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1) 지형의영향이고려되지않은경우에바람장의분포는태풍의기본특성에의해동심원을그리며일정하게 나타나지만, 지형의영향이고려된경우는지형주위의풍향이변하고풍속이빨라지는것을 MASCON모델을 통한수치해석으로부터 확인할수 있다.

(2) 본연구에서제안하는 MASCON모델은산지등의지형적인특성에의해바람장에영향을미칠수있는지

역에서유용하게사용될수있을것이며, 컴퓨터에의한계산용량의증대에따라바람장산정을위한계산격자

의해상도를높인다면연안및도심지의건물의영향도고려할수있는보다자세한바람장의해석이가능할

것이라 판단된다.

5.3 천해파랑

(1) 지형적으로차폐된지역일수록 MASCON모델을이용한지형의영향을고려한바람장을이용하여천해파랑

을 추산할 필요가 있으며 지형이 복잡할수록 바람의 영향을많이 받는다는 기존의 사실을확인할 수 있었다.

(2) 유의파고의고정도추산을위해서조석및조류, 하천유입등의고려될필요가있으며이는향후해결되어

야 할 과제이다.

134

5.4 침수범람해석

(1) 본 연구에서는 태풍 Sarah에 대한 부산광역시 광안리 인근해역에대한 침수역 및 침수고를 수치해석하였으며,

태풍 Maemi 내습으로 인한 녹산국가산업단지 인근에서의침수역 및침수고를예측하였다. 그 결과를수리모형

실험의 결과 및 설문조사와 비교·검토하여 본 연구의 타당성을 확인할 수있었다.

(2) 침수고및침수역의 예측등범람해석모델의수치해석에있어서고파랑의내습에따른호안월파량의고정

도산정은중요한 파라미터로 작용할 수 있다.

(3) 본연구에서 제안하는 범람모델은연안재해의 예측, 방재계획의 수립, 위험도작성, 배후역에서의지반고 결

정, 도시계획적인 문제 등에 충분히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 보다실제적인침수범람해석을 수행하기위하여 강우에의한침수, 제내지에서의배수및 역류와건물등의

지하로 유입되는 침수량을 고려할필요가 있으며, 이는 향후 해결되어야 할 과제이다.

5.5 지진해일

(1) 1983년의동해중부지진과 1993년의북해도남서외해지진에의한 지진해일의수치모형실험에있어서가장 중

요한 요소인제 1파의도달시간에대한 계산치와 관측치를 비교·검토함으로써 본 연구에서제안하는 수치해석

기법의 타당성을 검증할 수 있었다.

(2) 1983년의동해중부지진과 1993년의북해도남서외해지진에의한지진해일에대한수치해석결과에서관측치

와거의동일한전파속도와 전도양상을나타내었으며, 지진해일 발생으로부터 약 100분 정도 후에 처음으로강

원도 부근의 동해연안에 내습하며, 포항은 약 110~120분, 울산은 140분 정도로동해안의 북쪽에서남동해안으로

지진해일이 도달함을 알 수 있다.

(3) 1983년의동해중부지진과 1993년의북해도남서외해지진에의한 지진해일이갖는에너지의 대부분이러시아

방향으로전파되어상대적으로우리나라의피해가적음을확인하였고, 대화퇴에의해일본의남쪽으로굴절되

는 성분이있음을알 수 있었다. 진원지의부근에서 1983년의동해중부지진에 의한지진해일의경우는 최고 4m

이상, 1993년의북해도남서외해지진에의한지진해일의경우는최고 7m 정도의수위변화가발생하였으며공해

상에서는 0.1~1.0m 정도 나타났다.

135

(4) 1983년의동해중부지진과 1993년의북해도남서외해지진에의한 지진해일에의해발생한최고수위는강원도

부근에서는 0.9m ~ 5.3m, 남동해안에서는 0.6m ~ 0.15m 정도이며, 이는사후조사에서 얻어진 최고수위와 거의 비

슷한결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5) 1983년의동해중부지진과 1993년의북해도남서외해지진에의한지진해일의경우에대상지역에서수위변동

의 관측치와수치모형실험결과를 비교하였다. 제 1파가도달하는 시간은 관측치와 일치하지만 최저 및 최고수위

의값과그의 변동양상은정성적으로는일치하지만정량적인관점에서는 다소불일치하는 결과를나타낸다. 이

는각지역에서주변해역의개발로 인해지진해일내습당시의지형과 현재의 지형이다소 상이하기 때문인 것 으로판단된다.

(6) 지진공백역에서 발생한가상지진의 경우에서도가상지진해일의전파속도는 지진이발생하고약 100분정도 후에처음으로강원도부근의동해연안에도달하며, 포항은약 110~120분, 울산은 140분정도로그전파속도는

이전에 발생한 지진해일에 대한 해석결과와 거의 동일하게 나타난다.

(7) 지진공백역에서 발생한 가상지진해일이가진에너지역시대부분이 러시아방향으로 전파되며, 대화퇴부근

에서 많은 회절현상이 발생하여일본의 남쪽으로도 상당한 에너지가전파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단층파라미터의

차이에 따라각 가상지진해일에서상당한 수위분포의차이를나타내며, 가상지진해일 1, 4, 6은상대적으로동해

안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고, 가상지진해일 3과 5는 일본의 연안에는 상당한 해일고를 발생시키지만 우리나라

에는 그 영향이비교적적고, 가상지진해일 2의경우가 가장높은약 4m의 수위분포를 나타내며 동해안에도 상

당한해일고를 발생시키는 것을 알 수있다.

(8) 가상지진해일 2에서시간에 따른수위변화는강원도 지역에서는지진해일 발생약 110 ~ 120분후에 제 1파

가 도달하고 최대수위상승은 지역마다다소 차이가발생하나 약 150 ~ 160분경에 약 0.8 ~ 3.2m의최고수위가 나

타난다. 남동해안에서는 약 140분에 제 1파가 도달하고약 210분에약 0.8m의최고수위가나타나며, 남해안에서

는 약 170 ~ 250분에제1파가 도달하고, 약 0.4 ~ 0.5m 정도의 수위변화가 발생하며 그 주기가 약 50분정도로 나

타난다.