCI 위성 자료 흐름 및 관리
수신된 GOCI의 자료들은 아래의 흐름을 따라 각 시스템에서 Level 1, Level 2 등으로 처리 되고 이것들은 자료 관리시스템에 의해 저장시스템으로 이동한다. 일부 자료는 배포를 위해 위성자료 배포시스템이나 기관간 자료 배포시스템으로 이동된다(그림 58).
매일 생산되는 Raw~Level 2 자료의 용량은 약 70G이고, 1년에 51T이다. 이 대용량 자료 저 장을 위해 해양위성센터가 운영하고 있는 스토리지 시스템은 총 3개이고, 각 시스템의 용도는 표 13과 같다. 2010년부터 현재까지 자료는 백업 테잎으로 2세트를 더 보유하고 있다. 이중 1 set는 비상 상황에 대비하여 원격지에 별도 보관함으로써, 자료 유실에 대비하고 있다.
스토리지 이름 디스크갯수 총용량 용도 및 저장 자료 비고
Active EVA 1TB * 182 167,620 GB 2010~2011 GOCI 자료 저장 IOT 기간내 GOCI 재처리 자료 저장
Standby EVA 1TB * 42 37,248 GB 실시간 GDPS 자료처리
P6500 2TB * 36 63,113 GB 최근 1년 자료저장
실시간 전처리 시스템 자료처리 표 13. 스토리지 운영 현황(201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