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장 결론
본 연구에서 석유화학 산업의 위험성과 사고 경향과 피해 범위를 분석하였고, 정성적 위험성 평가를 기반으로 적용한 준 정량적 기반의 위험성 평가를 통하여, 위험과 위험성을 완화하기 위 한 효과적인 방법론을 다루었다.
1. 화학 공정의 사고 원인은 위험성 평가의 부족과 안전 작업 절차를 충분히 숙지하지 않거 나 위반하는 경우가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다.
1) 준 정량적 위험성 평가를 이미 오래 전 도입하였거나 의무화한 선진국에 비하여 우리 나라의 중대재해는 약 8배 정도가 높은 위치에 머물러 있다.
2) 이와 같은 중대 재해의 피해는 정규직 보다 공정의 위험성 인식이 취약한 협력 업체 근로자에게 집중된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2. 공정의 사고를 효과적으로 예방하려면, HAZOP와 LOPA를 연결하여 적용하고, 잠재적 인 위험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방호장치들의 신뢰성을 검증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1) 사례 연구에서는 정성적 위험성 평가에 준 정량적인 공정 위험성 평가를 적용하여 초기 개시 발생 확률과 위험성을 완화하기 위한 방호장치의 고장확률을 산정하여 유 효성을 정량적으로 검증할 수 있었다. 위험 시나리오의 안전성은 객관적인 고장확률 자료를 바탕으로 충분한 방호장치를 고려할 때 개선될 수 있었다.
2) 사례 연구 과정은 정성적 공정 위험성 평가 결과에 이은 준 정량적 공정 위험성 평가 의 적용의 전체 과정을 모형화여 다른 공정의 고려에 참조가 될 수 있도록 하였다.
3. 공정 위험성 평가에 필요한 독립방호장치(IPL)의 고장확률 자료(PFD) 개발 과제
1) 최근 LOPA는 공정 위험성 평가와 더불어 화학물질관리에서 QRA 등에서 활발한 연 구와 적용이 이루어 지고 있다. 다만, 공정에서 발생하는 초기 개시사건(Initiating Event)의 빈도(Frequency)나 독립방호장치(IPL)의 신뢰성 평가 자료(Failure Rate, PFD)는 국내 자료가 없어 CCPS, OREDA, EXIDA, TUV 등 국외 자료를 참조해야 하는 환경이다.
2) 독립방호장치(IPL)로 사용하는 SIS(Safety Instrumented System), SIF(Safety Instrumented Function) 에 규격은 IEC61508, IEC61511의 규격에 의존하고 있다.
이러한 자료와 기존 규격의 심화 개발은 연구의 한계점과 과제로 남기고 있다.
4. 준 정량적 공정 위험성 평가의 보급과 의무화로 안전성 개선
1) 공정 위험성 평가의 기법은 공정 형태에 따라 2가지 이상 선택하도록 하고 산업안 전보건법에서 권고하고 있다. 하지만, 평가 방법이 용이한 HAZOP, What-IF, Check List 등을 선호하고 있어, 화학 공정의 사고 예방에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2) 석유화학 산업 혹은 화학에서 화재·폭발·누출과 같은 중대재해를 효과적으로 예방 하려면, 위험이 높은 시나리오에 대하여 정성적 위험성 평가 결과에 따라, 준 정량 적 공정 위험성 평가 혹은 정량적 공정 위험성 평가를 적용하도록 기법에 대한 보급 과 나아가서는 의무화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참 고 문 헌
[1] 연합뉴스, ”울산 유화업체 후성서 폭발 추정 사고”, 2014.5.8.
[2] 경향신문, ”한화케미칼 울산2공장 폭발사고로 6명 사망”, 2015.7.3.
[3] 송승석,「울산지역 석유화학산업의 발달과정」, 울산발전연구원, pp.1-42, 2007.
[4] e-나라지표, 석유화학산업 동향, “http://www.index.go.kr”
[5] 석유화학산업협회, “http://www.kpia.or.kr”
[6] 2017년 산업재해 발생현황, 고용노동부, 2018.
[7] 국제협력센터, 「국제안전보건 동향」,안전보건공단, 2018
[8] 정정임, “산업안전보건법상 위험성평가제도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9] 강신재,“국내 위험성 평가 동향 및 분석 사례 연구”,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10] 김창은,“HAZOP 및 HAZAN 기법을 이용한 크실렌 산화반응공정의 위험성 평가”명지대 학교 석사학위논문, 1992.
[11] 백승현,“석유화학 공장에 적합한 준-정량적 위험성평가(S-HAZOP)기법”, 서울산업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2006.
[12] 김정환, “SIL(Safety Integrity Level) 기법을 이용한 화학공장의 안전성 향상에 관한 연 구”, 광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13] 임종우, 공정 위험성평가기법 분석을 통한 화학공장 전 생애 위험관리에 관한 연구, 인천 대학교
공학박사학위논문, 2016.
[14] 김건호, “사고시나리오의 위험도 산정을 통한 적정 위험도 기준 설정”, 인하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2017.
[15] 김현민, “데이터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화학공정의 전 과정 위험성 평가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16] 이일재, ”SIL기법에 의한 LPG 인수기지의 안전성 향상에 대한 연구”, 서울과학기술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2015.
[17] 김민환, “SIL을 적용한 염산저장탱크의 리스크 감소”, 한국교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18] 고용노동부,「산업안전 보건법」, 법률 제15588호, 법제처, 2018.
[19] 고용노동부,「사업장 위험성평가에 관한 지침」, 법제처,고시 제2017-36호, 2017.
[20] 고용노동부,「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법제처, 고용노동부령 제250호, 2019.
[21] 고용노동부,「공정안전보고서의 제출·심사·확인 및 이행상태평가 등에 관한 규정」, 법제 처, 고시 제2017-62호, 2017.
[22] ISO/IEC Guide51, “Safety aspects – Guidelines for their inclusion in standards, pp.9, 2014.
[23] Oxford University,「Oxford Advanced Learner’s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2015.
[24] 정진우, 「위험성 평가해설」, 중앙경제, pp.29, 2017.
[25] 미국석유화학협회, 용어집, https://www.aiche.org.
[26] 환경부, 「유해화학물질 사고 사례집」, 2007
[27] NEBOSH, 「Health and Safety at Work」, pp.32-35, 2017.
[28] 송지태 외,「PSM, 장외영향평가에 기반한 위험성평가기법 및 분석기법」, 성안당, 2017.
[29] 유철진, “연속공정의 위험과 운전분석(HAZOP)기법에 관한 기술지침”, 산업안전관리공 단, 2012.7.
[30] William G. Bridges 외,「Layer of Protection Analysis」, AIchE, 2001.
[31] Angela E. Summers, “Introduction to layers of protection analysis”,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104, 2003.
[32] Solvay, SIS engineering materials, 2018
[33] Keith J Kirkcaldy, D Chauhan, 「Functional Safety in Process Industry」, 2012 [34] Mitchel, 「Safety Instrumented System Engineering Handbook」, 2018.
[35] Bill Callaghan, Timothy Walker, 「REDUCING RISKS, PROTECTING PEOPLE」, pp.70, 2001.
[36] 강낙원 외, “이중연료엔진의 연료가스공급시스템에 대한 안전무결도 기반 안전계장”, 대 한조선학회논문집, 2012.
[37] SINTEF, 「Offshore Reliability Data Handbook 4thEdition」, OREDA, 2002.
[38] Emerson, “Certificate 2051 Pressure Transmitter”, EXIDA, 2014.
[39] Emerson, “Certificate 248 Pressure Transmitter”, EXIDA,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