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 가
LCCGIS를 이용한 치악산국립공원 취약성 평가 결과를 나타냄
2000년대 2020년대 2050년대
그림 3-1. 치악산국립공원 취약성 평가(LCCGIS)
폭염에 의한 건강 취약성의 결과를 원주시와 횡성군을 예시로 나타냄
2000년대 2020년대 2050년대
그림 3-2. 강원도 원주시 폭염에 의한 건강 취약성 평가
제3장 시범평가
61
2000년대 2020년대 2050년대
그림 3-3. 강원도 횡성군 폭염에 의한 건강 취약성 평가
홍수에 의한 건강 취약성의 결과를 원주시와 횡성군을 예시로 나타냄
2000년대 2020년대 2050년대
그림 3-4. 강원도 원주시 및 횡성 홍수에 의한 건강 취약성 평가
제3장 시범평가
62
원주시 폭염에 의한 건강 취약성 평가의 읍면동 지수 자료(예시)
그림 3-5. 원주시 폭염에 의한 취약성 평가의 읍면동 자료
제3장 시범평가
63
LCCGIS의 결과를 토대로 2000년대, 2020년대, 2050년대의 읍면동 1순위는 다음 표와 같음
표 3-6. 치악산국립공원 취약성 평가 결과 1순위, 2순위, 3순위 지역(읍면동)
치악산국립공원 2000년대 2020년대 2050년대
1순위 반곡관설동 반곡관설동 반곡관설동
2순위 우천면 행구동 우천면
3순위 행구동 우천면 행구동
2000년대, 2020년대, 2050년대의 읍면동 1순위는 모두 반곡관설동이 가장 취약할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이는 다른 지역에 비해 기온의 증가폭이 크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표 3-7. 분야별 원주시 취약성 평가 결과 1순위 지역(읍면동)
분야 2000년대 2020년대 2050년대
폭염에 의한 건강 취약성 원인동 중앙동 중앙동
홍수에 의한 기반시설 취약성 태장1동 중앙동 중앙동
가뭄에 의한 산림식생 취약성 호저면 호저면 학성동
산림생산성 취약성 원인동 문막읍 문막읍
제3장 시범평가
64
표 3-8. 분야별 횡성군 취약성 평가 결과 1순위 지역(읍면동)
분야 2000년대 2020년대 2050년대
폭염에 의한 건강 취약성 횡성읍 횡성읍 횡성읍
홍수에 의한 기반시설 취약성 횡성읍 횡성읍 횡성읍
가뭄에 의한 산림식생 취약성 서원면 서원면 서원면
산림생산성 취약성 횡성읍 횡성읍 횡성읍
한계점 나
그러나 LCCGIS에서 민감도 및 적응능력 지표는 대부분 기초지자체 값으로 동 일하게 적용되어 있어 기후노출 변수에 의해서만 취약성이 평가되고 있음
민감도 및 적응능력의 지표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읍면동 별 로 모두 같은 값이 적용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음. 이는 CCGIS에서 사용하는 지자체 자료를 그대로 LCCGIS에 적용시킨 것으로 판단
기후노출 민감도 적응능력
그림 3-6. 2000년대 폭염 의한 건강 취약성 평가(강원도 원주시)
제3장 시범평가
65
LCCGIS에서 사용되는 세부지표는 총 224개이며, 이중 61개의 기후지표는 읍면동별 구분된 자료가 제공되고 있지만, 사회경제분야 지표(민감도+적응 능력)의 163개에 대해서는 모두 동일하게 입력되어 있어 취약성 평가에 적용 되지 않고, 읍면동 자료가 존재하는 61개의 지표만으로 취약성 평가가 수행된다는 한계가 존재함
그림 3-7. 폭염 의한 건강 취약성 평가(기후노출, 민감도, 적응능력)
그림 3-8에서 10과 같이 LCCGIS의 interface 에는 적응능력과 민감도의 데이터가 비어 있으며, 읍면동의 구분없는 데이터 구조로 되어 있음
개선방안 : 읍면동 단위로 평가를 위한 인벤토리 구축이 절실함
제3장 시범평가
66
그림 3-8. LCCGIS interface
그림 3-9. 읍면동 동일한 민감도
그림 3-10. 읍면동 동일한 적응능력
제3장 시범평가
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